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
국가RnD연구보고서의 원문 비공개 사유

1.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국가
    핵심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2.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핵심전략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3. 법 제21조제2항에 따라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4.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해당 연구개발성과에 대하여 지식재산권을 취득
    하려는 경우
5. 외국의 정부ㆍ기관ㆍ단체와의 협정ㆍ조약ㆍ양해각서 등에 따라 해당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비공개를 요청하는 경우
6.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2에 따라 중소
    기업이 연구개발성과를 임치한 경우
7. 그 밖에 영업비밀 보호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022.1.1 시행)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기한(3년)이 만료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상세정보

조류의 생태학적 기능에 대하여 증가하고 있는 인식

보고서상세정보
등록일자 2006-11-20
초록 ○ 조류(鳥類)는 생태계 업무를 제공하는 가장 다양한 그룹들 중의 하나이며 그 생태적 기능은 토양을 만드는 것에서 영장류의 행동을 형성하는 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조류가 생태적 과정에 주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느낌에 대한 변화는 거의 없는 듯하다.

○ 현재 진행 중인 것들은 조류의 기능적 그룹에서의 쇠퇴를 의미하는 경향이 있으나 조류의 생태적 기능을 다른 분류군의 것들과 비교하여 이 기능들이 생태계의 역할에 어떻게 설명되어 지는지를 이해하고 생태적 영향을 평가하여 볼 필요가 있음을 절실하게 느낀다.

○ 본 보고서는 조류의 생태적 기능들을 검토하면서 이를 생태계의 역할과 연관지어 보고 현행 연구들의 우선순위를 가늠하여 보면서 생태계 기능에 조류가 기여하는 내용들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조류는 동물분류학에서 척색동물문(脊索動物門) 하에 척추동물아문(亞門) 아래에 포유강, 양서강, 파충강과 함께 조강으로 편재되고 있으며 이 네 강은 사지상강(四肢上綱)으로 묶여진다. 조류의 두 날개는 파충류에서 앞다리가 진화된 것으로 진화학자들은 보고 있는데 시조새의 화석이 발견되어 잃어버린 빈 고리를 채우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 보고서는 조류가 생태계에 주는 영향은 대단한 것으로 검토되고 있는데 맹금(猛禽)류가 하늘에 떠 있는 동안은 땅위의 설치(齧齒)류들은 숨어 다니기 바쁘다. 바로 맹금류의 존재 자체만으로 생태계의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사자 같은 포식자들이 잡아먹고 남긴 동물의 시체는 하이에나, 조류 청소부들의 순서를 거친 후 최후에는 개미들에 의하여 깨끗한 뼈대만이 남게 된다.

○ 우리나라도 조류를 연구하는 많은 분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글이 이 분야에서 분투하시는 연구진들에게 일부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출처 RES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