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Speech Apprehension in College Student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382 - 392  

장해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이만제 (원광대학교 행정언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서울, 경상,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9부를 상관관계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해 보면 첫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효능감의 요인 중 자신감이 스피치 불안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반면 타인 귀인성향, 우연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필수역량으로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심리적 변인과 스피치 불안감간의 관련성을 밝혀냄으로써 스피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귀인 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필수역량으로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심리적 변인과 스피치 불안감간의 관련성을 밝혀냄으로써 스피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 H. Spitzberg and W. R. Cupach, Interpersonal skills. In M. L. Knapp and J. A. Daly (Eds.),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ousand Oaks, CA: Sage, 2002. 

  2. 김현숙, 강성모,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호, pp.157-176, 2013. 

  3. 뉴시스, "기업 10곳 중 9곳 커뮤니케이션 능력 채용에 영향," 2014년 4월 22일자. 

  4. J. C. McCroskey, M. J. Beatty, P. Kearney, and T. G. Plax,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CA-24 as a measure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cross communication context," Communication Quarterly, Vol.33, No.3, pp.165-173, 1985. 

  5. R. Rubin, E. Perse, and C. Barbato,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pp.652-682, 1988. 

  6. 김은주, "협동학습에서 의사소통 불안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2호, pp.215-232, 2003. 

  7. R. R. Rosenberg and M. Rosenberg,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7, pp.279-294, 1978. 

  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 Company, 1997. 

  9. K. Dwyer and D. Fus,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trait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there impact on basic course success?,"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19, No.1, pp.29-37, 2002. 

  10. 김지경, 이경미, "귀인성향과 자기의식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52권, 제2호, pp.41-75, 2013. 

  11. 장해순, 행복한 스피치: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소통전략, 서울, 현학사, 2014. 

  12. J. C. McCroskey, "O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 summary of recent theory and resear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4, pp.75-96, 1977. 

  13. J. C. McCroskey, An introduction to rhetorical communication (6th ed.), Orlando, Fl: Harcourt, 1993. 

  14. J. Arquero, T. Hassall, and J. Joyce, "Accounting student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A study of Spanish and UK Students," European Accounting Review, Vol.16, No.2, pp.299-322, 2007. 

  15. 박의선,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발표불안 및 발표행동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이정윤, 최정훈, "사회공포증의 인지행동치료와 노출치료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9권, 제1호, pp.35-56, 1997. 

  17. 송연옥,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가족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 이순희, 정승은, "간호대학 학생의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 제5권, 제1호, pp.133-151, 2004. 

  19. J. McCroskey, J. Daly, V. Richmond, and R. Falcion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esteem,"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pp.269-277, 1977. 

  20. 안효자, 정복례,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24-228, 2005. 

  21. 이충원, 김효창, "체면민감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불안이 불확실성 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제3호, pp.17-30, 2006. 

  22. J. Pearson, J. Child, B. DeGreeff, J. Semlak, and A. Burnett, "The influence of biological sex,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on unwillingness to communicate," Atlantic Journal of Communiction, Vol.19, No.4, pp.216-227, 2011. 

  23. A. Bandura and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pp.186-198, 1981. 

  24. T. Hassall, J. Arquero, J. Joyce, and J. Gonzalez,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in accounting students,"Asian Review of Accounting, Vol.21, No.2, pp.160-175, 2013. 

  25. T. Hopf and N. Colb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self-efficacy,"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ol.9, pp.131-135, 1992. 

  26. 주운, 이용남, "중국유학생의 한국어 학습동기, 의사 소통 불안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교육연구, 제33집, pp.23-37, 2010. 

  27. 황순희, "공학인의 스피치 불안과 상관요소 분석: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스피치능력을 중심으로," 수사학, 제17권, pp.199-220. 2012. 

  28. 임지연, 이영호, 최영안, "역기능적 신념 및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3권, 제3호, pp.595-609, 2004. 

  29. H. H. Kelly, Casual schemate and the attribution process, attribution: Perceiving the causes of behavior, Morristown, NJ: General Learning Process, 1972. 

  30. 안귀덕, 귀인성향, 지각학급풍토 및 두 변인의 상호 작용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31. 김현옥,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이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2. H. Levenson, "Differentiating among internality, powerful others, and chance," In Lefcourt(ed.). Research with the locus of control construct, Vol.1. pp.15-66, 1981. 

  33. 김지경, 이경미, "귀인성향과 자기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52권, 제2호, pp.41-77, 2013. 

  34. 류지희, 귀인양식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5. 임순연, 조영식, 배현숙,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13-323, 2011. 

  36. 범기수, 김은정, 유가기, 정혜진, "자기 주장성과 스피치 교육의 효과: 스피치 능력과 스피치 불안감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12권, pp.196-218, 2009. 

  37.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19, 199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