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신경 과민반응 발현 이전의 에이디 긴장성 동공 1예
A Case of Adie’s Tonic Pupil before Presentation of Denervation Hypersensitivity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12 = no.336, 2008년, pp.2032 - 2036  

이규성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  최현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  김혜영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에이디 긴장성 동공(Adie’s tonic pupil)의 진단에 있어 0.125% 필로카핀에 대한 탈신경 과민반응(denervation supersensitivity)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경절 손상 후 탈신경 과민반응이 나타나기까지는 수주가 소요된다. 저자들은 탈신경 과민 반응이 발현되기 이전의 에이디 긴장성 동공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과거력 없는 53세 남자 환자가 좌안 동공산대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동공 크기는 우안 3 mm, 좌안 8 mm였으며, 좌안에 직접 및 간접대광반사와 근접반사 소실이 관찰되었다. 0.125% 필로카핀 점안 후 양안 모두 축동 반응 보이지 않았으나, 2% 필로카핀 점안 후에는 양측 동공이 축동되었다. 내원 5개월 째 양안 동공 크기는 변화가 없었으나, 0.125% 필로카핀 점안 후 좌안 축동이 관찰되었다. 결론: 특별한 원인이 없이 단독으로 동공 산대를 보이는 경우 0.125% 필로카핀에 축동을 보이지 않더라도, 에이디 긴장성 동공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경과 관찰 후 탈신경 과민반응의 발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to 0.125% pilocarpin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a diagnosis of Adie’s tonic pupil. However, it generally takes several weeks for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to manifest after an injury to the nerve ganglion. We report a case of ‘acute’ Adie’s tonic pupil...

주제어

참고문헌 (23)

  1. Curr Opin Ophthalmol Kawasaki 10 394 1999 10.1097/00055735-199912000-00005 

  2. J Neuroophthalmol Thompson 26 138 2006 

  3. J Anat Warwick 88 71 1954 

  4. J Korean Ophthalmol Soc Cha 9 1588 1968 

  5. J Korean Ophthalmol Soc Cho 22 267 1981 

  6. J Korean Ophthalmol Soc Kong 21 265 1980 

  7. Trans ophthalmol Soc U K Holmes 51 209 1931 

  8. Brain Adie 55 98 1932 10.1093/brain/55.1.98 

  9. Ophthalmologica Leibovitch 216 71 2002 10.1159/000048302 

  10. Acta Ophthalmol Hallden 52 242 1974 10.1111/j.1755-3768.1974.tb00373.x 

  11. Ophthalmologica Wabbels 218 141 2004 10.1159/000076151 

  12. Trans Am Ophthalmol Soc Adler 38 183 1940 

  13. Am J Ophthalmol Loewenfeld 63 46 1967 10.1016/0002-9394(67)90579-X 

  14. Brain Harrimann 91 401 1968 10.1093/brain/91.3.401 

  15. Ann Neurol Wirtschafter 4 1 1978 10.1002/ana.410040102 

  16. Ann Neurol Loewenfeld 10 275 1981 10.1002/ana.410100316 

  17. J Physiol Anderson 33 414 1905 10.1113/jphysiol.1905.sp001129 

  18. Arch Fam Med Lee 6 385 1997 10.1001/archfami.6.4.385 

  19. Textbook of Ophthalmology Scheie 514 1997 9 

  20. Ophthalmologica Thompson 189 21 1984 10.1159/000309380 

  21. J Neuroophthalmol Thompson 26 134 2006 10.1097/01.wno.0000222971.09745.91 

  22. Arch Ophthalmol Bell 96 638 1978 10.1001/archopht.1978.03910050334008 

  23. Ann Ophthalmol Flach 16 1151 19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