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하우징용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Hous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4, 2022년, pp.331 - 337  

윤여성 (한국자동차연구원) ,  장민혁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부) ,  문동준 (한국자동차연구원) ,  장은진 (한국자동차연구원) ,  오미혜 (한국자동차연구원) ,  박주일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 소재에서 경량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열가소성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매트릭스 소재는 고분자 소재인 나일론 6를 사용 하였으며 방열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높은 Boron Nitrate(BN)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필러의 함량 및 입자 크기에 따른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방열 특성을 분석하였다. 필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전도도 값이 증가하였으며, 입자크기가 60~70㎛인 BN의 함량이 50%인 복합재료의 경우 1.4W/mK 이상 열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입자 크기가 클수록 입자 간 계면 접촉면이 넓어져 Thermal path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열전도성 고분자복합재료를 이용하여 배터리 하우징을 제작하였으며 셀의 충방전 동안 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대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ufactur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to replace the metal materials used as battery housing materials for electric vehicles with lightweight materials. As the matrix material, nylon 6 which is a polymer material was used. Boron Nitrate(BN), which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was used to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3)

  1. W. J. Lee (2019). Supply and demand. SEOUL :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2. R. J. Brodd & W. Martin. (2004).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104, 4245-4269. DOI : 10.1021/cr020730k 

  3. Q. Wang, B. Jiang, B. Li & Y. Yan. (2016). A critical review of thermal management models and solutions of lithium-ion batteries for the development of pure electric vehicl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4, 106-128. DOI : 10.1016/j.rser.2016.05.033 

  4. X. Fenga, M. Ouyang, X. Liu, L. Lu, Y. Xia & X. He. (2018). Thermal runaway mechanism of lithium ion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 A review. Energy Storage Materials, 10, 246-267. DOI : 10.1016/j.ensm.2017.05.013 

  5. J. C. Kim, G. R. Choi & S. J. Lee. (2011). Thermal Runaway Prevention of MOV and Safety Improvement of Power Line System and Internal Electronic Device Circuit Using a Phosphorous Switching Modu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5(9), 75-79. DOI : /10.5207/JIEIE.2011.25.9.075 

  6. D. Ouyang, M. Chen, Q. Huang, J. Weng, Z. Wan & J. Wang. (2019) A Review on the Thermal Hazards of the Lithium-Ion Battery and the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pplied Sciences, 9(12), 2483. DOI : 10.3390/app9122483 

  7. R. Spotnitz & J. Franklinb. (2003) Abuse Behavior of High-power, Lithium-ion Cells. Journal of Power Source, 113, 81-100. DOI : 10.1016/S0378-7753(02)00488-3 

  8. H. Maleki & A. K. Shamsuri. (2003). Thermal Analysis and Modeling of a Notebook Computer Battery. Journal of Power Source, 115, 131-136. DOI : 10.1016/S0378-7753(02)00722-X 

  9. J. Y. Han, S. S. Kim & S. S. Yu. (2012). Lithium-ion battery thermal management two-dimension modeling for hybrid vehicles thermal management. The Korean Society Automotive Engineers, 2338-2343. 

  10. L. Aiello et al. (2020). In Situ Measurement of Ortho tropic Thermal Conductivity on Commercial Pouch Lithium-Ion Batteries with Thermoelectric Device. Batteries, 6(1), 10. DOI : 10.3390/batteries6010010 

  11. C. Huang, X. Qian & R. Yang. (2018).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s and polymer nanocomposit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 Reports. 132, 1-22. DOI : doi.org/10.1016/j.mser.2018.06.002 

  12. K. Sanada, Y. Tada & Y. Shindo. (2009).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Composites with Close-packed Structure of Nano and Micro Fillers. Journal of Composites, 40, 724-730. DOI : 10.1016/j.compositesa.2009.02.024 

  13. Y. S. Yoon, M. H. Oh & D. J. Moon. (2019). A Study of Heat Sink for Different Composite Materials. ICCM 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