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해조류 우무 유래 무수갈락토오스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화 |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Korea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1단계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09 |
과제시작년도 | 2014 |
주관부처 |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등록번호 | TRKO201600011074 |
과제고유번호 | 1525003876 |
사업명 |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6-11-19 |
키워드 | 해조류.우뭇가사리.무수당.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화장품 원료.Seaweed.Gelidium amansii.anhydro-sugar.3.6-anhydro-L-galactose.cosmetic ingredient. |
- 홍조류 바이오매스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탄수화물 성분인 우무(agar)를 올리고당이 아닌 완전한 단당(monomer)인 갈락토오스와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이하 L-AHG)로 분해하는 기술은 현재까지 외국에서는 보고된 바가...
- 홍조류 바이오매스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탄수화물 성분인 우무(agar)를 올리고당이 아닌 완전한 단당(monomer)인 갈락토오스와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이하 L-AHG)로 분해하는 기술은 현재까지 외국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임.
- 특히 L-AHG의 경우 L-AHG를 함유하고 있는 이당체 및 올리고당의 생리활성이 보고됨에 따라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로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해조류 우무 유래 무수갈락토오스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화이며 이를 위해 크게 4 가지 연구개발 성과를 도출하였음.
1) 홍조류를 구성하는 주요 탄수화물인 아가로스로부터 L-AHG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전처리 공정 및 효소당화공정 개발
2) L-AHG의 미백 및 보습 화장품 기능성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규명
3) L-AHG 함유 화장품의 미백 및 보습에 대한 임상 시험 및 L-AHG 함유 화장품 시제품 개발
4) 국내특허 등록 3건, 국내특허 출원 1건, 해외특허 출원 5건 및 해외 SCI 논문 4편 게재 및 기술 이전(통상실시권) 1건 등 정량적 성과 달성
Red macroalgae are currently considered as renewable resources for producing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owing to their high car...
Red macroalgae are currently considered as renewable resources for producing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owing to their high carbohydrate and low lignin and hemicellulose contents. The main carbohydrate of red macroalgae is agarose, which is composed of 3,6-anhydro-L-galactose (L-AHG) and D-galactos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ugars containing L-AHG such as neoagarobiose and agarooligosaccharides have been reported, and it was presumed that those activities were mainly due to the presence of L-AHG. However, utilization of red macroalgae has been limited owing to the lack of established methods for pretreatment and an effective saccharification system.
In this report, we propose L-AHG as the novel cosmetic ingredient for the first time.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L-AHG from agarose, pretreatment and saccharification processes were developed. The invitro skin-whitening and moisturizing activities of L-AHG were confirmed by using the purified L-AHG. These activitie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by clinical tests using the cosmetics containing L-AHG as the functional ingredient.
참여 연구원 |
---|
해조류 우무 유래 무수갈락토오스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화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Korea University
발행년월 : 2015-09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해조류 우무 유래 무수갈락토오스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화 |
---|---|
연구책임자(Manager) : | 김경헌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2 ~ 2014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161,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해조류,우뭇가사리,무수당,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화장품원료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홍조류 유래 무수갈락토오스(L-AHG)의 생산을 위한 각 단계별 분해 효소의 탐색 및 생산된 L-AHG의 분리 정제, 대량 생산 기술의 최적화를 통한 L-AHG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화 |
연구내용(Abstract) : | 1) 홍조류 우뭇가사리로부터 L-AHG의 대량 생산 및 정제 홍조류 바이오매스의 주성분인 아가를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자연계의 분해대사공정과 같이 분해공정을 크게 3단계(1단계: 중합체 다당류-올리고당류, 2단계: 올리고당류-이당류, 3단계: 이당류-단당류 (AHG와 갈락토오스))로 나누어 단계별 필수 효소단백질을 검색하고 대상 유전자의 서열정보를 확보... |
기대효과(Effect) : | ■ 우무 유래 무수갈락토오스를 화장품 미백, 항염 효능관련 고활성성 소재로 개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s Dictionary (ICID) 화장품 소재로 등재■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에 해양 컨셉의 미백 고활성 소재로 영업활동 전개■ 해외 화장품 제조업체에 해양 컨셉의 미백 고활성 소재 등으로 영업활동 전개■ 추후 건강...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