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화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국내외의 교육정보화 평가에 대한 기존연구 및 문헌을 검토하였다. 여러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평가지표 및 세부항목들의 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화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국내외의 교육정보화 평가에 대한 기존연구 및 문헌을 검토하였다. 여러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평가지표 및 세부항목들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여러 지표들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몇 가지 핵심지표들은 본 연구의 평가지표에 활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먼저 교육분야의 정보화를 구성하는 대영역을 설정하고 각 영역을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구성영역을 교육기과, 교육정보화수요자, 교육컨텐츠 및 서비스,교육유관 정부기관,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 및 제도의 5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다음 단계로 교육정보화수준평가를 위해서 5개의 정보화영역 중 가장 핵심적이며, 정보화 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1개의 영역을 선정하였다. 이것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전문가와 여러 차례에 걸친 자문회의를 통해 검토되고 결정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교육분야 정보화평가를 위한 정보화평가를 위한 정보화영역으로 교육기관영역을 선정하였으며, 교육기관영역의 정보화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세부측정항목을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의 틀은 일반적인 자주 활용되는 정보화평가 지표구성 모형인 정보화 투입, 활용, 산출 모형을 도입하였으며, 교육정보화의 특성에 맞게 평가지표들을 세분화하여 6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6개의 지표는 다음과 같다. IT 물적 인프라, IT 인적인프라의 인프라 부분 2개 지표와 IT 학생교육 활용, IT 학사행정 활용의 활용지표 2개, 그리고 IT 학생교육성과, IT 학사행정 성과의 성과부분 지표 2개를 정보화수준 평가지표로 확정하였다. 각각의 평가지표는 약 4-8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항목을 기준으로 설문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총 33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 조사용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평가방법은 기존 연구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과 평가지표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450여 개 초·중등학교의 학교장, 교육정보전담교사,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수준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지표별로 수준을 측정·분석하여 정보화수준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조사데이터를 통계처리 하여 각종 통계표 및 도표로 작성하고, 도출된 교육정보화수준과 문제점들을 종합하여 향후 교육정보화정책수립에 유용한 정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
In the information are Knowledge is the driving force of society and addess the measure of success. So nowadays we need a man who ...
In the information are Knowledge is the driving force of society and addess the measure of success. So nowadays we need a man who has creativity to produce a working knowledge as competitive advantage. Education would take the major part of the role. To meet this needs from society, the government has planned out to apply IT in education system and made a large investment to i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use budget efficiently cause resources we can use are limite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eded a proper evaluatio model. An effective model of evaluation should provide a vision that drive education IT policies right.
목차
Contents
▼
- 표지 ...1
- 서문 ...2
- 제출문 ...3
- 요약문 ...4
- Summary ...11
- CONTENTS ...13
- 목차 ...14
- 표차례 ...16
- 그림차례 ...17
- 제1장 서론 ...18
- 제1절 연구 목적 ...18
- 제2절 연구의 주요내용 ...20
- 제2장 교육정보화 평가지표 현황 ...22
- 제1절 국내 교육정보화 관련 평가 ...22
- 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정보화 평가지표 연구 ...22
- 2.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교육실태 통계조사 ...24
- 3.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보화백서 정보화통계조사 ...25
- 제2절 국외 교육정보화 관련 평가 ...27
- 1. OECD 교육정보화 지표(OECD Education Indicator : Education at a Glance 2001) ...27
- 2. STaR Chart(STaR : School Technology and Readiness Chart) ...29
- 3. 미국 학교정보화 평가안내서(An Educator...29
- 제3장 교육정보화수준 평가지표 ...32
- 제1절 교육정보화 평가영역 ...32
- 제2절 교육정보화 평가지표 ...40
- 1. IT 인프라(물적) ...41
- 2. IT 인프라(인적) ...42
- 3. IT 활용(학생교육) ...45
- 4. IT 활용(학사행정) ...46
- 5. IT 성과(학생교육) ...47
- 6. IT 성과(학사행정) ...49
- 제4장 교육정보화수준 평가 ...51
- 제1절 평가절차 및 방법 ...51
- 1. 조사내용 ...51
- 2. 조사방법 및 대상 ...52
- 제2절 지표별 평가결과 ...53
- 1. IT 물적 인프라 ...53
- 2. IT 인적 인프라 ...60
- 3. IT 학생교육 활용 ...69
- 4. IT 학사행정 활용 ...72
- 5. IT 학생교육 성과 ...74
- 6. IT 학사행정 성과 ...81
- 제3절 교육정보화 주요문제점 및 개선사항 ...83
- 1. IT 물적 인프라 ...83
- 2. IT 인적 인프라 ...85
- 3. IT 학생교육 활용 ...88
- 4. IT 학사행정 활용 ...89
- 5. IT 학생교육 성과 ...90
- 6. IT 학사행정 성과 ...92
- 제5장 결론 및 향후과제 ...93
- 제1절 결론 ...93
- 제2절 향후과제 ...98
- 참고문헌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