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무홍채증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 발생한 전방 내 섬유혈관막 1예
A Case of Anterior Fibrovascular Membrane Aft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Congenital Aniridia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5 = no.329, 2008년, pp.835 - 839  

이규성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문종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  박종운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최재호 (누네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백내장을 동반한 선천성 무홍채증 환자에서 백내장제거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 시행 후 발생한 섬유혈관막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양안의 선천성 백내장과 무홍채증이 있는 13세 여아에서 초음파 유화술을 이용한 백내장 흡인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양안에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 경과 관찰상 섬유혈관막이 양안 인공수정체 전면과 홍채 가장자리를 포함한 전방에 발생하였다. 양안에 발생된 섬유혈관막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5주 만에 다시 재발하여 재발 방지와 안구 퇴화 방지를 위하여 섬유혈관막 및 인공수정체를 함께 제거하였다. 술 중 소견으로 인공수정체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으로도 막 증식이 진행되어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제거된 막의 조직병리소견으로 잔존 홍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심한 섬유성 조직이 관찰되었다. 결론: 선천성 무홍채증 환자에서는 인공수정체 삽입술 시행 후 섬유막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섬유막 발생시 신속한 섬유혈관막의 제거뿐 만 아니라 재발 및 합병증의 방지를 위해 삽입한 인공수정체의 제거 또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n anterior fibrovascular membrane following cataract extraction an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a patient with congenital aniridia. Case summary: A 13-year-old girl presented with congenital aniridia and cataracts in both eyes. She underwent cataract extraction by ...

주제어

참고문헌 (19)

  1. J Chir Augen-Heilkund Barratta 2 677 1821 

  2. Am J Hum Genet Shaw 12 389 1960 

  3. J Med Genet Axton 34 279 1997 10.1136/jmg.34.4.279 

  4. Trans Ophthalmol Soc U K Collins 13 128 1883 

  5. Opthalmology Nwell 282 1996 8 

  6. Am J Ophthalmol Layman 77 513 1974 10.1016/0002-9394(74)90464-4 

  7. Am J Ophthalmol Elsas 83 718 1977 10.1016/0002-9394(77)90139-8 

  8. AMA Arch Ophthalmol Lewallen 59 831 1958 10.1001/archopht.1958.00940070045004 

  9. J Korean Ophthalmol Soc Chung 12 50 1971 

  10. J Korean Ophthalmol Soc Ahn 30 815 1989 

  11. Arch Ophthalmol Grove 65 81 1961 10.1001/archopht.1961.01840020083016 

  12. System of Ophthalmology Duke-Elder 3 586 1971 

  13. Ophthalmic Surg Sundmacher 25 180 1994 

  14.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39 1748 1998 

  15. Am J Ophthalmol Tsai 140 1075 2005 10.1016/j.ajo.2005.07.035 

  16. Oftalmologia Stefan 38 141 1994 

  17. J Cataract Refract Surg Osher 25 1540 1999 10.1016/S0886-3350(99)00246-1 

  18. Arch Ophthalmol Chan 104 1040 1986 10.1001/archopht.1986.01050190098047 

  19. N Engl J Med Hurwitz 350 2335 2004 10.1056/NEJMoa0326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