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국가
핵심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2.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핵심전략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3. 법 제21조제2항에 따라 보안과제로 분류된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우
4.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해당 연구개발성과에 대하여 지식재산권을 취득
하려는 경우
5. 외국의 정부ㆍ기관ㆍ단체와의 협정ㆍ조약ㆍ양해각서 등에 따라 해당
연구개발기관의 장이 비공개를 요청하는 경우
6.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2에 따라 중소
기업이 연구개발성과를 임치한 경우
7. 그 밖에 영업비밀 보호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022.1.1 시행)에 의해 추후 공개로 전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과제관리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비공개 기한(3년)이 만료된 보고서를 공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비공개 처리된 보고서의
열람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연구배경 - 우리나라 여성 구성비의 증가 및 중년 여성의 비율 증가로 인해 갱년기 폐경기 여성의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됨. - 여성은 일생의 1/3을 폐경 상태로 생존하며, 폐경 후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
▶ 연구배경 - 우리나라 여성 구성비의 증가 및 중년 여성의 비율 증가로 인해 갱년기 폐경기 여성의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됨. - 여성은 일생의 1/3을 폐경 상태로 생존하며, 폐경 후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겪게 되며 심혈관질환, 골관절질환 및 우울증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함. - 많은 여성들이 폐경기 증상 경험에도 불구하고 폐경에 대한 인식부족 및 관리 소홀 등으로 적절히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음. - 이렇듯 폐경기 여성의 건강문제는 다양한 측면에서 적절한 관리가 요구되며, 국민의 건강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함. ▶ 연구목적 및 필요성 - 국내 폐경기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기 증상에 대한 행동양식, 폐경기 관련 주요 임상적 특징 및 건강문제, 폐경증상 관리 및 치료실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 정서적 요인 및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조사함. - 폐경기 여성 고유·특이질환의 주요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관리 지표를 생산함. ▶ 연구내용 ▷ 연구설계 - 단면적 연구 설계 ▷ 연구대상 - 2012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수도권 소재 두개의 종합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44세에서 56세 사이의 여성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총 2,204명을 대상으로 함 (암 등 중증질환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자는 제외함). ▷ 조사방법 (설문조사 및 종합건강검진) - 폐경 관련 설문을 이용하여 폐경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지식, 폐경증상 및 폐경으로 인한 삶의 질, 폐경기 관리 및 정보 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종합건강검진의 문진 및 신체계측, 혈액검사, 장치검사를 이용하여 폐경기에 따른 건강상태, 질병력, 만성병, 심혈관 질환 및 주요 여성질환 과 정신건강에 대해 평가함. ▶ 연구 결과 ▷ 폐경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폐경기 이행기 여성에게서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 여성들에게서 폐경 증상관리에 대한 교육의 요구가 높았음. ▷ 폐경기 증상은 폐경기 이행기 후기부터 폐경 후기에 이르기까지 점차 심해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각 증상 마다 시작 시점과 증상의 경중의 차이가 있음. ▷ 그러나 폐경기 증상 관리에 대한 정보원의 한계와 여성 스스로의 적극적인 폐경 관리와 건강 증진 노력이 부족한 상황이었음. ▷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들에게서 비만,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및 골다공증, 갑상선 질환, 질염 등의 여성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음. ▷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들은 다양한 신체적 증상 뿐 아니라 불안, 우울, 스트레스를 점차 경험하게 되면서 심지어 자살 충동을 느끼는 경우도 관찰되었으며 불안, 우울 등이 신체적 증상의 악화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임. ▶ 고찰 및 결론 ▷ 폐경에 대한 태도와 관련 지식이 폐경기 건강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가능한 조기에 폐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지식 및 증상관리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폐경기 증상이 다양한 만성병 증상과 겹쳐 일반 여성들이 그 증상을 잘 인지 하지 못할 수 도 있음으로,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에게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신체적 증상에 비해 정신적 증상에 대한 인식 및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폐경기 여성의 신체적 증상관리 교육과 더불어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폐경기에 나타나는 증상들이 그 종류와 정도가 다르고 또 증상이 심해지는 시점에 차이가 있음으로 폐경 상태별, 증상별, 중증도 별 맞춤형 교육과 관리가 필요함. ▶ 연구 성과 ▷ 폐경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지식과 같은 폐경기 대응 양상 등을 파악함. ▷ 폐경증상 및 폐경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 ▷ 전반적인 폐경기 관리실태 및 정보 요구도를 파악함. ▷ 폐경상태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건강행태를 조사함. ▷ 폐경상태에 따른 신체건강문제를 주요 만성병, 심혈관질환 및 여성질환으로 다각도로 살펴봄. ▷ 폐경상태에 따른 정신건강상태를 측정함. ▷ 중년 폐경기 여성의 효율적인 건강관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중재방법 개발 기획 연구의 기반자료 마련함.
Abstract ▼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evaluate multiple aspects of health in pre-, peri- and post-menopause women. Total 2204 w...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evaluate multiple aspects of health in pre-, peri- and post-menopause women. Total 2204 women aged between 44 to 56 years old who underwent a regular health screening exam at a health screening center (two clinics in Seoul-metropolitan area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had physical and psychological tests as well as answering health questionnaires and also filled out extra questionnaires for attitudes and knowledge related to menopause, experiences of menopause symptoms, and menopause-related health quality of life. Over 90% of the participant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nopause, especially women at early peri-menopause, and th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e symptoms of menopause and lower quality of life. Women at late peri-menopause period were most likely report menopause symptoms and also they became to have various physical problem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osteoporosis, and metabolic syndromes. However, Women at early peri-menopause were more likely to report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women in pre-menopause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experiences of menopause symptoms. In conclusion, women at different stages of menopause experienced variou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ailored education program and community intervention to help women to prepare and manage their health during this critical period.
목차 Contents ▼
표지 ... 1
학술연구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 3
목 차 ... 4
표 목 차 ... 9
그림 목차 ... 11
Ⅰ.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 13
연구결과점검보고서 요약문 ... 13
Summary ... 15
Ⅱ. 학술연구용역과제 연구결과 ... 16
제1장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7
1절 목표 ... 17
1. 연구의 배경 ... 17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22
3. 연구의 범위 ... 23
2절.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24
1. 연구 목표 달성도 ... 24
2.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2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5
1절. 국내·외 연구 현황 ... 25
1. 역학연구 ... 25
가. 역학적 특성 ... 25
나. 폐경원인 또는 위험요인 ... 26
2. 폐경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27
3. 폐경지식에 관한 연구 ... 28
4. 폐경 증상에 대한 연구 ... 29
가. 국내 및 아시아 여성의 특성 ... 29
나. 폐경 시기에 따른 증상의 특징 ... 31
5. 폐경 증상 요인에 대한 연구 ... 32
6. 폐경증상 관리에 대한 연구 ... 33
2절. 현행 연구의 제한점 ... 35
제3장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36
1절. 연구수행체계 ... 36
2절. 연구수행 절차 ... 37
1. 연구운영 계획 및 방향 구체화 ... 37
2. 임상시험심사 위원회(IRB) 연구심의 ... 37
3. 설문지 제작 ... 37
4. 종합건강검진 측정 항목 검토 ... 38
5. 연구를 위한 운영준비 및 점검 ... 39
6. 연구 조사원 교육 및 준비물 점검 ... 39
7. 예비연구조사 시행 ... 39
8. 자료 수집 및 코딩 ... 40
9. 최종자료생성 ... 40
10. 분석 및 고찰 ... 40
3절. 연구 방법 ... 41
1. 조사대상 ... 41
2. 조사대상자 선정기준 ... 41
가. 선정기준 ... 41
나. 제외기준 ... 43
3. 조사대상자 모집 방법 ... 43
4. 최종연구대상자 수 ... 43
5. 조사 방법 ... 44
6. 측정변수 평가방법 및 해석 방법 ... 49
(1) 폐경기에 대한 인식 ... 49
(2) 폐경기에 대한 태도 ... 49
(3) 폐경기에 대한 지식 ... 50
(4) 폐경증상 및 삶의 질 ... 50
(5) 폐경기 관리 정도 ... 51
(6) 폐경기에 대한 정보 요구도 ... 51
(7) 건강인식 ... 52
(8) 흡연력 ... 52
(9) 음주 ... 52
(10) 신체활동 ... 53
(11) 체중조절 및 관리 ... 53
(12) 신체계측 ... 54
(13) 당뇨병 ... 56
(14) 고혈압 ... 57
(15) 이상지질혈증 ... 58
(16) 대사증후군 ... 58
(17) 심장질환 ... 59
(18) 만성 신질환 ... 60
(19) 골다공증 ... 60
(20) 빈혈 ... 61
(21) 갑상선 결절 ... 61
(22) 유방질환 ... 62
(23) 자궁관련 질환 ... 62
(24) 자궁경부염증 ... 63
(25) 수면 ... 63
(26) 일상생활 스트레스 ... 64
(27) 불안 ... 64
(28) 우울 ... 65
(29) 정신질환 입원 경험 ... 65
(30) 자살 충동 ... 65
7. 분석 방법 ... 66
제4장 최종 연구개발 결과 ... 67
1절. 연구 참여자의 특성 ... 67
1. 폐경 상태 ... 67
2. 인구학적 특성 ... 68
2절. 폐경기에 대한 인식, 태도, 지식 ... 69
1. 폐경기에 대한 인식 ... 69
2. 폐경기에 대한 태도 ... 71
가. 영역별 결과 ... 71
(1) 폐경에 대한 부정적 인식 ... 71
(2) 폐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 ... 72
(3) 폐경이 인생의 과정 중 일부라는 인식 ... 73
(4) 폐경 증상에 대한 통제력 ... 73
(5) 폐경으로 인한 정신적 변화 ... 74
(6) 폐경 이후의 불확실성 ... 74
나. 특성에 따른 폐경기에 대한 태도 비교 ... 75
3. 폐경기에 대한 지식 ... 77
가. 폐경기 증상 ... 77
(1) 인식하고 있는 폐경기 증상 ... 77
(2) 폐경상태에 따른 폐경기 증상에 대한 인식 ... 78
나. 폐경기에 대한 지식 ... 79
(1) 폐경기에 대한 지식 점수 ... 79
(2) 폐경기에 대한 지식 정도 ... 80
(3) 오답률이 높은 문항 ... 81
(4) 특성에 따른 폐경기에 대한 지식 정도 비교 ... 81
3절. 폐경 증상 및 폐경으로 인한 삶의 질 ... 83
1. 폐경 상태에 따른 폐경기 증상 ... 83
2. 폐경으로 인한 삶의 질 ... 84
가. 폐경으로 인한 삶의 질 ... 84
나. 인구학적 특성 및 질병력에 따른 폐경 증상 및 폐경으로 인한 삶의 질 비교 ... 86
4절. 폐경기에 대한 정보 요구도 ... 88
1. 폐경기 관련 교육 경험 및 정보원 ... 88
가. 폐경기 관련 교육 경험 ... 88
나. 폐경기 관련 교육 정보원 ... 89
2. 호르몬 치료 경험 ... 90
가. 호르몬 치료 경험 ... 90
나. 호르몬 치료 받지 않은 이유 ... 91
다. 호르몬 치료로 완화된 증상 ... 93
3. 보완대체요법 사용 경험 ... 94
가. 보완대체 요법 사용 경험 ... 94
나. 보완대체 요법 사용하지 않은 이유 ... 95
4. 폐경기 증상 교육 요구도 및 출처 선호도 ... 96
가. 폐경기 관련 정보 요구도 ... 96
나, 폐경기 관련 정보의 출처 선호도 ... 97
6절. 건강 행위 ... 98
1. 흡연 ... 98
2. 음주 ... 99
가. 음주 상태 ... 99
나. 음주 습관 ... 99
3. 신체활동 ... 101
4. 체중 조절 및 관리 ... 102
가. 몸무게 변화 ... 102
나. 몸무게 조절 노력 ... 103
7절. 신체건강 ... 104
1. 건강상태 ... 104
2. 산과적 특성 ... 105
3. 질병력 ... 106
4. 만성질환 ... 107
가. 비만 ... 107
(1) 신체계측 지수 ... 107
(2) 비만 유병률 ... 108
(3) 복부비만 유병률(허리둘레 기준, 허리둘레/신장 기준) ... 109
나. 당뇨병 ... 110
다. 고혈압 ... 113
라. 이상지질혈증 ... 114
(1) 고콜레스테롤혈증 ... 114
(2) 고중성지방혈증 ... 115
(3) 저HDL콜레스테롤혈증 ... 116
마. 대사증후군 ... 117
5. 심혈관계 질환 ... 118
가. 심장 질환 ... 118
나. 관상동맥 석회화(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 저위험도 이상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