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3-05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
등록번호 |
TRKO201400017084 |
DB 구축일자 |
2014-11-10
|
키워드 |
삶의 질.질병 부담.자원 배분.장애보정생존년수.건강생활년.health-related quality of life.burden of disease.resource allocation.disability adjusted life year.healthy life year.
|
초록
▼
1 세부과제는 132개의 한국인의 대표적인 질환 및 흡연,음주, 비만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해 한국인의 대표적인 질병 132개에 대한 장애가중치를 산출하고 타당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제 2세부과제와 제 3 세부과제에서 산출된 역학지표를 바탕으로 DALY 값을 산출함. 그 결과, 한국인의 질병부담 산출결과(injury 제외) 질병군별로는 10만명당 DALY가 cancer(1,5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는 Cardiovascular disease(1,492), Digestive dise
1 세부과제는 132개의 한국인의 대표적인 질환 및 흡연,음주, 비만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해 한국인의 대표적인 질병 132개에 대한 장애가중치를 산출하고 타당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제 2세부과제와 제 3 세부과제에서 산출된 역학지표를 바탕으로 DALY 값을 산출함. 그 결과, 한국인의 질병부담 산출결과(injury 제외) 질병군별로는 10만명당 DALY가 cancer(1,5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는 Cardiovascular disease(1,492), Digestive disease(1,140), Diabetes mellitus(970), Respiratory disease(951), Neuro-psychiatric conditions(883) 순이었음. 단일 질병으로 보면 남성의 경우 10만명당 DALY가 Diabetes mellitus(l,020) 으로 가장 높았음. 그 다음으로는 CVA(937), Cirrhosis of the liver(671), Asthma(663), Ischemic heart disease(601) 순이다. 여성의 경우도 Diabetes mellitus는 919으로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는 CVA(900), Peptic ulcer disease(794), Asthma(755) 순으로 나타났음.
2세부과제는 조기사망에 따른 상실년수를 활용한 우리 나라 질병부담 추정하였음. 이를 위해 사인통계지표를 활용하여 사인별 질병부담을 측정함. 이를 위하여 타당성 · 신뢰도가 제고된 통계지표 산출 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질환군별 성 · 연령별, 지역별 사망률을 추정하여 조기사망으로 인한 질병부담, 즉, 상실년수(YLL), 표준기대여명 상실년수(SEYLL), 잠재수명 상실년수(PYLL) 등의 지표를 산출함. 사망원인으로 등록된 질환을 대상으로 조기사망으로 인한 건강상실년수를 측정하여 질환별 질병부담의 크기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GBD 연구팀이 개발한 DALY라는 건강지표 및 방법론에 입각, 우리 나라의 조기사망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추정함. 그 결과 조기 사망에 의한 질환군별 부담을 파악하는 경우, 전염성 질환군인 제 I군의 사망구성비가 5.4% 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를 상실년수로 환산하면 SEYLL과 PYLL의 경우 약 6.3% 로 증가함. 비전염성 질환군인 제 II군의 경우에는 80% 나 되는 사망수의 구성비는 노년층의 높은 구성비로 상섣년수에 의한 부담은 66% 와 62% 로 각각 감소하게 됨. 반대로, 상해 관련 제 III군의 사망구성비는 14% 인 반면, 상실년수로 인한 부담은 매우 높아 SEYLL의 경우 27.5%, PYLL의 경우 31 .5%에 이르게 됨.
3세부과제에서는 한국형 질병부담 분류체계 개발하고 국민적 대표성을 가지는 코호트 구축을 통해 의료보험 자료의 진단 구명 타당성 조사, 정확도를 보정한 역학지표(유병률, 발생률)를 제시함. 이를 위해 한국형 질병 분류체계를 개발하고 의료이용자료 및 자격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한국인 국민 코호트를 구축함. 한편 자료의 정확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131 개 의료기관에 대하여 의료보험 청구자료 5,668 건의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보정식 산출한 후 정확도가 보정된 역학지표를 최종적으로 산출하고 향후 지료 산출을 위한 자료원을 제시함. 연구 결과 한국형 질병부담 질병분류 체계를 개발함. 국민표준 코호트 구축하여 전국 주요 의료이용 자료의 DB구축하였으며 타당도 조사결과를 적용하여 질병분류에 제시된 질병단위별 유병률, 발생률을 산출함.
4 세부과제에서는 손상으로 인한 건강문제의 발생규모와 그 역학적 특성들을 규병함으로써 손상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리체계구축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기본정보를 제출함. 이를 위해 건강보험, 자동차보험, 산재요양, 사망DB 등 손상관련 4대 자료원의 특성을 분석-파악함. 자료원간 일치도와 일부 문제자료원의 타당도를 평가하고 호환기준 및 통합분류기준을 작성하여 입원에피소드 단위로 분석을 실시함. 손상의 특성(원인, 부위, 기전, 의도성 여부 등)과 환자의 특성(성별, 연령군, 소득수준, 지역)에 따라 발생률과 사망률, 치명률, 조기사망으로 인한 손실년수(YLL), 장애로 인한 손실년수(YLD), 장애보정손설년수(DALY) 등을 산출함- 연구 결과, 손상입원에피소드 연간발생건수는 1999년 932,416 건에서 2003년 1,183,391 건으로 연평균증가율은 6.16% 임. 반면 사망자수는 31,912건에서 25,970 건으로 연평균증가율은 -5.02% 임. 불의의 손상사망은 지속적 감소를 보이는 반면, 2002년부터 자살 등 의도된 손상사망이 증가하면서 손상사망의 전체규모가 증가함. 손상으로 인한 DALY는 천명당 1999년 17.25년에서 2002년 13.38년으로 감소하다가 2003년 13.82년으로 다시 증가함. DALY중에서 YLD의 구성분율은 5 년평균 26.3%였음. 1999년 24.51 %에서 2003년 27.39%(%)로 일관된 지속적 증가추세를 보임. 2003년 의료급여 및 보험료5분위별 천명당 DALY는 순서대로 30.4년, 18.5년, 15.4년, 13.1 년, 10.7년, 8.9년이었음. 입원에피소드발생률,사망률, 치명률, YLL, YLD 등 모든 지표에서 일관되고 큰 계층간 격차가 나타남.
5세부과제에서는 한국인에서 질보정수명에 연관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요한 칠환별 삶의 질을 측정하여 비용-효과 분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의료자원 배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 이를 위해, 1) 한국인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 및 유용성 검증을 검정하고 EQ-5D와 Health Utility lndex m 한국어판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도구를 근골격계 질환에 우선 시험 적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함. 2)개발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국민보건에 큰 영향을 주는 만성 질환군에 대해 효용을 포함한 삶의 질의 정도를 측정함. 3) 개발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개인의 삶과 보건의료 이용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사고군에 대해 효용을 포함한 삶의 질의 정도를 측정함. 4) 임상경제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분야의 비용-효과 분석 시행하였고 한국형 비용-효과 분석의 문제점에 관한 기본지침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
Abstract
▼
First sub-project
Results: Among the leading causes of disease burden (injury not included), cancer is the largest cause of disease burden with 1,525 cases per 100,000 population, followed by cardiovascular disease(1,492), digestive disease(1,140), diabetes mellitus(970), respiratory disease(951)
First sub-project
Results: Among the leading causes of disease burden (injury not included), cancer is the largest cause of disease burden with 1,525 cases per 100,000 population, followed by cardiovascular disease(1,492), digestive disease(1,140), diabetes mellitus(970), respiratory disease(951) and neuro-psychiatric conditions(883)
By individual disease, diabetes mellitus had the highest rate of DALY for men with 1,020 cases per 100,000 population, followed by CV A(937), cirrhosis of the liver(671), asthma(663) and ischemic heart disease(601). Diabetes mellitus also had the highest rate of DALY for women with 919 cases, followed by CV A(900), peptic ulcer disease(794) and asthma(755).
Second sub-project
Results: The burden for males is 1.8 and 2.3 times higher than that for females, according to SEYLL and PYLL,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deaths due to Group I, II, and III causes are 5.4%, 80.4%, and 14.3%, respectively, for PYLL, but in a major shift from Group II to III they are 6.3%, 66.2%, and 27.5%, respectively, for SEYLL. The proportion of Group III causes in Korea, 27.5%, is extremely high when compared to 10.1 % for the world, 7.6% for developed countries, and 10.7% for developing countries.
Third sub-project
Result: 1) set up of database of medical utilization 2)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epidemic index for evaluation of korean burden of disease
Forth sub-project
Resulte: From 1999 to 2003, standardized incidence of injury episodes were increased by 6.16% yearly. In contrst, number of death by injury decreased by 5.02% yearly. DALYs per thousand people were changed from 17.25 years('1999) to 13.38 years(,2002), and, in 2003, these were increased to 13.82 years. This change in trend caused by increasing death by self-inflicted injury. The proportion of YLDs among DALYs showed continuing increase. All of the injury statistics showed coherent and large disparities among the income groups.
Fifth sub-project
Objectives were to develop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measurements (particularly focused on utility), assess HRQOL using them in major diseases, provide basic data for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finally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efficient medical budget allocation in Korea. First, we developed Korean HRQOL measurements (general and disease specific health status measures, utility measures: rating scale, standard gamble, time-trade off, multi-attribute approach) and test and apply them preliminarily for selec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Second, we assessed HRQOL in patients with major chronic disorders in Korea using previously developed tools. Third, we assessed HRQOL in patients with major injuries in Korea. Fourth, we performed cost-effectiveness analyses in selected disorders and provide basic data and 19uidelines for Korean cost-effectiveness analyse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5
- SUMMARY ... 7
-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9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9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 11
- 3.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8
- 4.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39
- 5.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 179
- 6. 참여연구원 편성표 ... 181
-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83
- 1.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85
- 2.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186
- 3.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187
- 4. 제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97
- 5. 참고문헌 ... 199
-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03
- 1. 제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05
- 2. 제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07
- 3. 제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13
- 4. 제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24
-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27
- 1. 제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29
- 2. 제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30
- 3. 제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35
- 4. 제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53
- 5. 참고문헌 ... 254
- 제4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57
- 1. 제 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59
- 2. 제 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61
- 3. 제 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272
- 4. 제 4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90
- 5. 참고문헌 ... 291
- 제5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93
- 1. 제 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95
- 2. 제 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98
- 3. 제 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 303
- 4. 제 5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16
- 5. 참고문헌 ... 327
- 첨부서류:학술지 논문 ... 331
- 끝페이지 ... 7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