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녹내장 환자의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alysis in Early Glaucoma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7 = no.331, 2008년, pp.1101 - 1107  

권순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안과학교실) ,  박인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안과학교실) ,  정윤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안과학교실)

초록

목적: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초기 녹내장 환자의 상하측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 녹내장 조기 진단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망막신경섬유층 사진상 상하측 중 단측에서만 국소적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관찰되는 녹내장 환자 중 표준자동시야검사에서 정상을 보이는 시야결손 전 녹내장 40안과, 초기 시야결손 녹내장 48안(MD>-6dB)을 대상으로 상측 및 하측 결손군으로 나누어 Stratus OCT를 이용,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한 후 정상군 59안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초기 녹내장 환자와 정상군의 망막신경섬유층의 평균두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야결손 전 녹내장과 초기 시야결손 녹내장의 상측 및 하측 결손군의 상하측 망막신경섬유 두께차이(상측두께-하측두께)는 -20.5±16.4 μm, 15.0±14.2 μm, -24.0±17.2 μm, 18.4±16.7 μm로 초기 녹내장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정상군(-8.2±17.1 μm)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시야결손 전 녹내장 환자의 상하측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차이는 초기 시야결손 녹내장 환자와 비슷하였고, 정상군보다는 컸다. 이를 이용하면 초기 녹내장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in early glaucoma patients who have RNFL defect in either superior quadrant or inferior quadrant and to determine if it can be useful to detect early glaucomatous change. Me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Arch Ophthalmol Quigley 100 135 1982 10.1001/archopht.1982.01030030137016 

  2. Am J Ophthalmol Quigley 107 453 1989 10.1016/0002-9394(89)90488-1 

  3. Invest Ophthalmol Vis Sci Kerrigan-Baumrind 41 741 2000 

  4. Invest Ophthlamol Vis Sci Greaney 43 140 2002 

  5. Arch Ophthalmol Bagga 124 169 2006 10.1001/archopht.124.2.169 

  6. J Glaucoma Kwok 12 45 2003 10.1097/00061198-200302000-00009 

  7. Am J Ophthalmol Quigley 107 453 1989 10.1016/0002-9394(89)90488-1 

  8. J Glaucoma Chi 406 644 1995 

  9. Am J Ophthalmol Williams 134 538 2002 10.1016/S0002-9394(02)01683-5 

  10. Acta Ophthalmol Scand Da pozzo 84 375 2006 10.1111/j.1600-0420.2006.00655.x 

  11. Automated static perimetry Anderson 80 1992 1 

  12. Am J Ophthalmol Airaksinen 98 566 1984 10.1016/0002-9394(84)90242-3 

  13. Arch Ophthalmol Sommer 109 77 1991 10.1001/archopht.1991.01080010079037 

  14. Am J Ophthalmol Johnson 135 148 2003 10.1016/S0002-9394(02)01930-X 

  15. J Glaucoma Hwang 15 223 2006 10.1097/01.ijg.0000212218.96932.f7 

  16. Invest Ophthalmol Vis Sci Kim 48 1635 2007 10.1167/iovs.06-0800 

  17. J Glaucoma Badlani 15 275 2006 10.1097/01.ijg.0000212298.23787.bf 

  18. J Korea Ophthalmol Soc Kim 35 565 1994 

  19. Ophthalmology Budenz 112 3 2005 10.1016/j.ophtha.2004.06.039 

  20. Invest Ophthalmol Vis Sci Kim 48 1635 2007 10.1167/iovs.06-08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