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전
|
참여연구자 |
박경아
,
윤영욱
,
서홍원
,
조영욱
,
이상철
,
성진실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5-05 |
과제시작연도 |
2004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300001914 |
과제고유번호 |
1460004023 |
사업명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보건의료기술인프라개발) |
DB 구축일자 |
2013-05-20
|
키워드 |
고유흥분성.당뇨병성 신경병증.신경병증성 통증.암성통증.프로테오믹스.intrinsic excitability.diabetic neuropathy.neuropathic pain.opoid.proteomics.
|
초록
▼
1세부과제
척수에서의 통증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기강화는 척수후각 세포 자체의 고유 흥분성의 증가현상과 상호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vo 와 in vitro실험을 통해 이러한 장기강화의 기전을 밝힘으로써 통증의 기전규명과 나아가 이의 치료치료기술 개발에 그 단초를 제공함.
2세부과제
만성통증을 유발하는 모델인 말초신경의 부분손상 후 생기는 작열통, 대사질환인 당뇨병에서 합병되는 당뇨병성신경병증, 만성 염증성질환인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뇌와 척수의 신경전달물질의 발현의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통증모
1세부과제
척수에서의 통증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기강화는 척수후각 세포 자체의 고유 흥분성의 증가현상과 상호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vo 와 in vitro실험을 통해 이러한 장기강화의 기전을 밝힘으로써 통증의 기전규명과 나아가 이의 치료치료기술 개발에 그 단초를 제공함.
2세부과제
만성통증을 유발하는 모델인 말초신경의 부분손상 후 생기는 작열통, 대사질환인 당뇨병에서 합병되는 당뇨병성신경병증, 만성 염증성질환인 관절염에서 나타나는 뇌와 척수의 신경전달물질의 발현의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통증모델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며 통증억제물질 또한 다르게 반응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은 다른 각종 만성통증에 가장 적합한 진통제를 개발하는데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세부과제
척수손상후 발생하는 신경병증성통증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한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만성통증의 기전을 알아보고, 모르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기위해 진행되었다. 척수좌상모델에서 기계적 및 냉이질통이 발생하고 손상후 30주까지 지속되었다. 이런 통증은 NMDA 및 AMPA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억제되었다. 기계적 이질통은 모르핀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가 손상후기에 가면 감소되었다. 이런 이유로는 항오피오이드 작용을 하는 cholecystokinin의 증가가 배경으로 생각된다.
제4세부과제
연구개발사업의 목적 :
Proinflammatory or pronociceptive cytokine과 substance P, glutamate, formalin을 이용한 통증 모델에서의 분자생물학적 통증 및 opioid의 진통작용기전연구와 척수상부 및 척수강으로 투여한 opioid의 진통작용의 분자생물학적 규명
연구방법 :
1) 여러 가지 통증 유발성 cytokine들 및 Substance P, glutamate, formalin 등의 통각신경전달물질을 척수강으로 투여한 후 척수와 척수상부의 주요 통증관련부위의 c-Fos, c-Jun, phospho-ERK, phospho-CREB 등의 변화규명
2) morphine 및 β-endorphin을 척수 상부 혹은 척수강으로 투여하고 통증 유발성 cytokine과 substance P, glutamate을 척수강으로, 그리고 formalin을 뒷발바당에 피하로 투여한 후 척수와 척수상부의 주요 통증관련부위의 c-Fos, c-Jun, phospho-ERK, phospho-CREB 등의 변화규명
연구결과 :
여러 가지 통증감각 신경전달 물질의 척수강 투여로 인한 통증 유발시, 척수와 척수상부의 주요 통증관련부위의 주요 세포내 신호전달물질들의 변화는, 척수와 척수상부의 hippocampus, hypothalamus, locus coeruleus 등의 부위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리고 척수 및 척수 상부로 투여한 opioid들은 다양한 통증 관련 세포내 신호전달물질을 경유하여 진통작용을 유발시키며, 이들은 작용 부위와 작용 하는 opioid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5세부과제
내인성 진통작용을 담당하는 핵심 부위인 중뇌 수도주위 회색질 신경세포의 억제성 및 흥분성 시냅스전달에 대한 오피오이드의 조절 작용은 신경병성 통증이 유발되어도 변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경병성 통증이 있을 경우 억제성 시냅스 신경말단으로부터 GABA의 유리가 증가된다. 이러한 억제성 신호전달의 증가는 오피오이드에 의한 내인성 진통 작용의 기전과 반대 현상이므로 내인성 진통 작용이 만성 통증에 의해 억제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6세부과제
척수에서 스트레스, 염증, 및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western blot 분석결과 세포사멸을 방지하는 세포내 신호전달물질인 Bcl-2의 발현이 pain(+)군에서 증가하였고, 이를 면역세포화학법에서 통증신호전달과 관련 있는 해부학적 부위인 확인하여 척수피판 I, II에서 Bcl-2의 발현 증가를 재확인하여 신경손상과 관련된 만성 통증의 발생은 기능이상을 보이는 신경세포의 사멸이 저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7세부과제
방사선 치료는 악성종양의 골침범으로 인한 통증의 완화에 효과적이며, 이는 종양의 관해와는 별도의 기전에 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종암 골침범 동물모델을 수립하였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방사선에 의한 통증 완화의 기전이 통증의 신호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며, 특별히 Ca++ signaling, 또는 vesicular trafficking의 조절 기전이 관여된 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Abstract
▼
1세부과제
a brief period of pairing stimulation at primary afferent-to-DHN synapses induces a long lasting enhancement of intrinsic excitability (LTP-IE) in deep dorsal horn neurons (DHNs). This LTP-IE needed synaptic activation. LTP-IE was not directly induced by postsynaptic depolarization and requ
1세부과제
a brief period of pairing stimulation at primary afferent-to-DHN synapses induces a long lasting enhancement of intrinsic excitability (LTP-IE) in deep dorsal horn neurons (DHNs). This LTP-IE needed synaptic activation. LTP-IE was not directly induced by postsynaptic depolarization and required calcium influx and the activation of NMDA receptors.
2세부과제
In chronic pain model, such as causalgia induced by partial injury on peripheral nerve, experimental diabetes mellitus, experimental arthritis,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neurotransmitters with brain and spinal cord. Different kinds of neurotransmitters respectively related to individual experimental pain model, and pain alleviator. This study suggest the principle of the most appropriate analgesia for various chronic pain.
3세부과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ime course of mechanical and cold allodynia in the hindpaw after a spinal cord contusion in ra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NMDA, AMPA antagonists and morphine on allodynia. After spinal cord contusion, the rats showed a decreased withdrawal threshold to mechanical stimulation, indicating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allodynia, which persisted for 30 weeks. Mechanical allodynia was attenuated by systemic and intrathecal NMDA and AMPA antagonists and by morphine. The efficacy of morphine in reducing mechanical allodynia was decreased in the late phase than in the early phase after spinal cord injury possibly due to increase in cholecytokinin in the spinal cord..
4세부과제
Purpose:
Characterization of antinociceptive effect of opioid administered intrathecally or intracerebroventrically and moleculo-biological antinociceptive mechanism in various pain model (i.t. substance P, i.t. glutamate, s.c. formalin, i.t. proinflammatory cytokines)
Methods:
1) Characterization of alteration of signal molecules (c-Fos, c-Jun, p-ERK, p-CREB) at the spinal or supraspinal region involved in pain transmission in various pain model.
2) Characterization of alteration of signal molecules (c-Fos, c-Jun, p-ERK, p-CREB) at the spinal or supraspinal region involved in pain transmission in various pain model with pretreatment of morphine or β-endorphin injected intrathecally or intracerebroventrically Results: we clearly demonstrated that various supraspinal regions that hippocampus, hypothalamus and locus coeruleus are important in the nociceptive processing induced by various pain models. In addition administerd morphine and β-endorphin i.t. or i.c.v. show the effects on various signal molecules in the different regions and with different mechanisms.
5세부과제
The midbrain periaqueductal gray (PAG)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endogenous pain control system. Modulatory effects of opioid receptor activation on the synaptic transmission of glutamate and GABA in neuropathic rats. Activation of presynaptic opioid receptors inhibits the frequency of GABAergic mIPSCs and glutamatergic mEPSCs without any alteration of the amplitude in neuropathic rat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neuropathic pain increases presynaptic GABA release but not glutamate and that chronic pain could suppress endogenous pain control system.
6세부과제
Signal transduction via the Bcl-2 plays a key role in a variety of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stress, inflammation, and cell death. The Bcl-2 activation was observed in neuropathic pain group. The same result was obseved with the immunohistochemistry. The apoptosis of a neuron with abnormal function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neuropathic pain with nerve injury.
7세부과제
Radiation treatment is effective in alleviating cancer pain from bone metastasis. Its mechanism has been suggested far from tumor regression by radiation. In this study, an animal model with cancer bone invasion was established. Using the model, the mechanism of radiation-induced alleviation of cancer bone pain was investigated, showing regulation of signal transduction molecules including Ca++ signaling and vesicular trafficking..
목차 Contents
-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 최종보고서 서식 ... 1
- 표지 ... 2
- 제출문 ... 4
- 목차 ... 6
- 요약문 ... 7
- SUMMARY ... 8
-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1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1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8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41
- 4. 사업화 목표 달성도 및 계획(개발과제만 해당함) ... 48
- 5.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50
- 6.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 126
- 7. 참여연구원 편성표(총괄) ... 127
- 8. 첨부서류 ... 128
-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49
-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50
-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52
-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55
-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78
- 6. 참고문헌 ... 279
-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81
- 1.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82
- 2.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83
- 3.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85
- 4.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89
- 6. 참고문헌 ... 290
-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92
- 1. 제 3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93
- 2. 제 3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94
- 3. 제 3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97
- 4. 제 3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07
- 6. 참고문헌 ... 309
- 제4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312
- 1.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13
- 2.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317
- 3.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319
- 4. 제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32
- 6. 참고문헌 ... 336
- 제5세부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340
- 1. 제5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41
- 2. 제5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342
- 3. 제5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344
- 4. 제5세부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53
- 6. 참고문헌 ... 353
- 제6세부 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356
- 1.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57
- 2.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358
- 3.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358
- 4. 제6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59
- 6. 참고문헌 ... 361
- 제7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363
- 1.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364
- 2.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364
- 3.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366
- 4. 제7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70
- 6. 참고문헌 ... 37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