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시스템 구축(I)
Disaster Information Analysis Center Operation System Setup (I)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노아솔루션(주)
연구책임자 양동민
참여연구자 고원창 , 성호영 , 이정재 , 육연수 , 김보준 , 김보경 , 서병하 , 강현식 , 성규식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9-11
주관부처 행정안전부
과제관리전문기관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등록번호 TRKO201000012313
DB 구축일자 2013-04-18
키워드 방재정보분석센터운영시스템.자료공유시스템.방재정보분석시스템.데이터 연계.데이터 구축.Information Analysis Center Operation.Data Sharing System.Disaster Information Analysis system.Construction and Connection of data.

초록

1. 재해지도 서비스 시스템 개발
1) 재해지도 서비스 인터페이스 개발
2) 재해지도 서비스 시스템 개발
2. 자료공유 시스템 개발
1) 재난관리 단위시스템 DB 분석
2) 데이터 연계방안 구축
3) 단위시스템 자료공유 시스템 개발
3. 통합위험도 분석을 위한 방재정보분석시스템 개발
1) 재해유형별 위험도 분석 알고리즘 개발
2) GIS 지형정보 기반의 방재정보분석시스템 개발
4.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지원시스템 개발

Abstract

1. To Develop Service System of Disaster Map
1) Interface Development of Disaster Map Service
2) Development of System to Service of Disaster Map
2. Development of Data Sharing System
1) DB Analysis of Disaster Management Unit-System
2) Establish of Data Link Method
3) Development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7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7
  • 1.1.1 연구의 배경 ... 17
  • 1.1.2 연구의 목적 ... 19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9
  • 1.2.1 연구의 내용 ... 19
  • 1.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 23
  • 1.3.1 연구의 구성 ... 23
  • 1.3.2 연구의 흐름 ... 25
  • 제 2 장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시스템 구축 ... 27
  • 2.1 재해지도 서비스 인터페이스 개발 ... 27
  • 2.1.1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7
  • 2.1.2 재해지도 서비스 시스템 구축 과정 ... 46
  • 2.1.3 재해지도 서비스 시스템 개발 ... 64
  • 2.2 재난관리 단위 시스템 연계 ... 76
  • 2.2.1 재난관리 단위시스템 DB 및 자료처리 아키텍쳐 분석 ... 76
  • 2.2.2 마르미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구축 과정 ... 100
  • 2.2.3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시스템의 데이터 연계 ... 117
  • 2.2.4 단위시스템간 연계 및 운영시스템 개발 ... 128
  • 2.3 통합위험도 분석 시스템 개발 ... 131
  • 2.3.1 재해 유형별 위험도 분석 알고리즘 개발 ... 133
  • 2.3.2 GIS 지형정보에 기반한 방재정보분석시스템 개발 ... 168
  • 2.4 홍수범람 모의 모형 개발을 통한 방재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 ... 181
  • 2.4.1 홍수범람 모의 모형 ... 181
  • 2.4.2 홍수범람 모의를 위한 입력자료 구축 ... 201
  • 2.4.3 유역 단위 홍수범람 모형 구축 ... 206
  • 2.4.4 피해예측을 위한 위험도 분석 ... 217
  • 2.5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지원시스템 개발 ... 222
  • 2.5.1 방재연구를 위한 사용자 지원시스템 개발 ... 222
  • 2.5.2 재난관리 단위시스템 통합 연계운영 ... 223
  • 2.5.3 방재정보분석센터 통합 운영시스템 개발 ... 226
  • 2.6 시스템 시범 적용 및 문제 점 분석 ... 227
  • 2.6.1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시스템 시범 운영 ... 228
  • 2.6.2 문제점 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 ... 231
  • 제 3 장 결론 ... 233
  • 3.1 결론 ... 233
  • 3.1.1 재해사례지도서비스 ... 234
  • 3.1.2 자료공유시스템 ... 234
  • 3.1.3 방재정보분석시스템 ... 235
  • 3.1.4 운영지원시스템 ... 235
  • 3.2 활용방안 ... 235
  • 참고문헌 ... 237
  • 부록: English Summary ... 240
  • 그림차례 ... 0
  • 그림 1.1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시스템의 구성 및 내용 ... 20
  • 그림 1.2 시스템 구성도 ... 23
  • 그림 1.3 연구 구성도 ... 25
  • 그림 2.1 미국의 홍수보험요율지도 ... 30
  • 그림 2.2 미국 홍수보험제도의 구성 ... 31
  • 그림 2.3 일본의 침수상정 구역도 ... 32
  • 그림 2.4 일본의 홍수재해 지도 ... 32
  • 그림 2.5 통합된 침수상정구역도 및 홍수 피난지도 ... 32
  • 그림 2.6 체코 FRAT의 사용자 화면 ... 33
  • 그림 2.7 오스트리아 HORA의 화면 ... 34
  • 그림 2.8 프랑스의 보험지도 ... 35
  • 그림 2.9 독일의 보험지도 ... 36
  • 그림 2.10 이탈리아의 보험지도 ... 37
  • 그림 2.11 소방방재청 관련 지도관계도 ... 39
  • 그림 2.12 유성구 재해지도 ... 40
  • 그림 2.13 울산 북구의 종합재해지도 ... 41
  • 그림 2.14 울산 북구 재해지도 ... 42
  • 그림 2.15 중랑구의 침수흔적도 ... 44
  • 그림 2.16 재해지도서비스 시스템 구축 과정 ... 46
  • 그림 2.17 구글지도의 지도 검색 화면 ... 49
  • 그림 2.18 구글지도의 API 화면 ... 51
  • 그림 2.19 네이버지도의 지도 검색 화면 ... 52
  • 그림 2.20 네이버지도의 API 화면 ... 53
  • 그림 2.21 다음지도의 지도 검색 화면 ... 54
  • 그림 2.22 다음지도의 API 화면 ... 55
  • 그림 2.23 지도서비스별 위성지도 현황 ... 56
  • 그림 2.24 지도서비스별 일반지도 현황 ... 58
  • 그림 2.25 시스템 구축 흐름도 ... 61
  • 그림 2.26 페이지 레이아웃 설계 ... 63
  • 그림 2.27 재해지도 서비스 플랫폼 설계 ... 64
  • 그림 2.28 재해사례지도 서비스 시스템 ... 65
  • 그림 2.29 재해사례지도서비스의 지도 형태 ... 66
  • 그림 2.30 메인화면 ... 69
  • 그림 2.31 재해검색하기 ... 70
  • 그림 2.32 인접재해보기 ... 71
  • 그림 2.33 간략보기(피해개요) ... 72
  • 그림 2.34 간략보기(복구 전.후 사진) ... 73
  • 그림 2.35 간략보기(상세재해정보) ... 74
  • 그림 2.36 재해연대기 화면 ... 75
  • 그림 2.37 돌발홍수 발령 기준 정보 ... 78
  • 그림 2.38 돌발홍수 발령 정보 ... 79
  • 그림 2.39 우량 및 수위 데이터 정보 ... 79
  • 그림 2.40 경보국 상태 정보 ... 80
  • 그림 2.41 경보국 제원 정보 ... 81
  • 그림 2.42 우량국 제원 정보 ... 81
  • 그림 2.43 재해영향평가 사업지구 정보 ... 83
  • 그림 2.44 지점별 연최대강우량 정보 ... 83
  • 그림 2.45 산지돌발홍수예측시스템 자료처리 흐름 ... 85
  • 그림 2.46 GIS 데이터베이스 레이어 ... 86
  • 그림 2.47 기본도 구성 ... 87
  • 그림 2.48 재해재난 주제도 구성 ... 88
  • 그림 2.49 소방 주제도 구성 ... 88
  • 그림 2.50 유관기관 주제도 구성 ... 89
  • 그림 2.51 AWS 관측자료 정보 ... 91
  • 그림 2.52 특보통보문 정보 ... 92
  • 그림 2.53 AWS지점 및 기상대지점 정보 ... 93
  • 그림 2.54 저수량 정보 ... 94
  • 그림 2.55 마르미의 공정 개념도 ... 98
  • 그림 2.56 미니 프로젝트의 역할 ... 99
  • 그림 2.57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계별 프로세스 ... 101
  • 그림 2.58 기본 도메인의 요구사항의 패턴 ... 101
  • 그림 2.59 요구사항 정의서 예시 ... 102
  • 그림 2.60 ID 부여 방식 ... 107
  • 그림 2.61 설계구성 ... 108
  • 그림 2.62 논리 ERD ... 113
  • 그림 2.63 물리 ERD ... 114
  • 그림 2.64 시스템 구현과정 ... 117
  • 그림 2.65 데이터 연계 아키텍쳐 ... 125
  • 그림 2.66 XML파일 구조 ... 126
  • 그림 2.67 자료공유시스템 ... 127
  • 그림 2.68 시스템 자료 다운로드 절차 ... 129
  • 그림 2.69 단위시스템 자료 업데이트 연계 절차 ... 130
  • 그림 2.70 통합위험도 분석시스템 주요 기능 ... 132
  • 그림 2.71 통합위험도 분석시스템 개발을 위한 정보 현황 ... 136
  • 그림 2.72 우리나라 기상관측소 현황 ... 138
  • 그림 2.73 MAPLE 자료 구조 ... 143
  • 그림 2.74 댐의 수위 ... 149
  • 그림 2.75 홍수위를 이용한 간편한 홍수범람구역 설정 ... 155
  • 그림 2.76 홍수량 계산 및 침수구역 산정 모식도 ... 156
  • 그림 2.77 범람위험도 100년 주기 홍수범람 ... 156
  • 그림 2.78 범람위험도 200년 주기 홍수범람 ... 157
  • 그림 2.79 범람위험도 500년 주기 홍수범람 ... 157
  • 그림 2.80 소방방재청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침수흔적도 구축 현황 ... 159
  • 그림 2.81 침수흔적도 예시 ... 160
  • 그림 2.82 돌발홍수 위험지구 분석 절차 ... 162
  • 그림 2.83 돌발홍수위험지구 분석 결과의 예 ... 163
  • 그림 2.84 산지돌발홍수위험도 ... 163
  • 그림 2.85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정보 ... 167
  • 그림 2.86 지질자원연구원의 산사태 위험지도 ... 168
  • 그림 2.87 GIS 기반의 지형정보 표출 기능 구현 ... 169
  • 그림 2.88 기상정보의 강우정보 조회 ... 170
  • 그림 2.89 기상정보의 풍속정보 조회 ... 171
  • 그림 2.90 기상정보의 풍향정보 조회 ... 172
  • 그림 2.91 기상정보의 기온정보 조회 ... 173
  • 그림 2.92 기상정보의 적설정보 조회 ... 174
  • 그림 2.93 기상정보의 기압정보 조회 ... 175
  • 그림 2.94 강우정보조회 ... 176
  • 그림 2.95 수위정보조회 ... 177
  • 그림 2.96 댐정보조회 ... 178
  • 그림 2.97 저수지정보조회 ... 179
  • 그림 2.98 태풍정보조회 ... 180
  • 그림 2.99 홍수예 경보 체계의 모식도 ... 184
  • 그림 2.100 저류함수 모형 적용 흐름도 ... 196
  • 그림 2.101 $Vflo^{TM}$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과정 ... 197
  • 그림 2.102 한강권역에 대한 $Vflo^{TM}$ 입력자료 구축(1) ... 198
  • 그림 2.103 한강권역에 대한 $Vflo^{TM}$ 입력자료 구축(2) ... 199
  • 그림 2.104 한강권역의 하천망 생성 결과 ... 200
  • 그림 2.105 입력 강우 확인과 각 격자별 강우량 분포 ... 200
  • 그림 2.106 중랑교 지점에서의 모형 검증 ... 201
  • 그림 2.107 DTM을 이용한 홍수범람의 예 ... 203
  • 그림 2.108 GIS를 연계한 하천범람 해석 모의 과정 ... 203
  • 그림 2.109 형식별 지형고도 자료의 표출 예제 ... 204
  • 그림 2.110 GIS를 이용한 지형자료 구축 과정 ... 205
  • 그림 2.111 GIS를 이용한 지형자료 구축 예 ... 205
  • 그림 2.112 GUI를 이용한 HEC-HMS모형 입력자료 구축 예 ... 209
  • 그림 2.113 프로젝트 초기화면 ... 210
  • 그림 2.114 Basin Model 구성화면 ... 211
  • 그림 2.115 강우자료 입력 ... 211
  • 그림 2.116 Control Specification 구성 화면 ... 212
  • 그림 2.117 HEC-HMS 모형을 이용한 유출 모의 및 결과 검토 ... 212
  • 그림 2.118 HEC-HMS와 HEC-RAS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모의 ... 213
  • 그림 2.119 HEC-RAS를 이용한 지형자료 구축 및 표출 ... 214
  • 그림 2.120 HEC-RAS를 이용한 하도단면의 표출 ... 215
  • 그림 2.121 HEC-GeoRAS를 이용한 홍수범람도 표출 화면 예 ... 216
  • 그림 2.122 범람위험도 홍수범람 표출 예 ... 217
  • 그림 2.123 방재정보분석시스템의 분석 기능 구성 ... 218
  • 그림 2.124 강우분석 시스템 ... 219
  • 그림 2.125 지점별 확률강우량도 그래프 ... 220
  • 그림 2.126 통합위험도 산정 결과 ... 221
  • 그림 2.127 방재정보분석센터 운영지원시스템 ... 223
  • 그림 2.128 시범적용 프로세스 ... 227
  • 표차례 ... 0
  • 표 2.1 미국 홍수보험요율지도의 위험지구별 정의 ... 29
  • 표 2.2 국외의 홍수 관련 정보 제공 현황 ... 37
  • 표 2.3 재해지도의 각 지도별 정의 ... 42
  • 표 2.4 요구사항 분석 ... 47
  • 표 2.5 지도서비스의 장단점 비교 ... 60
  • 표 2.6 돌발홍수예측시스템 주요 테이블 목록 ... 77
  • 표 2.7 돌발홍수예측시스템 주요 GIS 목록 ... 77
  • 표 2.8 재해영향평가 DB검색시스템 주요 테이블 목록 ... 82
  • 표 2.9 재해영향평가 DB검색시스템 주요 목록 ... 82
  • 표 2.10 기상청 테이블 목록 ... 90
  • 표 2.11 한국농촌공사 테이블 목록 ... 94
  • 표 2.12 한국수자원공사 테이블 목록 ... 95
  • 표 2.13 홍수통제소 테이블 목록 ... 95
  • 표 2.14 중요도 기준 ... 103
  • 표 2.15 테이블 작성 ... 115
  • 표 2.16 테이블의 물리적 속성 ... 116
  • 표 2.17 데이터 연계목록 ... 118
  • 표 2.18 재해유형별 피해 규모 ... 133
  • 표 2.19 재해유형별 피해 비율 ... 134
  • 표 2.20 지점 강우 관측소 현황 ... 139
  • 표 2.21 단기예보와 초단기예보의 구분 및 특성 비교 ... 141
  • 표 2.22 국내 수위관측소 현황 ... 145
  • 표 2.23 한국수자원공사 관할 수위관측소 현황 ... 145
  • 표 2.24 한국수자원공사 관할 댐 현황 ... 150
  • 표 2.25 돌발홍수위험지구 분석 결과의 예 ... 162
  • 표 2.26 홍수범람 관련 국내 연구 사례 ... 183
  • 표 2.27 도시유역 유출 해석 모형 비교 ... 189
  • 표 2.28 장기유출모형의 성분 비교 분석 ... 190
  • 표 2.29 홍수량 산정의 적정성 검토 ... 194
  • 표 2.30 집중형 모형과 분포형 모형의 특징 ... 207
  • 표 2.31 시스템별 운영시험을 위한 체크리스트 ... 22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