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7 |
과제시작연도 | 2014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
등록번호 | TRKO201600000136 |
과제고유번호 | 1545007952 |
사업명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6-03-19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00136 |
Ⅲ.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농업바이오매스 활용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신소재 생산기술 개발 필요성
○ 바이오매스 경제시대 도래: 석유자원 고갈 및 국제환경규제로 인해 기존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농업 바이오매스 기반의 저탄소 대체원료 개발기술이 미래 세계경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핵심기술로 부상(NIC’s Global Trends 2025)
○ 화석연료 고갈 및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농업 바이오매스 기반의 에너지 및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을 통하여 신성장 동력 확보와 고효율 저탄소 사회 구축
Ⅲ.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농업바이오매스 활용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신소재 생산기술 개발 필요성
○ 바이오매스 경제시대 도래: 석유자원 고갈 및 국제환경규제로 인해 기존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농업 바이오매스 기반의 저탄소 대체원료 개발기술이 미래 세계경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핵심기술로 부상(NIC’s Global Trends 2025)
○ 화석연료 고갈 및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농업 바이오매스 기반의 에너지 및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을 통하여 신성장 동력 확보와 고효율 저탄소 사회 구축 필요
○ 저탄소 녹색성장 견인: 농업 바이오매스 산업 육성을 통하여 “국가 농업 경쟁력 확보 및 미래 성장산업 기반확보 필요
□ 돼지감자 활용 필요성
○ 농가소득 증대용 한국형 바이오매스 작물 필요: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농업구조 및 농업생산력 저하문제와 한미 FTA 등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국내 농업 현실을 고려하여 농촌경제 활성화가 가능한 한국형 바이오매스 작물개발이 필요함.
○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돼지감자는 비식량작물로서 서리 및 다양한 식물병에 강하고 건조지역 등 기후 적응력이 강하여 우리나라 기후에 잘 맞고 재배가 쉬어재배 불리 지역 및, 저 노동력으로 생산 가능한 대체 작물로 적합함.
□ 바이오에너지 및 석유대체 물질 생산용 플랫폼 효모 Kluyveromyces marxianus(KM)
○ 고온성 효모 KM 균주의 특성
- KM (Kluyveromyces marxianus)은 비전통 효모(non-sacharomyces)의 일종으로 hemiascomycetousyeast이며 lactose 발효능이 뛰어나 유가공 제품에 주로 존재하므로 인체에 매우 안정적이며 미국과 유럽에서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QPS(Qualified Presumption of Safety)로 알려져 있음.
- 최근 KM은 고온에서의 빠른 성장능력(doubling time, ~70 분)과 값싼 탄소원을 활용하여 바이오에탄올 및 대사물질 생산능력이 뛰어나 바이오매스 기반의 바이오에너지 및 플랫폼화합물 생산 균주로서 최근 이목이 집중되고 있음(Lane and Morrissey, Fungal Biology Reviews, 2010).
○ 고온성 효모 KM 균주의 산업적 활용
-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으나 생육온도가 35도를 넘지 못하고 오탄당을 포함한 탄소원의 활용능이 낮아 바이오에탄올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음. 반면 KM 균주는 52도까지 고온성장이 가능하고 lactose, inulin, cellobiose 등의 다양한 다당류의 활용이 가능하고 오탄당 활용능도 매우 우수함. 그러나 유전체 분석연구 등 기초연구는 주로 Kluyveromyces lactis에 집중되었고 산업효소 생산 등의 응용연구는 주로 KM을 활용됨.
- 효모 S. cerevisiae나 K. lactis에 비해 기초연구가 부족하지만 다양한 genetic tool이 개발되어 있고 대사공학적인 균주개량이 가능함이 입증되어 있음(Bartkeviciute et al., 2000, Siekstele et al., 1999]).
- 특히 Cargill-Dow사(Naturework사)에서 옥수수로부터 생분해성 바이오폴리머의 원료인 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균주로 활용. PLA는 aliphatic polyester로서 starch와 섞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산단가 절감을 위해 사용중임.
- 몇몇 사례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고온성 효모 KM은 바이오에너지/바이오화학 분야에서 세포공장 플랫폼 균주로서 활용할 가치가 매우 높으며 전세계적으로 아직 본 균주에 대한 초기연구단계에 있으므로 유전체 분석을 포함한 오믹스 연구, 유전자재조합, 합성생물학 연구 등을 통해 효모 KM 세포공장 platform연구에 집중적인 연구개발이 진행하면 국내 바이오화학 산업을 활성화하고 본 균주의 세계적 기술허브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특히 효모 KM은 inulinase의 활성이 매우 뛰어나 본 연구에서 타겟으로 하는 바이오매스인 돼지감자 이눌린을 효율적으로 분해하고 다양한 바이오연료 및 석유대체 화합물 생산이 가능함.
□ 고온성 CBP 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
○ 고온성 효모 KM 균주의 특성
- 현재 섬유소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공정은 전처리/효소생산/당화/발효 등 다단계공정(그림 참조)으로 나뉘어 대규모의 장치비 및 운영비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을 통합 수행할 수 있는 consolidated bioprocess(CBP)의 경우 생산비용을 약 50% 이상 절감할 수있음(Lynd et al., 2006).
- CBP 기술은 섬유소 분해효소의 생산, 섬유소 가수분해, C5/C6 동시발효 과정을 하나의 리액터에서 수행하는 공정으로서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탄올 및 화학원료 생산을 위한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관심을 받고 있음.
- CBP 기술개발의 핵심은 섬유소 바이오매스 분해 및 활용능을 보유한 고성능의 효모 개발이 필수적인데 효모 S. cerevisiae를 이용한 CBP 균주 개발의 한계는 섬유소분해효소의 최적온도가 약 45-50℃이지만 S. cerevisiae의 생장이 35℃ 이상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바이오매스의 분해와 알콜발효가 동시에 이루어 질수 없는 문제가 있음.
- 이에 반해 고온성 효모 KM은 최고 52℃도까지 성장이 가능하므로 CBP 바이오에탄올 생산 균주로서 KM이 매우 적합함.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