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김중업 건축의 조형세계는 매우 직관적이고 시적이어서 그것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가 매우 힘들다. 특히 그 가 진행시킨 창작과정이 합리적인 대안들의 설정과 선택이라는 흔히 쓰이는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 니고, 개인의 창의력을 기반으로 순간적인 영감에 주로 의존했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지만 최근 연구과정에 서 그의 스케치들이 새롭게 발견됨에 따라, 과학적 연구를 위한 몇가지 단초가 열렸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 서는 최근의 예술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1)김중업이 가지고 있었던 이런 쉐마들을 규명하고, 2)이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실체 건축으로 건축으로 표현되었으며, 3)이 쉐마들과 김중업의 건축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연 구해 보기로 하겠다. 우리는 김중업이 남긴 스케치를 중심으로 그가 가지고 있는 표상쉐마를 추출하였다. 세가지 정도로 요약되 는데, 하나는 굵은 선들이 여러개 중첩되면서 나타나는 도상(schema1)이다. 이것은 김중업 건축이 가지는 선적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다. 두번째 쉐마(schema2)는 둥근 원들이 포도송이처럼 붙어 있어서 건물에 유 기적이고 가변적인 성격을 부여한다. 세번째 쉐마(schema3)는 날카로운 예각으로 구성된 것으로 곡선에 긴 장감을 부여한다. 이들 쉐마들은 물론 김중업이 설계한 건물들과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다. 건축이 갖는 현 실적 여건, 즉 기능이나 건축주의 요구, 대지의 형상과 도시적 맥락, 구조적 한계 등에 의해 변형되고 왜곡되 었다. 그렇지만 김중업 건축이 가지는 조형세계의 기저에는 이들 쉐마가 깔려 있다고 생각한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