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종호
|
참여연구자 |
김양하
,
장양수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4-11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사업 관리 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등록번호 |
TRKO200500002630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건강기능식품.콜레스테롤.바이오마커.기능성평가.health functional food.cholesterol.biomarker.functional evaluating.
|
초록
▼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을 인체시험, 동물실험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2003년도에 제안된 기능성 평가체계의 보완 및 개선책을 마련함하여, 최종 도출 내용을 학회에서 발표하고,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함.
1) 제1세부; 인체에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 180-300mg/㎗ 성인 90명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저하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대사 조절효과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8주간 무작위 배정 3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을 인체시험, 동물실험 및 문헌조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2003년도에 제안된 기능성 평가체계의 보완 및 개선책을 마련함하여, 최종 도출 내용을 학회에서 발표하고,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함.
1) 제1세부; 인체에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 180-300mg/㎗ 성인 90명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저하효과와 혈중 콜레스테롤대사 조절효과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8주간 무작위 배정 3군(대조군, 키토산군, 키토올리고당군)으로 나누어 인체시험을 실시하였음. 대조군과 비교하여 키토산군과 키토올리고당군에서 혈청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음. 키토산군은 apoA1 농도와 PON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 간기능 지표인 GOT는 세군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나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음.
2) 제2세부; 동물에서 콜레스데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
① 레시틴(콜레스테롤 역수송 조절): rat 32마리를 정상대조군, 콜레스테롤free대조군, 레시틴 2%, 5%군 4 그룹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을 실시하였음.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레시틴 2%, 5%군에서 총콜레스테롤 농도, CETP활성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음 레시틴 5%에서 LCAT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음 ② 키토산, 키토올리고당(콜레스테롤과 담즙산 배설 조절): rat 40마리를 정상대조군, 콜레스테롤free대조군, 양성대조군(Cholestyramine), 키토산군(2%, 5%)군, 키토올리고당군(2%, 5%) 5그룹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을 실시하였음.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키토산 2%, 5%군은 비교하여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5%군은 체중증가와 food efficiency가 가장 낮았고, CYP7A가 증가되었음. 키토올리고당군(2%,5%)은 체중증가량이 낮았고, 특히 5%군은 AI는 높았으나 food efficacy, liver총콜레스테롤과 TG가 가장 낮았음.
3) 제3세부; 문헌조사를 통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DHA/EPA, 감마리놀렌산, 레시틴, 키토산, 키토올리고당 성분의 콜레스테롤 조절유형에 관한 국내외 문헌 67편을 조사하여 이들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음. 인체시험의 경우 시험기간 3개월 남녀 모두, 모든 연령층에서 실시한 경우가 많았고, 동물시험의 경우 실험기간 1개월, 수컷 rat에서 가장 많았음. 물질투여는 단독투여(키토산, DHA, EPA 등), 복합투여 순이었음. 2003년도 제시 바이오마커와 비교시 측정빈도는 인체, 동물시험 모두 혈청 콜레스테롤농도(90%↑), 타지질 농도(TG, LDL-, HDL-콜레스테롤) 순이었음. 이외 담즙산배설, 지질분획도 실시됨. 그러나 기제시된 효소활성과, 산화여부관련 측정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았음. 투여용량은 연구마다 다양하였고, 모든 용량에서 대체로 최소 5% 이상지질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콜레스테롤보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더 큰 폭 감소하였음. 측정지표로 DHA, EPA 투여시 콜레스테롤 포함 지질농도 전반을, 키틴, 키토산의 경우 주로 콜레스테롤과 LDL 콜FP스테롤만을 위주로 측정하였음.
4) 연구결과의 활용
2003년 제안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기능성평가체계의 보완 및 추가를 통하여 완성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건강기능식품의 동물/인체실험 기능성 평가기준 마련 및 시험법 예시마련에 활용함 연세대학교 '인체시험심의위원회'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므로 건강기능식품 효능규명을 위한 인체실험의 기본틀 제공에 활용할 수 있음. 고시형 콜레스테롤 조절품목의 문헌조사 데이터베이스는 관련 업체들이 제품개발시 기능성 표기를 위한 제반사업 준비에 활용할 수 있음.
Abstract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concerning func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human study, anim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s, and to establish and make up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suggested i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concerning func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human study, anim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s, and to establish and make up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suggested in 2003' research.
1) Part 1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concerning func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human studyNinety-adults between 180-300mg/㎗ of serum total cholesterol(TC) were randomly assigned to placebo group (PG), chitosan group(CG) and chito-oligosaccharides group(COG) for 8 weeks. Compared with PG, CG and COG had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HDLc and decrease in atherogenic index(Ai). However, TC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in these two groups. CG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apoA1 and PON activity.
2) Part 2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concerning func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animal study
① Lecithin(4wks): 32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groups; normal placebo(NP), cholesterol free placebo(CFP), Lecithin 2%(L2) and Lecithin 5%(L5). Compared with NF, L2 and L5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TC and CETP activity after 4 weeks. LCA T activity were higher in L5. ② Chitosan. Chito-olilgosaccharides (4wks): 40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groups; NP, CFP, Cholestyramine group, chitosan 2%(C2) and 5%(C5), chito-oligosaccharides 2%(CO2) and 5%(CO5). Compared with NF, C2 and C5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TC and weight gain. C5 had lower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and higher CYP7A and AI, but it showed lowest food efficiency and lowest levels of TC and TG of liver tissue.
3) Part 3 :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notification concerning func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sSixty-seven articles(domestic and international) were reviewed with key words of DHA/EPA, GLA, lecithin, chitosan and chito-oligosaccharides, and the results were established as database. Lots of human studies were conducted in 3 months period, both male and female, and overall age. Whereas, animal studies were generally conducted in 1 month period and male rat. Treatments were done dominantly with single materials (Chitosan, DHA, EP A etc) followed by combined ones. Compared to biomarkers suggested in 2003, frequencies of measures were in orders of blood TC, TG, LDLc and HDLc, in both human and animal studies. Excretion of bile acids and LDL subfractions were also measured. However, enzyme activity and oxidation were not measured in these research. Dose of treatment were various among studies. Most studies showed over 5% reduction in lipid levels, which was greater in TG or LDLc than TC. When treated with DHA or EP A, all kinds of lipids(including TC) were measured, on the other hand, when treated with chitin or chitosan, TC and LDLc were mainly measured.
4) Application with resultsThes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stablish function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cholesterol-regulation through animal/human studies, and the database will be useful to the manufacturers producing functional foods for function indication.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8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1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3
- 가. 연구 내용...13
- 나. 연구 방법...14
- 다. 연구 결과...19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9
- 가. 연구개발목표 달성도...29
- 나. 연구결과의 대외기여도...29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과 및 계획...31
- 가. 계량적성과...31
- 나. 성과내용기술...31
- 다. 활용계획...31
- 제 6 장 기타 중요변경사항...33
- 제 7 장 참고문헌...35
- 총괄 연구과제 요약...37
- 1 세부과제. 인체에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39
- 2 세부과제. 동물에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67
- 3 세부과제. 문헌조사를 통한 콜레스테롤 조절관련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의 적정성 검토...9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