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어스엔진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기반 위성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재해 모니터링 연구
Research of Water-related Disaster Monitoring Using Satellite Bigdata Based on Google Earth Engine Cloud Computing Platform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6 pt.3, 2022년, pp.1761 - 1775  

박종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강기묵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예측하기 힘든 기후변화로 인해 물 관련 재해의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난관리의 측면에서 광범위한 지역의 피해면적을 파악하고, 중·장기적 예측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수재해 분야에서 광역적 모니터링을 위해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재해 모니터링을 위한 시계열 분석에는 방대한 양의 영상수집과 잡음이 많은 레이더 산란 특성을 고려한 복잡한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위성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 분석이 가능한 많은 플랫폼들이 제안되고 있다. 구글어스엔진(Google Earth Engine, GEE)은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600여개의 위성 자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위성영상의 분석준비데이터를 기반으로 준-실시간 시·공간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엔진을 활용한 즉각적인 수재해 피해 탐지와 중·장기적 시계열 관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화탐지에 주로 활용되는 Otsu 기법을 통해 '20년 발생한 집중호우를 중심으로 하천 범람으로 인한 하폭의 변화와 피해 면적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난관리 측면에서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만큼 상습침수지역으로 선정된 연구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18년부터 '22년까지의 시계열 수체의 변화 경향을 확인하였다. 구글어스엔진은 자바스크립트 기반 코딩을 통한 짧은 처리시간, 시공간 분석과 표출의 강점으로 수재해 분야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향후 다양한 위성 빅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해 활용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unpredictable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water-related disasters and the scale of damage are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In terms of disaster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damaged area in a wide area and monitor for mid-term and long-term forecasting. In th...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구글어스엔진 플랫폼을 통해 Sentinel-1, MODIS 위성 정보를 활용해 선정된 연구대상 지역에 발생한 물 관련 재해의 피해 면적을 추정해보고, 모니터링을 위한 시계열 분석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도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C.U., C.H. Lee, Y.C. Suh, and J.Y. Kim, 2009. Analytic techniques for change detection using Landsa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3): 1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S., D. Yoo, K. Jin, and D. Lee, 2021.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pp. 159-164. 

  3. Fan, J.L. and B. Lei, 2012, A modified valley-emphasis method for automatic thresholding, Pattern Recognition Letters, 33(6): 703-708. https://doi.org/10.1016/j.patrec.2011.12.009 

  4. Frank, M. and M. Canty, 2003.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for Hyperspectral Image, Proc. of 2003 JPL Airbone Earth Science Workshop, Pasadena, CA, USA, pp. 63-72. 

  5. Gang, S.M., D.H. Ryu, Y.C. Choi, and Y.J. Choung, 2017. Unity3D-based flood simulation visualization web system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 98-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9/kagis.2017.20.1.098 

  6. Goo, S.H., Y.W. Chun, K.S. Pyo, and Y.J. Park, 2015. Development of Public Safety Map and Activation Plan, Proc. of 2015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Ilsan, Korea, Nov. 27, pp. 276-277. 

  7. Khaki, M., H.J.H. Franssen, and S.C. Han, 2020. Multi-mission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for improving land hydrological models via data assimilation, Scientific Reports, 10(1): 1-23. https://doi.org/10.1038/s41598-020-75710-5 

  8. Kim, B., S.J. Noh, and S. Lee, 2022.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urban inundation and the impact assessment of the flood barrier using H12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5(5): 345-3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3741/JKWRA.2022.55.5.345 

  9. Kim, D., 2021. Toward developing satellite imagery acquisition and processing techniques for monitoring near real-time defense foundation GEOINT:A case study for inundation mapping of XePian Xe Namnoy Dam Collapse in Laos, Korean Journal of Military Art and Science, 77(3): 453-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doi.org/10.31066/kjmas.2021.77.3.018 

  10. Kim, S.H., C.H. Lee, Y.S. Kim, and S.B. Hwang,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damage estimation function for river infra structure with NDMS and WAM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4): 8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9798/KOSHAN.2016.4.81 

  11. Kim, Y. and K.M. Kang, 2021.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AR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for ship detec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3): 627-6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1.37.3.21 

  12. Kwak, J.Y. and D.G. Jeong, 2012. A study on the image formation system variable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optimum design of high resolution S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40(1): 49-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139/JKSAS.2012.40.1.49 

  13. Lee, D., E.J. Cheon, H. Yun, and M.H. Lee, 2019. A Study on Water Sur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Sentinel-1 Satellite Imagery, Korean Jounal of Remote Sensing, 35(5-2): 809-8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9.35.5.2.5 

  14. Lee, K.W., K.S. Kim, S.G. Lee, and Y.S. Kim, 2019. Consideration Points for application of KOMPSAT Data to Open Data Cube, Jou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1): 6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8/kagis.2019.22.1.062 

  15. Lee, K., S.G. Jeon, S.Y. Seong, and K.M. Kang, 2021. Technology Trend in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ry Analysis Tools, Jou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1(2): 268-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2912/jsta.2021.1.2.268 

  16. Lee, S., 2020. Study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flooding and inundation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Korea. 

  17. Lee, S., M. Lee, and H. Kang, 2020. Current Flood Conditions and Persistent Countermeasure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Focus, Sejong, Korea. 

  18. Li, H., Z. Luo, Y. Xu, S. Zhu, X. Chen, X. Geong, and Y. Cui, 2021. A remote sensing-based area dataset for approximately 40 years that reveals the hydrological asynchrony of Lake Chad based on Google Earth Engine, Journal of Hydrology, 603: 126934. https://doi.org/10.1016/j.jhydrol.2021.126934 

  19. Mahdianpari, M., J.E. Granger, F. Mohammadimanesh, B. Salehi, B. Brisco, S. Homayouni, and M. Lang, 2020. Meta-analysis of wetland classification using remote sensing: A systematic review of a 49-year trend in North America, Remote Sensing, 12(11): 1882. https://doi.org/10.3390/rs12111882 

  20. Moon, J.J., S.U. Gang, and J.J. Lee, 2020. National precipitation analysis of 2020 floods, Water for Future, 53(10): 135-143. 

  21. Park, J., K.M. Kang, and E.H. Hwang, 2021. Extraction of Water Body Area using Micro Satellite SAR: A Case Study of the Daecheng Dam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4(4): 4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4.041 

  22. Park, S.E., 2016. Detection of water bodies from Kompsat-5 S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5): 539-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6.32.5.11 

  23. Singh, A., 1989. Digital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0: 989-1003. http//dx.doi.org/10.1080/01431168908903939 

  24. Shafizadeh-Moghadam, H., M. Khazaei, S.K. Alaviphanah, and Q. Weng, 2021. Google Earth Engine for large-scale land use and land cover mapping: an object-based classification approach using spectral, textural and topographical factors, GIScience & Remote Sensing, 58(6): 914-928. https://doi.org/10.1080/15481603.2021.1947623 

  25. Vos, K., K.D. Splinter, M.D. Harley, J.A. Simmons, and I.L. Turner, 2019. CoastSat: A Google Earth Engine-enabled Python toolkit to extract shorelines from publicly available satellite imagery,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122: 104528. https://doi.org/10.1016/j.envsoft.2019.104528 

  26. Won, J., Y.S. Son, S. Lee, L. Kang, and S. Kim, 2021. Evaluation of Utilz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for Drought Monitor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6-2): 1803-18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1.37.6.2.3 

  27. Yang, H., J.S. Kim, H. Cheon, and J.K. Kim, 2013.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Distortion on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 Proc. of 2013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Summer Conference, Jeju, Jul. 3-5, p. 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