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행정에 관한 공무원과 국민 인식조사 |
---|---|
주관연구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2 |
과제시작년도 | 2013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등록번호 | TRKO201400012308 |
과제고유번호 | 1105007693 |
사업명 | 한국행정연구원 |
DB 구축일자 | 2014-07-12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400012308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행정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조사
○ 본 인식조사는 1992년부터 한국행정연구원이 3년의 주기로 국민을 대상으로 수행해온 계속연구과제임
○ 본 조사의 목적은 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행정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조사
○ 본 인식조사는 1992년부터 한국행정연구원이 3년의 주기로 국민을 대상으로 수행해온 계속연구과제임
○ 본 조사의 목적은 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축적・분석하는데 있음
2. 이론적 검토
○ 공무원법에 의거하여 협의(俠義)의 공무원 개념, 즉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특별권력관계를 맺고 공무를 담당하는 기관 구성자”로 연구대상을 특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3. 연구설계
□ 조사내용
○ 공직에 대한 견해
○ 공무원 제도에 대한 견해
○ 정부정책 및 정부역할에 대한 견해
○ 공무원 및 조직에 대한 견해
○ 민간과 정부비교
○ 사회전반에 대한 견해
□ 표본설계
○ 표본대상 및 표본수
- 49개 중앙행정기관의 국가공무원 1,027명
- 16개 광역자치단체 지방공무원 570명
- 유효표본크기: 1,000명(설문 회수율 62.6%)
○ 연구조사방법
- 표본추출방법: 층화 무작위 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
- 조사기간: 2013년 4월 1일 ~ 5월 24일
4. 분석결과
□ 공직에 대한 견해
○ 공직의 선택 이유
- 공직을 직업으로 선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신분보장이 잘 되어 있는 직업인 것 같아서”가 31.3%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공직생활의 만족도 향상과 사기양양의 요소
- “보수인상”이 34.6%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승진의 공정・합리성, 연금의 안정성 강화, 보직관리 공정성 등을 제시함
○ 공직생활의 만족정도
- “만족”이 50.8%로 나타남
- 대체적으로 불만족한다는 응답보다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공무원들이 과반수 이상으로 많음
□ 공무원 제도에 대한 견해
○ 공무원 퇴출제도
- 퇴출제도에 대한 불만이 41.6%로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 공무원들이 갖고 있는 가장 큰 고민에 대한 질문의 경우 “가정・자녀문제”가 17.4%로 가장 높게 나타남
○ 공무원 인사제도
-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제도는 “교육훈련제도”이며, “정년제도 및 퇴직 공무원 지원 제도”, “인사교류확대”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제도는 “근무성적평정제도”와 “공무원 노조 관련 제도이며, 그 뒤를 이어 “승진제도” 등으로 나타남
○ 공무원 보수 결정을 위한 고려 요소
- “경력(근속년수)”가 3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담당업무의 중요도・난이도 등”, “업무실적(성과)”, “직급”, “능력 및 자격급”의 순으로 나타남
□ 정부정책 및 정부역할에 대한 견해
○ 정책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 “청와대”가 40.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국회, 정당 및 정치인”, “행정관료”, “언론”, “전문가 집단(학회, 대학)”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국정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 “청와대”가 40.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국회, 정당 및 정치인”, “행정관료”, “언론”, “전문가 집단(학회, 대학)”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정부정책 중 향후 확대 또는 축소되어야 할 분야
- “경제정책”, “의료복지정책”, “교육정책”, “과학기술정책”, “사회통합 및 갈등 관리 정책” 등의 순서로 나타남
○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
- “문화관광정책”으로 나타으며 “정보통신정책”, “의료복지정책”, “과학기술정책”, “국방정책”, “환경정책” 등의 순으로 나타남
○ 행정서비스 수준 평가
- “친절성”에 이어 “신속・대응성” 등의 순으로 나타남
○ 행정선진화 필요 분야
- “권위주의 행정문화 청산”이 21.3%로 가장 높았으며 “정부기능의 합리적 재조정”, “공무원 인사제도・관리의 재정비”, “예산 및 재정제도 개혁”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국정현안 해결을 위한 정부의 역할
- “경제성장”이 정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계층간 갈등해소”, “미래에 대한 비전제시와 리더십 발휘”, “교육 혁신” 등의 순으로 나타남
○ 현 정부 정책 만족도
- “국가브랜드 향상”에 대한 만족도가 2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글로벌 리더십 제고 및 한미전략동맹 심화”, “중산층보호와 신빈곤층 확산 예방 등 친서민정책 강화” 순으로 나타남
□ 공무원 및 조직에 대한 견해
○ 공무원 자질
- 공무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공무원 자질이 대해서 “전문성”이 21.6%로 가장 중요한 자질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성”, “청렴성”, “성실성”, “근무의욕”, “친절봉사성”, “국가에 대한 충성심”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공무원의 무사안일에 대한 견해
- 전반적으로 공무원이 무사안일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전체 응답의 절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공무원의 무사안일과 복지부동의 원인
- “공연히 일을 만들었다가 잘못하면 책임지게 되므로”에 답한 응답률이 35.4%, 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소속기관 위임전결규정 운영실태의 견해
- “결재권자의 권한과 책임 하에 적절하게 운영된다”에 답한 응답률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나서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소속기관의 위임전결규정이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효과적・능률적 업무 수행 방해 요소
- “복잡한 업무처리절차” 17.4%, “부서간 업무협조 결여”가 16.8%, “정부 내 협의 등에 따른 과도한 규제나 간섭” 11.2%, “필요한 정보나 자료의 부족” 11.1%, “비합리적 감시관행” 10.7%, “결재 및 의사결정의 지연” 10.6% 등의 순서로 장애요소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민간과 정부비교
○ 공무원과 민간기업 종사자에 대한 비교
- 공무원은 “신분보장”, “노후생활 보장”, “사회적 지위” 등에서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보수수준”, “성과급제도”, “이직의 수월성”,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 “후생복지”, “업무의 생산성” 등에 있어서는 민간기업이 유리하다고 나타남
○ 정부와 민간분야의 각 기관들에 대한 신뢰도
- 공무원들이 가장 신뢰하는 기관은 “행정부”(51.6%)로 나타났으며, 행정부 외의 기관들은 모두 불신의 비율이 신뢰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남
- 가장 신뢰하지 않고, 불신이 높은 기관은 “언론”이고 그 뒤를 이어 “입법부”, “종교단체”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사회전반에 대한 견해
○ 현재와 미래의 한국사회 및 개인생활 평가
- 개인생활이 “좋다” 라는 응답이 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년 후 한국사회(48.3%), 현 개인생활(33.0%), 현 한국사회(22.1%) 순으로 “좋다”라는 응답률을 보임
○ 우리나라에서 시급히 고쳐야 할 현안문제
- “노령화 및 저출산 문제”가 2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교육문제”, “빈부의 격차”, “준법정신 결여”, “부정부패”, “실직자 문제”, “비효율적 행정”, “부동산 문제”, “강성 노동운동”, “연금제도”, “환경파괴” 등의 순서로 나타남
□ 2001년, 2004년, 2007년, 2010년의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 비교분석
○ 공직에 대한 견해
- 2001년부터 2010년의 조사 결과에서 모두 나타난 결과로 공직선택의 가장 큰 이유가 신분보장으로 나타남
- 공직의 만족도 향상과 사기 양양을 위한 요소에 있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가 보수인상과 승진의 공정성이 있음
- 2010년에 달라진 점은 ‘연금 안전성 강화’가 높은 응답률을 보임
○ 공무원제도에 대한 견해
-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정부정책 및 정부 역할에 대한 견해
- 정부 정책수립과 국정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서 2010년 이전 조사에서는 모두 ‘국회 및 정치인’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남
- 2010년 조사 결과에서만 ‘청와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임
○ 공무원 및 조직에 대한 견해
- 전문성이 공무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자질이라고 나타나 공무원들이 스스로의 전문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공무원 무사안일과 복지부동의 주요원인으로서 보상미흡과 책임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남
- 효과적인 업무의 장애요인으로 공통적으로 부서간에 업무협조 결여와 복잡한 업무처리절차가 그 요인이라고 나타나 공무원들이 스스로의 업무 비효율의 가장 큰 원인이 부서간 비협조와 복잡한 절차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민간과 정부비교에 대한 견해
- 신분보장에 있어서는 공무원이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민간은 보수수준에서 공무원보다 유리하다고 공통적으로 나타남
- 사회조직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행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사회전반에 대한 견해
- 현재의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에 있어 2001년 조사부터 전반적으로 계속 좋다는 의견이 높아져 왔음
- 우리사회에서 시급히 고쳐야 할 현안 문제로 부정부패와 준법정신 결여, 빈부격차 등을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2007년 이후에는 강성노동운동을 현안문제로 지적하고 있음
□ 2013년 조사 연구 및 분석 중 주목할 점
○ 공직의 만족도와 사기양양을 위한 요소에 대해 금년도 조사결과 ‘연금 안전성 강화’를 응답한 비율이 특히 높아졌음
○ 공무원 퇴출제도에 대한 불만이 높게 나타나며,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퇴직에 대한 불안감이 큰 편
○ 정부 정책과 관련하여 시기별 조사결과를 비교해 볼 때, 공무원들은 의료복지정책의 중요성을 더 인식하고 있으며, 이 분야 정책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문제에 있어서 민간 자율 보다는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느끼는 비율이 2007년 이후 점점 커지고 있음
○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서, 대인관계와 업무능력 및 실적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경력 및 보직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5. 개선방안
□ 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관련제도의 개선방안 제시
○ 성과주의 인사제도가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부처의 자율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평가의 관대화 방지와 성과관리 교육을 통해 성과평가 등 성과주의 인사제도에 대한 관리자의 책임성과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보수정책이 생산성 향상과 연계된 사기 제고방안으로의 제 기능을 수행하려면 단순한 보수수준의 향상이 아니라 평가체계의 구축을 통한 차별적 보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초점이 옮겨져야 함
○ 호봉제의 연공제적 성격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일부 민간 부문에서와 같이 업무수행능력이 떨어지는 일정 연령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연공적 호봉 승급을 제한하거나 호봉을 삭감하는 임금피크제의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직위 분류제를 도입하여 직무분석을 토대로 각 평가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평가제도를 확인
- 평가도구는 지위별, 공직성격별, 그리고 목적별로 분화시켜 각각의 공직분야의 특성에 맞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도록 함
○ 효과적인 근무성적평가를 위해서는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특성과 일치하고 또 정부조직의 문화 및 관습 등과 일치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되도록 함
A survey of public employees’ opinions o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 survey of public employees’ opinions on public administration has be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every three years. The survey conducted in 2013 employed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at polled 1,270 central government employees and 570 local government employees with a response rate of 62.6%. The survey consisted of six parts, including questions on the civil service system, government policies, roles of the government, self-evaluation of the civil service,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itizens’ perceptions of society as a whole.
First, overall opinions on the civil service were examined. Asked about why they chose civil service as a job, 31.3% of respondents answered “because of job security” which was the highest response rate.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in becoming civil servants, 50.8 percent indicated they were satisfied. However, broad dissatisfaction was shown toward the removal system of civil servants, and the biggest worry about the future most often noted was family affairs.
Second, opinions on the civil service system were explored. Asked about civil service opera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saw the highest reported levels of satisfac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omotion as well as deciding civil servants’ pay was indicated to be career development.
Third, opinions on government policies and role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groups that most influence policy-making, public servants selected the President as the most influential entity. Public servants also indicated the President was the biggest influence on public policy. They also were asked about the priorities of government policies, and respondents considered economic policy, social welfare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as fields that should be strongly emphasize while civil engineering policy was the field that should be most strongly de-emphasized. The authoritative culture of government was rated highest among fields that should be subjected to administrative reform.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 government in addressing current problems was identified as economic development.
Fourth, self-evaluations of civil servants were conducted. Professionalism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public servants. Regarding barriers that hinder effective and efficient accomplishment of work, a lack of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was rated as the strongest contributing factor.
Fifth, perceptions on public and private sector relations were investigated. Government was regarded as more favorable than the private sector in terms of job security. By contrast, the private sector was favored in terms of providing performance-based pay. Regarding which organizations are most trusted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ublic servants considered the executive branch as the most trusted institution, the judiciary as the second,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the third. Mass media ranked the lowest.
Sixth, civil servants’ perceptions on society as a whole were studied. In assess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ociety and individual life, individual life after three years was anticipated to be “good” which garnered the highest rating. Asked about the priorities of government policies, respondents considered the aging society and low birth rate as fields that should be emphasized most.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civil servants’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various associated systems, including rationalizing remuneration, further ensuring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s, and by establishing fairness in promotions. Next, in order to boost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urrent systems civil servants respond to be more desirable than private sector practices, including the guarantee of status, the guarantee of after-retirement life, and better social status, should be maintained and further improved. For issues in which subjects responded that employees in the private business sector have more favorable conditions, appropriate alternative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in order to boost policy satisfaction, implications should be explored from areas in which respon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s, among other high achievements of the government. Continued governmen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areas with low satisfaction levels, such as education policies. Also, in order to rationalize the government’s functions (in which respondents called for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to shed authoritarian administrative habits, and to refine the HR system,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explored. The purpose of improvement should be to readjust the government’s functions, to reform ministerial organizations, to improve internal organization and update organizational culture, to redistribute functions and authority, to build a flexible organization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 to maximize n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to leap forward as a new nation, and to realize a creative, open culture and humane organization.
참여 연구원 |
---|
행정에 관한 공무원 인식조사
주관연구기관 : 한국행정연구원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발행년월 : 2013-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