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석유화학공단의 유류오염 토양 관리·복원 기술개발 |
주관연구기관 |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연구책임자 |
이우범
|
참여연구자
|
박종천,
김종오,
이원준,
임은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4-07
|
과제시작년도 |
2002
|
주관부처 |
환경부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환경기술진흥원
|
등록번호 |
TRKO201100002971
|
과제고유번호 |
1480001868
|
사업명 |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가.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유류유출 사고와 더불어 노후화 된 시설이 많이 존재하는 석유화학 공단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토양의 유류오염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공정을 조사 및 평가에서 복원 후 관리까지 일관화 하여 개발...
가.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유류유출 사고와 더불어 노후화 된 시설이 많이 존재하는 석유화학 공단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는 토양의 유류오염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일련의 공정을 조사 및 평가에서 복원 후 관리까지 일관화 하여 개발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많은 요소기술들의 종합으로 이루어진다.
(1) 미생물제제의 개발
1차 년도에 개발된 미생물제제를 복원기술 공법에 적용 pilot scale에 서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다양한 토양 환경에 적응 가능하고, 각종 유류 형태를 분해할 수 있는 유류분해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분리·수집하여 유류분해미생물 library를 구성하고, 이를 기초로 현장적응 능력이 우수한 맞춤형 미생물제제를 완성·상품화하였다.
2) Biopile 및 Bioaugmentation 현장 기술개발
개발된 고효율 미생물 복합제제를 Ex -situ방법 중의 하나인 Biopile 기술에 적용하여 더욱 고효율화 시키고, Bioaugmentation기술에도 이를 적극 활용하여 현장의 오염상태 및 환경에 따라 이들 단위공정을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단위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복합제제를 이용한 Biopile 기술에서 TPH 기준으로 95% 이상 분해율을 갖는 공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 LTTD 기술의 개발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LTTD 기술은 유류오염 토양에 비교적 널리적용되어 왔으나, 국내의 경우 LTTD 기술에 대한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성이 우수하며, 활용범위가 넓은 LTTD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이를 석유화학 공단의 유류 오염지역에 적용하여 기술을 검증·상업화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LTTD 기술은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가 어려운 고농도 오염지역(8,000 ppm 이상)의 경우 전처리 및 후처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독립된 자체의 기술로서도 의미를 갖도록 하였다.
나. 연구의 연차별 추진방법
본 연구는 개발된 기술의 현장적용성 평가 및 실제 현장적용이 이루어지는 과제의 특성상 3개년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1~3차년도의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1차 년도
○ 석유화학공단 주? 토양 실태조사와 simulation model 확보 및 틀 완성
- Simulation을 위한 통합 package tool의 제작
○ 유류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미생물 제제의 개발
- 복합미생물 제제의 개발 및 효율평가
- 유류제거율 90%이상 균주확보
○ 유류오염 토양복원을 위한 단위공정의 개발
- Biopile
- Bioaugmentation
- LTTD
- Biofilter
- Phytoremediation
○ 단위공정의 조합을 통한 합리적인 복원기술의 선정
2) 2차 년도
○ 유류오염의 예측·평가 및 공정선정 simulation의 연계모델의 구축
- 1차년도에 작성된 simulator를 기초로 하여 유류오염의 예측·평가 및 공정 선정을 할 수 있는 simulator의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
○ 미생물제제의 고효율화
- Biopile 및 Bioaugmentation에 적용
- 유류분해 library를 기초로 한 고효율 미생물제제의 개발
○ 공정의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 LTTD기술의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 Biopile기술의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 Bioaugmentation기술의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3) 3차년도
○ 미생물 제제의 상품화 및 기술이전
○ Biopile의 현장적용
- 다양한 토양특성에 적용가능한 설계 및 운전인자 도출
○ LTTD 기술의 현장적용
○ 단위기술의 경제성 비교 및 설계·운전지침서의 작성
Abstract
▼
The 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soil has been commercialized mainly in USA by each unit process. However, it is not pr...
The 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soil has been commercialized mainly in USA by each unit process. However, it is not proper to employ these processes directly to contaminated soil in our country, and the technical transfer need huge amount of expenses. In addition, the technical transfer is often to be limited to the bounded items of instrument that can reverse effect to the development new technology by own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of remediation technology is in the beginning stage in our country, and microbial development has been the main focus. In this respect, the total remediation technology is not much studied, and most of the main stream in remediation project has been proceed by importe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