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인삼 및 도라지의 수확 후 원료 유형별 기능성 품질관리 기준 설정(인삼특작시험연구)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연구책임자 |
신유수
|
참여연구자
|
김선주,
박미희
|
보고서유형 |
중간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0-03
|
과제시작년도 |
2009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
사업 관리 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100016464
|
과제고유번호 |
1395018797
|
사업명 |
인삼특작시험연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초록
▼
인삼은 가공유형이 다양하나 건강기능식품법에서 인삼 또는 홍삼의 비율이 10%만 넘으면 "인삼 또는 홍삼 함유제품"으로 규정하는 등 기능성제품 기준이 가공유형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인삼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고시는 피...
인삼은 가공유형이 다양하나 건강기능식품법에서 인삼 또는 홍삼의 비율이 10%만 넘으면 "인삼 또는 홍삼 함유제품"으로 규정하는 등 기능성제품 기준이 가공유형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인삼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고시는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강의 2종으로 국한 되어 있고, 단순 성분함량비로 기능성을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준을 성분 및 함량을 위한 섭취량 산출 등 기능성 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인삼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3%('07)이며 뿌리삼과 토탈엑기스 수준의 단순 가공제품 등이 주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가공 유형제품의 개발 및 시장 경쟁화를 위한 기능성 기준이 필요하다. FTA체결로 인삼 및 홍삼 원료유형별 제품 등이 10-18년 내에 철폐 및 농산물세이프가드(ASG) 18-20년 적용으로 인삼 및 약초의 기능성 성분 함유 식의약품 소재 등이 관세 철페 후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아질 것임에 따라 이에 따른 대비책으로 인삼 및 도라지의 원료 유형별 제품의 기능 성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
The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Native ginseng, Cheonpung, Yeonpung grown by the same region and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T...
The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Native ginseng, Cheonpung, Yeonpung grown by the same region and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The secondarty metabolite difference of between seeding and transplanting were not showed. Also, in seeding, the differencd of the metabolite profiling PCA of 4 year and 5 year were not showed. But, from metabolite profiling PCA of Cheonpung and Yeonpung, the difference between 2 kind separated by PC1.
The contents of crude saponin of Platycodi Radix collected by 19 region were investigated. 14 saponin were separated; 1, Deapio-Platycoside E; 2, Platycoside E; 3, Platycodin D3; 4, Platyconic Acid A; 5, Unknown-1; 6, Platycodin D2; 7, Platycodin D; 8, Unknown-2; 9, Polygalacin D2+3'-O-Acetyl-Platycodin D; 10, Polygalacin D; 11, 3'-O-Acetyl-Polygalacin D; 12, Unknown-3; 13, 2'-O-Acetyl-Platycodin D; 14, Unknown.
목차
Contents
▼
- 표지...1
- 요약문...3
- SUMMARY...8
- 제 1 장 서론...9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0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1
- 제 1 절 인삼의 원료 유형별 기능성 성분의 대사체학적 품질관리 기준 제시(제1세부과제)...11
- 제 2 절 도라지의 원료 유형별 기능성 성분의 품질관리 기준 설정 (제2세부과제)...15
- 제 3 절 수확 후 기능성 물질 증진 및 신선도 유지법 개발(제3세부과제)...20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25
- 제 1 절 목표대비 대외달성도...25
- 제 2 절 정량적 성과(논문게재, 특허출원, 기타)...25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26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26
- 제 7 장 기타 중요 변동사항...26
- 제 8 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장비 현황...26
- 제 9 장 참고문헌...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