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Ⅳ.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흡연율이 42.6%로 남자는 55.4%, 여자는 2.9%였으며 제조업이 47.1%, 비제조업이 33.8%의 흡연율을 보였다. 흡연자중 향후 금연계획이 있다고 답한 것이 35.2%로 금연에 대한 욕구가...
Ⅳ.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흡연율이 42.6%로 남자는 55.4%, 여자는 2.9%였으며 제조업이 47.1%, 비제조업이 33.8%의 흡연율을 보였다. 흡연자중 향후 금연계획이 있다고 답한 것이 35.2%로 금연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니코틴 의존도는 12.7%에서 높은 의존도를 4.3%에서 매우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음주율을 보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음주율이 낮아졌으며 전체 대상자중 80.2%가 음주를 하고 41.6%에서 주 1~2회의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주계획은 43.4%가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알코올 의존도는 응답자 중 21.3%에서 의존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근로자는 33.8%였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규칙적 운동을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전체적으로‘시간이 없어서’ 라고 대답한 비율이 55.4%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좋아하지 않아서’(20.2%), ‘공간․시간이 없어서’(8.7%)의 순이었다.식사시간이 일정한 비율은 51.7%였으며, 비제조업보다는 제조업에서 하루3회 식사 비율 및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단음식 및 고콜레스테롤 식품은 주별 2일 이하 섭취를 하는 비율이 각각 46.9%, 55.4%로 가장 높았고, 짠음식․육류 및 가공식품은 주별 3~5일 섭취를 하는 비율이 각각 54.5%, 56.5%로 가장 높았다. 6시간이하의 수면시간을 취하는 근로자의 비율이 사무직에서 54.1%로 생산직의 52.3%에 비해 많았다. 불면증이 있는 자는 전체조사대상의 32.6%에 해당했으며, 코골이는 남성의 60.7%가 있으며 수면무호흡이 있는 자의 비율은 남성에서 12.5%로 여성(3.4%)보다 많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었다. 25세 이상 35세 미만인 군에서 다른군에서 보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고혈압의 경우 건강주의 판정을 받은 비율이 7.9%, 질환자 판정을 받은 비율이 2.3%였고 질환자 중 50%에서 약물치료 /생활습관개선을 실시하고 있는실정이다. 당뇨의 경우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건강주의 또는 질환자 판정을 받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주의자 또는 질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지혈증의 경우도 당뇨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간질환의 경우 건강주의 판정을 받은 비율이 6.0%, 질환자 판정을 받은 비율이 1.7%였고 비만의 경우 건강주의 판정을 받은 비율이 10.8%, 질환자 판정을 받은 비율이 1.2%였다.현재 사업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건강증진사업은 운동지원프로그램이 34.6%, 금연교육 및 금연지원 사업이 25.6%, 건강한 영양섭취 및 식이조절이 17.5%,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14%, 올바른 음주문화를 위한 캠페인, 절주권장이 13.1%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로자의 건강증진사업에 적극적인 참여의사 있음은 9.1%, 참여할 의사 있음은 51.5%, 보통은 33.3%, 참여할 의사 없음은 6.0%로 나타났으며 가장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으로는 운동프로그램이 83.5%,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72.3%, 체중조절프로그램이 46.3%, 근골격계질환관리 프로그램이 38.5%, 영양교육프로그램이 35.8%, 금연프로그램이 34.7%, 수면관리프로그램이 28.1%, 금주/절주 프로그램이 24.0%, 고혈압관리 프로그램 19.75, 당뇨관리프로그램이 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
Results :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smoking rate was 42,6 % and 80.2% of subjects were alcoholic drinking status. Nic...
Results :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smoking rate was 42,6 % and 80.2% of subjects were alcoholic drinking status. Nicotine dependency was high in 12.7% and 43.4 % of subjects didn`t have a plan of abstinence from drink. Regular exercise rate was 33.8% and the most common reason why they didn`t exercise was "don`t have time for exercise". Regular food intake rate was 51.7% and the rate of subjects have insomnia was 32.6%. the rate of subjects who have hypertension treatment was 50 % in subjects diagnosed hypertension. Exercise program was the most want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workplace.
목차
Contents
▼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SUMMARY ... 7
- 목차 ... 8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26
- 제1장 서론 ... 27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27
- 1. 근로자 건강 증진의 중요성 ... 27
- 2. 근로자 건강생활 실천 및 만성질환 관리 실태 조사의 필요성 ... 29
- 3. 근로자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욕구 및 수요 ... 32
- 4. 근로자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관리 성과지표 개발의 필요성 ... 33
- 제2절 연구목적 ... 36
- 제3절 연구 범위 ... 37
- 1. 근로자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관리 실태조사 ... 37
- 2. 사업장 건강증진 및 근로자 질병예방 욕구 및 수요조사 ... 38
- 3.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관리 성과지표 개발 ... 38
-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 39
- 제1절 건강생활 실천 및 만성질환 ... 39
- 1. 근로자 6대 건강생활실천(흡연, 음주, 운동, 영양, 스트레스, 수면) ... 39
- 2. 근로자 5대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간질환, 비만) ... 79
- 3. 외국의 만성질환 관리 사례 및 시사점 ... 104
- 제2절 사업장 건강증진 ... 121
- 1. 사업장 건강증진 ... 121
- 제3절 성과 지표 ... 133
- 1. 건강증진 사업평가의 개념 및 내용 ... 133
- 2. 평가의 원칙 ... 139
-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42
- 제1절 연구방법 및 내용 ... 142
- 1. 근로자 건강생활 실천 및 만성질환관리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 142
- 2. 사업장 건강증진 및 근로자 질병예방 욕구 및 수요조사 ... 148
- 3.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 관리 성과지표 개발 ... 148
- 제2절 연구결과 ... 152
- 1. 근로자 건강생활 실천 및 만성질환관리 파악을 위한 설문 분석 ... 152
- 2. 사업장 건강증진 및 근로자 질병예방 욕구 및 수요 조사 ... 404
- 3. 전체 설문 조사 결과의 고찰 ... 424
- 5. 5대 주요 만성질환 평가 지표 ... 432
- 5. 6대 생활습관 요인 관리 지표 ... 447
- 6. 5대 주요 만성질환의 변화에 대한 치료 효과 지표 ... 466
- 제4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 511
- 제1절 연구목표 달성도 ... 511
- 1. 실태조사의 목표 달성도 ... 511
- 2. 성과지표 개발의 목표 달성도 ... 512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 512
-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513
- 제1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513
- 제2절 추가 연구의 필요성 ... 513
- 참고문헌 ... 514
- 부록 ... 525
- 끝페이지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