$\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조사연구
Survey Study about the Priority of Vocational Core Competence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8 no.1, 2021년, pp.208 - 216  

박아름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손성민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과 재학생 95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작업기초능력에 대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치료사와 재학생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고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자신 또한 소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치료과 재학생 집단에서 기술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지만 가장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작업치료사로써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ccupational therapists's vocational core competency. Study subjects were 138 occupational therapists and 95 students majored occupational therapy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bout the vocational core ability to confirm the factors about the vocati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유도에 관한 연구도 전무하다. 따라서, 본연구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현재 대학과 사회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설정에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전북, 충청지역 작업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소유 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고,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능력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들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적 의의를 지니며, 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을 파악하고, 작업치료학과 재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34개의 소분류로 구분된다[3].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해서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우선순위로 중요도와 소유도를 조사하였다.
  • 각 항목별 설문은 온라인 설문의 형태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은 실제 직업치료능력에 관련한 강의경력이 있고, 본 연구의 연구자인 작업치료과 교수 2인에 의해 실시되었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연구대상자들에게 설문항목과 목적, 내용에 대한 구두설명과 안내문을 통한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였으며, 이를 이해하도록 한 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 G. Altbach, J. Balan, "World class worldwide: Transforming research universities in Asia and Latin America", Baltimore: JHU Press, (2007). 

  2. S. T. Kim,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1, No.2, pp. 599-628, (2009). 

  3. Y. K. Yang, W. H. Chung, "Research in the direction of the reform of the liberal arts based on the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8, No.4, pp. 45-68, (2014). 

  4. K. P. Hong, "The developmen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program for enhancement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5, No.7, pp. 585-619, (2015). 

  5. A. J. Hong, Y. S. Jo, C. K. Park, "Needs analysis about NCS vocational competency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5, No.7, pp. 227-246, (2015). 

  6. W. Robley, S. Whittle, D. Murdoch Eaton, "Mapping generic skills curricula: A recommended methodology",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Vol.29, No.3, pp. 221-231, (2005). 

  7. V. Tariq, A. C. Cochrane, "Reflections on key skills: Implementing change in a traditional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Policy, Vol.18, No.5, pp. 481-498, (2003). 

  8. P. Washer, "Revisiting key skills: A practical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3, No.1, pp. 57-67, (2007). 

  9. H. J. Joo, H. W. Kim, "PBL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NCS vocational basic abil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S health university",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Vol.38, No.3, pp. 327-358, (2016). 

  10. M. S. Kim, "Germany's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36, No.4, pp.5-28, (2009). 

  11. Y. D. Lee, J. K. Kim, C. H. Park, "Public health related department graduates' occupational key competence required by hospital work staff members", Journal of Korean Health & Fundamental Medical Science, Vol.6, No.3, pp. 147-152, (2013). 

  12. J. M. Le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ir work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Vol.2, No.1, pp. 81-97, (2013). 

  13. N. H. Hong, "Priority analysis of NCS based vocational cor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 No.3, pp. 337-346, (2016). 

  14. O. J. Lee, S. H. Jung, "Study on vocational core competency of optometrist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ol.22, No.4, pp. 311-321, (2017). 

  15. H. K. Choi, H. H. Jeon, D. W. Lim, S. G. Lee, K. E. Park, S. B. Lee, J. E. Yoo, H. S. Jeon,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between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pp. 445-448, (2016). 

  16. Y. S. Kyeong, "Vocational competency constitu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0, pp. 6558-6566, (2015). 

  17. E. J. Ha,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Education, (2016). 

  18. H. J. Sung, S. I. Na,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s of senior students in universiti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4, No.1, pp. 83-108, (2012). 

  19. H. S. Lee, "A survey of the core Job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different Job tasks depending on the therapist's experience in years and different treatment area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9, No.1, pp. 1-14, (2011). 

  20. M. Y. Jung, Y. J. Cha,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17, No.4, pp. 113-126, (2009). 

  21. M. S. Ki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NCS vocational basic 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5, No.2, pp. 477-503, (2019). 

  22. J. W. Lee, J. Y. Ki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NCS vocational competenc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5, No.5, pp. 75-96, (2016). 

  23. S. N. Kim, Y. S. Kwon, J. S. Shin, "A study for promoting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Vol.19, No.2, pp. 57-77, (2012). 

  24. S. W. Shin, S. N. Par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basic Job competencies, and Job preferences on employment probability of college graduate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34, No.6, pp. 93-113, (2015). 

  25. W. J. Lee, J. Y. Han, "An importance analysi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ecretarial training programs based on NCS", The Women's Studies, Vol.89, No.2, pp. 119-154,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