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수소연료전지 핵심요소 기술개발 |
---|---|
주관연구기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연구책임자 | 양태현 |
참여연구자 | 김민진, 김창수, 송락현, 박구곤, 박석희, 배병찬, 백동현, 손영준, 이병록, 이승복, 박석주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3-12 |
과제시작년도 | 2013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KA |
사업 관리 기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등록번호 | TRKO201400016943 |
과제고유번호 | 1711007706 |
DB 구축일자 | 2014-09-20 |
키워드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전극-전해질접합체,중온/저가습 전해질 막,연료개질기,고효율,컴팩트화,열 및 시스템 통합,SI 공정,HI분해 촉매,HI 농축,전기 투석,기체확산층,탄소 종이,미세기공층Polymer Electrolyte Fuel Cell,Membrane-electrode assembly,Mid-temperature/low humidity proton Exchange membrane,Fuel processor,High efficiency,compactness,Heat & system integration,SI process,HI decomposition catalyst,HI concentration,Electro-dyalisis,Gas Diffusion Layer,Carbon paper,Micro Porous Layer |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 연료전지에 대한 핵심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상용화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건물용 연료전지에서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온 저가습 연료전지 시스템을 위한 원천 기술...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 연료전지에 대한 핵심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상용화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건물용 연료전지에서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온 저가습 연료전지 시스템을 위한 원천 기술인 전해질막, 촉매, MEA에 대한 핵심기술 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20kW급 연료개질기 스케일-업 설계 및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열화학적으로 수소를 제조하기위한 기반 기술로 HI 분해 촉매를 개발하였고 초내식성 Ta 소재 개발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핵심 부품의 하나인 기체 확산층 제조를 위한 소재를 개발하고 상용화에 응용할 수 있는 공정설계 및 생산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향 후 연료전지의 상업화 및 수소 사회의 도래를 앞당길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hydrogen as a next-generation energ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fuel cell system, and we were mainly investigated the stat...
The hydrogen as a next-generation energ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fuel cell system, and we were mainly investigated the stationary fuel cell and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from fundamental research to practical applications. As a core technology researc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atalyst,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gas diffusion medium for middle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pplications were prepared and developed. As a hydrogen supplying system, the compact reformer for natural gas and HI decomposition technology were also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can be contributed to realize the commercialization of PEMFC technology and future hydrogen economy.
참여 연구원 | 김민진, 김창수, 송락현, 박구곤, 박석희, 배병찬, 백동현, 손영준, 이병록, 이승복, 박석주, 임성엽, 최영우, 윤왕래, 서용석, 서동주, 정운호, 구기영, 박상호, 김우현, 황영재, 김창희, 배기광, 박주식, 조원철, 강경수, 정성욱, 유윤종, 김태환, 송광섭, 김현욱, |
---|
수소연료전지 핵심요소 기술개발 (Ⅱ
주관연구기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책임연구자 :
양태현
발행년월 : 2013-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수소연료전지 핵심요소 기술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양태현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09 ~ 2013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16,593,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연료전지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연구목표(Goal) : | *중온 저가습용 탄화수소계 막 개발 - 수소이온 전도도 : 0.01 S/cm @ 80 oC, 50% RH - OCV 저하율 40% 이내*중온 저가습용 MEA 개발 - 저가 : 0.65 kW / gPt - 성능 : 200 mA/cm2 @ 0.7V, 50% RH - 내구성 : 성능 저하율 55% 이하 (DOE 가속 시험법 기준)* 5→10... |
연구내용(Abstract) : | 중온 저가습용 블록공중합체 합성 이온 전도도 및 내구성 평가고 내구성 촉매 지지체 합성 및 평가고 내구성 합금 촉매 제조 및 평가무기물 담지 전극 촉매층 제조 및 평가중온 저가습 MEA 성능 확보를 위한 셀 최적화탄화수소계 막 적용 MEA 제조 공정 최적화10kW급 연료개질기 구조 설계 및 열교환망 구축- CFD 시뮬레이션을 통한 열 및 유동특성 분석- A... |
기대효과(Effect) : | - 연료전지 시장 창출이 가시화되고 있는 건물용 연료전지의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사로의 기술 이전 - 컴팩트 리포머 시스템 엔지니어링 설계 고유기술 확보- 물로부터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과는 달리 지구온난화가스인 CO2의 배출이 없어 CO2 절감 효과가 기대되고, 또한 청정에너지인 수소...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