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배치 매뉴얼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Kyung Hee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02 |
과제시작년도 | 2015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등록번호 | TRKO201600003308 |
과제고유번호 | 1395040082 |
사업명 | 국책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6-06-2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03308 |
Ⅳ. 연구개발결과
본 연구개발결과는 다음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별 세부 평가지표 및 중요도 도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은 크게 5개 항목과 항목별로 다양한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기초...
Ⅳ. 연구개발결과
본 연구개발결과는 다음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별 세부 평가지표 및 중요도 도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은 크게 5개 항목과 항목별로 다양한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기초생활시설은 20개, 문화복지시설은 28개, 농촌관광시설은 27개, 소득시설은 15개, 경관정비시설은 11개의 평가지표가 설정되었으며 각 항목별로 평가지표의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그 결과 기초생활시설의 경우 원래 목적에 부합하는 이용여부, 인근 토지용도와의 부합성, 주거지역과의 인접도, 문화복지시설은 주거지역과의 인접도, 인구밀도, 주민들간의 소통증진을 위한 외부공간 제공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관광시설은 인근 토지용도와의 부합성, 대중교통수단과의 거리, 도로와의 인접도, 소득시설은 도로와의 인접도, 인근 토지용도와의 부합성, 시설의 시간 및 공간적 활용정도 등이 입지선정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표로 도출되었다.
(2) 단위시설별 공통매뉴얼 작성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배치를 위한 단위시설별 공통사항과 각 공간・시설별로 도입되는 세부도입시설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마을특성에 따른 배치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이 위치하는 마을위계(거점면단위, 권역단위, 마을단위)를 기준으로 각 마을별 특성(마을규모, 산업특성, 마을입지, 마을형태, 주변토지이용)에 따라 제시되어 있는 배치기준별 공간 및 시설의 배치매뉴얼 등을 제시하였다.
(3) 매뉴얼의 현장 적용
본 연구는 매뉴얼의 현장적용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3개 마을유형별로 매뉴얼에 근거한 시설현황 분석 및 계획대안을 도출하였다. 원삼 거점면의 경우 쉼터, 소공원, 화장실 등은 기존시설의 일부 존치 및 재배치를 계획하고 마을진입부와 소공원의 교량, 공동주차장은 신규로 계획하였다. 독성권역의 경우 물놀이장, 공동주차장, 관리사무소, 농산물직판장, 도토리집 등은 기존 시설의 일부 존치및 재배치를 계획하고 수변야외무대 및 생태정화수로는 신규시설로 조성하도록 계획하였다. 학일마을의 경우 체험장은 재배치하고 복합커뮤니티센터, 쉼터, 공동주차장, 보행로 등은 신규 도입시설로 계획하였다.
IV. Results and Discussion
From the research, we finally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1) Identification of as...
IV. Results and Discussion
From the research, we finally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1) Identification of assessment indicator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for each public space and facility in rural area
We identified 5 assessment criteria and a variety of indicators: 20 basic infrastructure facilities, 28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27 rural tourism facilties, 15 income generation facilities, and 11 visual landscape facilities. For basic infrastructure facility, we found the following indicators are important in order: whether the facilities are used for the original purpose, whether the use matches with adjacent land uses, access from residential areas. For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we found the following indicators are important in order: access from residential areas, population density, provision of outdoor spaces for the communication among the residents. For rural tourism facilities, we found matches with adjacent land uses, distance from public transit, and access from roads. For income generation facilities, access from roads, matches with adjacent land uses, temporal and spatial usability are identified as indica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allocating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2) Development of a manual for each types of facilities
We developed a manual that can be applied for locating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unique types of rural villages such as downtown village, clustered village, and individual village, we tried to understand major characteristics (population size, industry, suitability, shape, and adjacent land use) of the each villages.
3) As a way of on-site application, we analyzed the sites and developed allocation options. For the site of Wonsam downtown village, we proposed to relocate rest area, pocket park, restroom and design new village gate, bridges in pocket parks, and public parking lots. For the site of Dok-sung clustered village, we proposed to relocate water recreation area, public parking lot, maintenance office, local marketing area, and shelter. For Hak-il village, we planned to relocate experience center, andestablish new spaces and facilities such as multi-functional community center, rest area, public parking lot, and pedestrian.
참여 연구원 |
---|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배치 매뉴얼 개발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Kyung Hee University
발행년월 : 2016-0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배치 매뉴얼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서주환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4 ~ 2015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200,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공공공간, 공공시설, 배치매뉴얼, 현장적용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경희대학교(용인) 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현재 농촌개발사업에 따른 시설정비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경관계획수립지침 등은 공공시설의 형태, 소재 등의 계획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농촌공간계획을 위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배치기준으로는 미흡함 따라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편의시설 제공 및 커뮤니티활성화, 방문자들을 위한 거점공간, 지역주민과의 교류의 장 제공 및 정보제공 등 농촌마을에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의... |
연구내용(Abstract) : | 해외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변화 사례분석(일본 해외답사: 아리타, 야메, 야메시 부시장 면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도입요소 설정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매뉴얼 개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 배치 매뉴얼 현장적용 |
기대효과(Effect) : | 아름다운 농촌경관 관리를 위한 농촌 공간계획 기법 개발 농촌개발계획을 위한 접근 방법론 개발 농촌공간조성을 위한 종합적ㆍ실용적 농촌계획 프로세스 개발 농촌정책사업의 효과 제고를 위한 공간계획 기법 개발 종합적 농촌공간 개발체계 구축을 위한 합리적 계획기법 개발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