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국가
핵심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2.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핵심전략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3. 법 제21조제2항에 따라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4.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해당 연구개발성과에 대하여 지식재산권을 취득
하려는 경우
5. 외국의 정부ㆍ기관ㆍ단체와의 협정ㆍ조약ㆍ양해각서 등에 따라 해당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비공개를 요청하는 경우
6.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2에 따라 중소
기업이 연구개발성과를 임치한 경우
7. 그 밖에 영업비밀 보호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022.1.1 시행)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기한(3년)이 만료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생물전환공정에 의한 유도체 창출 : Biotransformation은 미생물이나 효소 혹은 식물체 내의 반응 기구를 생촉매로 이용하여 약리활성 물질의 구조를 다양화하는 기술이며, 입체이성질체와 같이 접근이 어려운 부위에서 특이적...
1) 생물전환공정에 의한 유도체 창출 : Biotransformation은 미생물이나 효소 혹은 식물체 내의 반응 기구를 생촉매로 이용하여 약리활성 물질의 구조를 다양화하는 기술이며, 입체이성질체와 같이 접근이 어려운 부위에서 특이적 반응 산물을 도출할 수 있다(Holland, 1992). 본 연구과제에서는 미생물 혹은 효소를 생촉매로하여 귤피 추출물인 Hesperidin과 Naringin의 aglycon 부분이나 당골격을 생물전환/치환시켜 다양한 flavone 유도체 및 구조유사체를 생합성한다2) 유기합성에 의한 유도체 창출방법 : 본 실험에서는 hesperetin과 naringenin의 OH 그룹에 적당한 치환기를 선택적 또는 무작위적으로 도입하여 아래와 같은 ester, ether, carbonate, carbamate 계열의 유도체를 합성한다. 혼합물의 경우에는 재결정, chromatography 등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분리하여 각 유도체들의 순수 활성을 검정한다. 치환 그룹과 위치의 변화에 따른 활성의 변화 경향을 파악하여 구조와 활성의 상관관계를 확립하고 유도체 합성의 방향을 설정한다.3) In vivo 활성 검정 : 0.25% 또는 1%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6-8주간 투여한 토끼 동맹경화모델에서 naringin, hesperidin, 합성유도체 등을 투여 후 혈액화학 분석, 대동맥 조직염색을 통한 지방선등 죽상경화반의 퇴축 정도 분석, 각 장기의 조직학적 관찰, 간조직 염색을 통한 간독성 유무 및 형태계측, hepatic microsomal enzyme의 활성 분석 등을 HMG-CoA reductase 억제제인 Lovastatin(1 mg/kg/d) 투여군,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고지혈증 및 동맹경화증의 예방, 치료 활성을 검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의 세포고사는 TUNEL (Terminal deoxyuridyl transferase nick end labeling)방법으로, 세포증식은 PCNA(proliferating cellular nuclear antige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연구하였고, 대식세포, von Willebrand factor, 부착분자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하였다.4) In vivo 활성 검정 : Naringenin의 합성 유도체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한 LDL-Antioxidant의 활성 측정은 $Cu^{2+}$-mediated LDL-oxidation을 유발시키고, 이때 생성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산물인 dialedhyde를 TBA(thiobarbit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다. 흰쥐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배양하여 naringin을 각각 0, 10, 100 ${mu}M$의 농도로 24 시간 전처리 후, 산화 저비중지단백의 주 작용성분인 lysophosphatidylcholine(LysoPC)을 0, 10, 20, 100 ${mu}M$의 농도별로 투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염증관련 유전자의 상위조절인자인 NF-kB의 발현은 EMSA로 연구하였다. LysoPC를 투여한 지 6, 24, 48 시간에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를 하였고, 24, 48, 72 시간후에는 MT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증식정도를 알아보았다. naringin 치료군과 비치료군에서 NF-kB 발현정도,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정도를 비교하였다.
Abstract ▼
< In vivo study> New Zealand White Rabbits (2.0-2.5 kg) were fed on 0.25% or 1.0% cholesterol-containing diet for 8-weeks and then...
< In vivo study> New Zealand White Rabbits (2.0-2.5 kg) were fed on 0.25% or 1.0% cholesterol-containing diet for 8-weeks and then sacrific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measurement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serum GOT and GPT. Aortas and livers were harvested for evaluation of fatty streak and pathologic examination. < In vitro study> VSCMs (passage 4-7) were prepared from aorta of male Sprague-Dawley rat. Near-confluent cells were preincubated with 0, 10, 100M naringin for 24 hours and then, incubated with 0, 10, 20, 100M LysoPC. The cellular growth was measured by H3-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at 6, 24, 48 hours and by MTT assay at 24, 48, 72 hours after the incubation with LysoPC.
동맹경화증 예방, 치료 활성 신소재 개발;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탐색 개발;동맥경화모델에서 hesperidin, naringin 등 bioflavonoid 투여 후 혈중지질 농도 변화 및 죽상경화반 퇴축에 관한 연구주관연구기관 : 생명공학연구소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책임연구자 :
김영국
발행년월 : 2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