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어 :
검색결과 (3)
[학위논문] 중국 상하이 소형 아파트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공·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mall apartments in Shanghai)

왕이야오 (건국대학교)
2017 , xi, 109장 , 건국대학교 , 국내석사

최근 중국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문화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추세이다. 특히, 상하이는 중국의 대도시로서 급격한 경제성장과 대규모의 외래인구유입, 사회의식의 변화로 가족의 형태가 전형적 가족유형에서 다양한 형태의 소형가구 유형으로 바뀌고 있어 소형평형의 아파트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소형평형 일수록 평면 계획에 따라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며, 공간을 구성하는 자연환경과 물리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를 이해한 평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급격히 늘어나는 1-2인 가구 증가율에 비해 소형 아파트 공급이 아직 부족한 상태이고 중국 소형 아파트에 대한 연구도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분양된 소형 아파트를 대상으로 20개의 사례에 나타나는 단위평면 현황을 조사하여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상하이 공동주택의 발전을 알아보고, 주택의 건설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를 바르게 인식하기 위하여 소형 아파트의 개념과 수요발생 요인을 알아보고 아파트의 공간구성의 개념과 공·사적 공간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공간구성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선정한 사례의 소형 아파트 평면을 수집 및 조사하여 일반적 내용과 수량 및 수치적 특성을 도출하고 단위평면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자연환경, 생활습관, 구성방식 측면의 공간구성 계획요소에 따라 공·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소형 아파트의 평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형 아파트의 공적 및 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구성 유형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사례의 조사 및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환경 측면에서 통풍·환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거의 쾌적성을 높이도록 전·후면 창을 통해 통풍이 잘 되는 대류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습관 측면에서 주생활 및 식생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삶의 질 향상되도록 자신의 기호에 다른 서비스공간을 제공해야한다. 식사 밖에서 하거나 구매해 집안으로 가져다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식당의 면적을 줄여야할 것이다. 셋째, 구성방식 측면에서 공간배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방과 식당이 일체화 혼합된 배치를 해야 하고 거주자가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나 공간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공간으로 계획해야할 것이다. 넷째, 구성방식 측면에서 동선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연결이 효율적이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여 공간의 기능적 분리와 독립은 공간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되는 것이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하이 한 지역만을 대상으로 소형 아파트 평면 계획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넓은 영토와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하는 중국에 있어서 지역적 문화적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중국의 주거문화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경제 성장이 높은 대도시인 상하이를 분석함으로서 소형 아파트의 거주자들이 필요로 하는 공간과 기능에 대해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중국의 다양한 지역을 고려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위논문] Determining the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in Vietnamese Women: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Role Strain

NGUYEN THI PHUONG THAO (Garduate school, Inje university, Korea)
2021 , 184 , Garduate school, Inje university, Korea , 국내박사

Postpartum depression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issue which has not only negative effects on maternal postpartum health but also on family relationship and infant growth and development. In Vietnam, postpartum depression is not usually cared in the community as well as in the health care system because it is insufficiently screened or diagnosed and followed up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Moreove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analyzing, predict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Especially there is less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role strain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Vietnam. Moreover, the support of the theoretical model in which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infant temperament were linked to postpartum depression symptoms through their effects on maternal role strain is important both contribute to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se processes and to seek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Vietnamese women.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predi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and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aternal role strain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gree of self-efficacy, infant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The focus of correlational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performed on 190 mothers who were the first birth from four weeks to six months and be enrolled to give vaccination in 12 community health centers of Hue city in Vietnam. Data gathering tools included the “Perceived Self-Efficacy Scale”, “Maternal Social Support Scale”, “Difficult Infant Temperament Scale”, “Maternal Role Strain Scale”, and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SPSS software, which was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atistical independent t-test or one-way ANOVA test, mediation. These were tested by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s by using Baron and Kenny methods. The Sobel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prevalence of probable postpartum depression which had the EPDS score at or greater cut-off of 13 points was 18.9%.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mother’s occupation (t=-2.86, p=.005),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F=5.91, p=.003), stressful life events (t=2.94, p=.004), paid maternity leave (F=6.83, p=.001), and gestational age (t=3.32, p=.001), history of mental health (t=3.86, p<.001), self-efficacy (r=-.15, p=.030), and social support (r=-.38, p<.001), infant temperament (r=.40, p<.001), and maternal role strain (r=.59, p<.001). Furthermore, there was identified paid maternity leave (β=-.16, p=.004), gestational age (β=.15, p=.005), history of mental health (β=-.19, p=.002), self-efficacy (β=.12, p=.031), and the maternal role strain (β=.47, p<.001) as the prediction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regression model with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s 46% of the variance. As the mediating effects, maternal role strai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ostpartum depression. Besides, maternal role strain was also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among postpartum wome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nursing science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role strain on postpartum depression in Vietnam. Future research suggests solutions for professional exper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aims at the reduction of maternal role strain to decrease the impact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on postpartum depression.

[학위논문]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205p.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국내박사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콘텐츠

워드클라우드

* 저자 및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결과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기 논문 없음
(1주 전)

내가 본 논문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