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2-10 |
과제시작연도 | 2011 |
주관부처 |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
등록번호 | TRKO201600010825 |
과제고유번호 | 1665005809 |
사업명 |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6-11-0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10825 |
연구목적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및 발간
연구내용
◦1차년도 (2009년) ; 활성단층지도 작성 방안 정립 및 활성단층 1차 조사
기존 지진위험지도 및 역사지진 자료 수집/분석
◦2차년도 (2010년) : 활성단층 2차 조사
역사지진목록 작성 및 지진위험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 수집/분석
◦3차년도 (2011년) : 활성단층 3차 조사
활성단층지도 작성 및 설명서 발간
국가 지진위험지도 작성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지반안정성 평가에 내재된 불
연구목적
○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및 발간
연구내용
◦1차년도 (2009년) ; 활성단층지도 작성 방안 정립 및 활성단층 1차 조사
기존 지진위험지도 및 역사지진 자료 수집/분석
◦2차년도 (2010년) : 활성단층 2차 조사
역사지진목록 작성 및 지진위험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 수집/분석
◦3차년도 (2011년) : 활성단층 3차 조사
활성단층지도 작성 및 설명서 발간
국가 지진위험지도 작성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지반안정성 평가에 내재된 불확실성(예, 단층의 연장, 방향 운동학적 특성, 운동 횟수 및 시기, 변위율, 재발주기 등)을 개선하여 내진설계에 입력되는 정량적인 수치생산 및 제공
○ 지진동 피해 평가 기반 기술 구축
○ 체계화된 지진목록 작성으로 지진위험도 작성 기본 구축
○ 국가 종합재해대응시스템의 지진 관련 정보 제공 및 종합적 기술 효율성 확보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