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납계열 안료의 대기환경에 따른 열화특성
Degradation of Lead-based Pigments by Atmospheric Environmen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5 no.3, 2022년, pp.281 - 293  

박주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백, 연단, 밀타승으로 대표되는 납계열 안료의 대기환경에 따른 열화특성을 규명하였다. 자외선에 노출된 채색시편들은 모두 색차가 4~31로 어두워졌으나 성분에 변화는 없었다. CO2는 시편의 색상 뿐 아니라 성분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반면 NO2에 노출된 시편들은 색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Lead nitrate(Pb(NO3)2)와 같은 2차 생성물이 확인되었다. 연백과 연단은 NO2에 의한 색차가 각각 2와 10으로 시험 전에 비해 어두워졌으나 밀타승은 색차가 5이고 시험 전에 비해 밝게 변했다. 이를 통해 CO2와 NO2가 동일한 농도일 경우 CO2에 비해 NO2가 안료 보존에 영향력 있는 대기환경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미세먼지에 존재하는 염의 영향을 보기 위해 5% NaCl(in distilled water)를 제조하여 염수 분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백, 연단, 밀타승 모두 시편 색변화와 함께 표면에 2차 생성물이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아교도막이 박락되거나 hole이 형성되었으며, 생성물을 중심으로 색상이 변하였다. 또한 염수분무 후 XRD 피크 강도와 결정도가 함께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염수분무 후 시료의 성분분석 결과 연백의 경우 Litharge가, 밀타승의 경우 Litharge와 Minium이 새로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채색안료의 보존에 영향력 있는 대기환경 인자는 자외선, NO2, 수용성 염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납계열 안료 중 밀타승의 안정성이 다른 안료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lead based pigments(white lead, Red lead, Litharge) according to atmospheric environmet condition, for example atmospheric gas(CO2, NO2) and soluble salt. Painted samples not changed material compositions but were occured the color change(𝚫E 4~31) a...

주제어

참고문헌 (24)

  1. Aze, S., Vallet, J.M., Detalle, V., Grauby, O. and Baronnet, A. (2008) Chromatic of red lead pigments in artworks: a review. Phase Transition, v.81, p.145-154. doi: 10.1080/01411590701514326 

  2. Brooker, M.H., Irish, D.E. and Boyd, G.E. (1970) Ionic interactions in crystals:infrared and Raman spectra of powdered Ca(NO 3 ) 2 , Sr(NO 3 ) 2 , Ba(NO 3 ) 2 and Pb(NO 3 ) 2 . The Journal of Chemical Physics, v.53, p.1083-1087. 

  3. Eastaugh, N., Walsh, V., Chaplin, T. and Siddall, R. (2004) Pigment compendium:a dictionary of historical pigments. p.229, p.233, p.241 p.256. 

  4. Gliozzo, E. and Ionescu, C. (2022) Pigments-lead based white, reds, yellows and oranged and their alteration phases.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v.14, p.1-66. doi: 10.1007/s12520-021-01407-z 

  5. Gonsalez, V., Wallez, G., Calligaro, T., Gourier, D. and Menu, M. (2019) Synthesizing lead white pigments by lead corrosion:new insights into the ancient manufacturing processes. Corrosion Science, v.146, p.10-17. doi: 10.1016/j.corsci.2018.10.033 

  6. Hwang, I.S. (2004) Discoloration of lead containing pigments in paintings(II).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Seoul, p.72-74. 

  7. Jang, S.W., Park, Y.S., Park, D.W. and Kim, J.K. (2010) A study on Dancheong pigment of old wooden building in Gwangju and Jeonnam,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3), p.269-278. 

  8. Jeong, J.M. (2001) The color nad paint of the korean painting. Hakgojae, Seoul, p.52. 

  9. Kim, M. (2013) Discoloration of lead red by the environmental influence, Master thesis, Yongin University, p.42-49. (in Ke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S., Jeong, H.Y., Byun, D.J., Yoo, M.J., Kim, M.N. and Lee, S.M. (2020) Monitoring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dancheong pigment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6, p.549-561. (in Kerean) doi: 10.12654/JCS.2020.36.6.11 

  11. Kotulanova, E., Bezdicka, P., Hradil, D., Hradilova, J., Svarcova, S. and Grygar, T. (2009), Degradation of lead-based pigments by salt solution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10, p.367-378. doi: 10.1016/j.culher.2008.11.001 

  12. Lee, E.W., Yoon, J.H., Kwon, Y.M. and Shin, T.H. (2020) Interpretation of Coloring Materials Recorded in Ceremonial Writing of the Hanging Painting of Chiljangsa Temple (Five Buddha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6), p.519-532. doi: 10.12654/JCS.2020.36.6.08 

  13. Lee, J.J., Gyeong, Y.J., Lee, J.S. and Seo, M.S., (2019) Scientific Analysis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Pigments of Gwaebultaeng in Boeun Beopjusa Templ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52(4), p.226-245. doi: 10.22755/kjchs.2019.52.4.226 

  14. Lee, K.M., Lee, H.W. and Kim, M.J. (2012)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Materials and Condition for Buddhist Wall Painting - Focusing on Wall paintings of Judgement Hall in Jikji Temple -. Journal of Buddhist Art, v.14, p.181-205. 

  15. Lee, Y.J., Kim, J.W., Han, M.S. and Kang, D.I. (2018) Effect to the discoloration of lead based pigments by the factors of air environ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2, p.69-76. (in Kerean) doi: 10.12654/JCS.2018.34.2.01 

  16. Minch, R. and Dubrovinsky, L. (2010)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PbCO 3 at high pressures and temperatures. Physics and Chemistry of Minerals, v.37, p.45-56. doi: 10.1007%2Fs00269-009-0308-0 

  17. Prathap, K., Venkateshwar Rao, E., Kumar, P.M. and Hussain, K.A. (2020) FT-IR spectra analysis of PbxSr1-x(NO 3 ) 2 mixed crystala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Macromolecular Symposia. doi: 10.1002/masy.202000189 

  18. She, Z., Yang M., Luo, T., Feng, X., Wei, J. and Hu, X. (2021) Lead release and species transfortation of commercial minium pigments in aqueous phase under UV-irradiation. Chemosphere, v.269, p.1-9. doi: 10.1016/j.chemosphere.2020.128769 

  19. Song, Y.N. and Kim, G.H. (2014) A Consideration of Pigments name on Ceremonial writing of Youngsan Ritual Ceremony Buddhist Painting, BongJeongs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1), p.13-25. doi: 10.12654/JCS.2014.30.1.02 

  20. Tapsoba, I., Arbault, S., Walter, P. and Amatore, C. (2010) Finding out Egytian God's secret using analytical chemistry: Biomedical properties of Egytian black makeup revealed by Amperometry at single cells. Letters to Analytical Chemistry, v.82, p.457-460. doi: 10.1021/ac902348g 

  21. Vagnini, M., Vivani, R., Sgamellotti, A. and Miliani, C. (2020) Blackening of lead white_study of model paintings.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v.51, p.1118-1126. doi: 10.1002/jrs.5879 

  22. Yun, E.Y and Chang, Y.H. (2016) Analysis of Pigment on Portraits of Sim Hui-su in Joseon Period.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4), p.571-578. doi: 10.12654/JCS.2016.32.4.11 

  23. Zhao, Y., Tang, Y., Tong, T., Sun, Z., Yu, Z., Zhu, Y. and Tong, Hua. (2016) Red lead degradation:monitoring of color ahange over time. New Journal of chemistry, v.40, p.3686-3692. 

  24. Zhao, Y., Wang, J. Pan, A., He, L. and Simon, S. (2019) Degradation of red lead pigment in the oil painting during UV aging.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v.44, no.5, p.790-797. doi: 10.1002/col.22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