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에 대한 국가들의 인식의 공유에 따라 기후변화협약을 통한 교토의정서의 채택, 협약가입국들의 의무준수, CDM사업의 추진 등이 국가들의 최우선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국정부에서는 ‘저탄...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에 대한 국가들의 인식의 공유에 따라 기후변화협약을 통한 교토의정서의 채택, 협약가입국들의 의무준수, CDM사업의 추진 등이 국가들의 최우선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국정부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비전으로 선포하고 저탄소에너지 생산, 보급을 위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을 범부처의 통합 과제로 발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보급과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 추진에 매진 하고 있다. 환경부에는 이를 기초로 폐기물 고형연료화 정책 수행을 위하여 품질기준 및 사용시설에 대한 환경성 강화 등 관련연구와 제도적 기반을 적극적으로 마련하여 왔다. 그러나 국가적 에너지자원 확보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온 폐기물 자원화 정책은 신기술 도입과 개발이 많은 시간을 요하고 국내 폐기물성상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국외 관련 기술도입에 난항을 겪고 있다. 또한 급속히 추진되어온 가연성 폐기물에너지화 사업에 대하여 예산운영과 비용편익의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일부 시각에 대처할 정책적 평가 자료와 정책수행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하다. 폐기물 고형연료화 사업은 생활폐기물에서 가연성 폐기물을 분리 선별하여 고순도의 고형연료를 제조함으로써 폐기물 단순소각과 달리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정부에서 추진한 폐기물 에너지자원화 사업에 따라 수도권매립지 관리공사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1년 현재 19개 지자체에서 가연성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설치 및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남해군, 원주시, 수도권 매립지 관리공사 등에서 폐기물고형연료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지자체별로 여러 시설의 시험가동과 준공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그러나 그간의 짧은 추진 기간으로 인해 폐기물 고형연료화시설을 운영하는 일선 현장에서는 품질기준에 맞는 고형연료생산을 위해 필요한 시설의 구조, 성능, 운영관리에 대해 참고할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 고형연료화 시설의 전략적 환경성검토 및 환경친화적 유지 관리를 위하여 국내․외 고형연료제조시설의 구조, 성능 및 관리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일선 현장에서 필요한 시험분석 및 관리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해서 제조시설에서 필요한 시험분석사례, 시설 설치의 사전 및 사후 운영 시 고려사항 등을 제시하고 국내 폐기물 고형연료화시설의 성능과 환경성을 검토한 후 이들 시설의 구조, 성능,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정책적 보완 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
Refuse-derived fuels(RDF) production plants in Korea are assessed for strategic environmental analysis and environment-friendly su...
Refuse-derived fuels(RDF) production plants in Korea are assessed for strategic environmental analysis and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le management. Recent status of RDF production policies and plants structure, function and management is surveyed. Most plants in Korea apply mechanical treatment(MT) to RDF production because segregated collection policy make very low content of organics in municipal solid waste(MSW). Original processes in RDF plant planning stage were mostly modified with domestic MSW properties and operation experiences. Moisture content was 44 % (29-51 %) for input MSW to RDF production plant and all RDF samples were suitable for Korean RDF quality criteria. All of pollutants in plants exhaust gas were blow the Korean standard for waste incineration except carbon mono-oxide. Dioxins and Furans were decected from dry process in RDF plant and were increased by treatment quantities of input MSW. That results support demands of standard for dioxins and furans. Central government wide areal i nvestigation board is required for planning rural RDF production plant which is concerned as a national energy recovery resource. The impact of set up pollutants standard for RDF plant exhaust gas is not critical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After revising of Korean RDF quality criteria, government should compose monitoring system for prope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RDF production plnats. These results could be a reference to drive 19 projects in planning and operating RDF plants by rural and central governments, and also give us fundamental information to construct preliminary pollutants standards for RDF production plan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