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일차의료 질평가 연구의 현황 분석
Present Status of Papers on the Primary Care Quality Assessment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KJFM, v.30 no.7, 2009년, pp.525 - 532  

정재욱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  성낙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의료 질평가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일차의료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기에 지금까지의 연구자료를 분류 및 요약하여 현재의 수준 인식과 차후 연구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일차의료 관련 논문이 많이 실리는 가정의학회지와 국내 논문의 대표적 검색엔진에서 '일차의료', '일차진료', '개원', '공중보건의', '보건소'로 2008년 10월에 검색을 한 후 결과물에서 관련 논문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논문의 참고문헌에서 추가로 자료를 찾았다. 선별 자료를 정리하여 일차의료 전문가에게 자문하여 빠진 자료를 보충하였다. 질평가 분류는 일차의료에 적합한 Starfield의 분류를 따랐다. 결과: 관련자료는 총 29건이었다. 자료 수집방법으로는 우편이나 전화를 통하여 공급자 답변을 들은 것이 20건(69.0%), 실제 자료를 분석한 것이 6건(20.7%), 수요자 답변 분석, 청구자료와 환자 답변 동시 분석, 합의에 의한 것이 각각 1건(3.4%) 이었다. 질평가 관점별로는 자원 역량분야가 11건(37.9%), 서비스제공 분야가 4건(13.8%), 서비스에 따른 결과 분야가 2건 (6.9%), 임상적 수행성이 12건(41.4%)이었다. 임상적 수행성논문의 주제는 대부분이 흔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장비나 술기에 대해서는 기관마다 차이가 많았다. 일차의료 점수는 저조하였다. 결론: 전체적으로 자료가 적고 결과 영역의 연구는 상대적으로도 부족하다. 수요자가 평가하는 자료, 구체적 처방자료를 이용한 분석으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추후로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 중 일차의료 관련 지표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국제 간 비교도 가능하며 일차의료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analysis of the papers on the primary care quality assessment in Korea was performed to summarize existing papers, estimate the level of primary care quality, and suggest the directions and areas of the future research. Methods: Primary care quality-related papers were selected via i...

주제어

참고문헌 (39)

  1. Textbook of family medicine Lee 13 2007 

  2. Fam Med Lee 39 425 2007 

  3. J Korean Acad Fam Med Park 23 677 2002 

  4. Primary care: balancing health needs, services, and technology Starfield 1988 

  5. J Korean Acad Fam Med Cho 15 847 1994 

  6. N Engl J Med Roland 351 1448 2004 10.1056/NEJMhpr041294 

  7. Qual Manag Health Care Damberg 14 66 2005 10.1097/00019514-200504000-00002 

  8. J Korean Acad Fam Med Cha 16 217 1995 

  9. J Korean Acad Fam Med Ko 16 824 1995 

  10. J Korean Acad Fam Med Yeoum 17 649 1996 

  11. J Korean Acad Fam Med Byeon 18 1519 1997 

  12. J Korean Acad Fam Med Cheong 19 1410 1998 

  13. J Korean Acad Fam Med Lee 19 437 1998 

  14. J Korean Acad Fam Med Jeoung 20 886 1999 

  15. J Korean Acad Fam Med Lee 22 1779 2001 

  16. J Korean Med Sci Cho 18 783 2003 10.3346/jkms.2003.18.6.783 

  17. J Korean Acad Fam Med Lee 28 17 2007 

  18. J Korean Acad Fam Med Ahn 22 483 2001 

  19. J Korean Acad Fam Med Kim 9 6 1 1988 

  20. J Korean Acad Fam Med Kim 20 1741 1999 

  21. J Korean Acad Fam Med Baek 26 404 2005 

  22. J Korean Acad Fam Med Lee 28 286 2007 

  23. The study on the continuity of care in primary care service of elderly patients in Korea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7. cited 2009 May 22.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ci_icenter_inter.do?action=getStudyInfo 

  24. Korean J Health Policy Adm Choi 18 85 2008 

  25.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Lee 17 3 1991 

  26. J Korean Neurol Assoc Shin 13 214 1995 

  27.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Song 3 126 1996 

  28. Korean J Lipidol Park 7 85 1997 

  29.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Cho 4 36 1997 

  30. J Korean Acad Fam Med Cho 22 498 2001 

  31. J Korean Acad Fam Med Cho 22 511 2001 

  32. J Korean Acad Fam Med Cho 22 1394 2001 

  33. Pharmacoepidemiol Drug Saf Cho 11 401 2002 10.1002/pds.718 

  34. Tuberc Respir Dis Lee 55 165 2003 10.4046/trd.2003.55.2.165 

  35. J Korean Acad Fam Med Jang 27 706 2006 

  36. J Korean Acad Fam Med Park 27 789 2006 

  37. Qual Health Care Geboers 8 43 1999 10.1136/qshc.8.1.43 

  38. Int J Qual Health Care Mainz 15 523 2003 10.1093/intqhc/mzg081 

  39.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Kim 14 7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