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 정부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 대책(안)”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과 전략, 세부추진과제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의 방법은...
1. 연구목적
○ 범 정부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는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 대책(안)”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과 전략, 세부추진과제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의 방법은 자료 및 문헌수집, 전문가 자문회의, 관련위원회 구성 및 운영, 협력 연구진 구성 등의 방법으로 추진 - 범 정부차원의 ‘종합대책’ 수립의 절차적·내용적 타당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부처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가칭) “청소년 독서 문화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수립 협의회”를 구성·운영(국가청소년위원회, 교육인적자원부, 문화관광부 등 관련 정부부처 및 주요 관련기관 담당자) ○ 청소년의 독서활동이 지닌 중요성 재 확인 - 청소년의 인지·정서발달의 측면에서 왜 청소년 시기에 독서를 하는 것이 중요한가에 대해 검토 후 왜 우리는 독서활동을 장려해야 하는가를 다시 한번 확인함 ○ 청소년 독서활동의 실태 분석 - 독서량, 독서시간, 독서 권장률 등 제반 독서 관련 지표가 한결같이 악화 - ① 독서율은 학생 1인당 한 학기 독서율 90%, 고등학생 월평균 독서율 64%로 10년 전보다 독서율 7.1% 감소 - ② 학생 한 학기 평균 독서량은 초등 24.0권, 중등 10.2권, 고등 7.7권이며, 일반도서 독서량은 한·일 비슷, 잡지 독서량은 일본 학생의 1/10 수준 - ③ 독서시간은 10년 전보다 1/5 수준으로 감소 - ④ 도서구입량은 놀랍게도 학생 절반이 ‘지난 한 학기 일반도서 구입 0권’ - ⑤ 베스트셀러 편식 독서가 만연 - ⑥ 학교와 가정의 독서에 대한 무관심 ○ 청소년의 독서와 관련된 정책현황 분석 - 문화관광부 차원의 청소년 독서문화 정책, 교육인적자원부의 청소년 독서교육,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 독서활동 정책으로 나누어 분석 - 각 부처별 정책현황과 문제점 분석 등을 토대로 청소년의 독서문화 정책의 지닌 문제점을 전체적으로 살펴 볼 때, 관계부처별 협력체계 취약, 부처별 청소년 독서정책의 한계, 청소년정책 내에서의 독서정책 취약 등으로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대안으로 무엇보다도 협력체계 구축을 강조하였음. ○ 청소년 독서환경의 변화 - 급속한 정보화의 경향에 따른 독서환경의 변화 - 교육현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변화 - 사회 전반에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및 다양한 형태의 가족구조 등
3. 정책제언 ○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대책의 비전과 목표, 정책추진방향 - 정책 비전으로, ‘청소년의 역량강화를 위한 독서문화 정책’ - 정책 목표로, “청소년이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독서환경 마련”을 제시 ○ 주요정책 분야와 12대 정책과제 - 주요 정책분야를 ① 청소년 독서에 대한 사회 인식제고 분야, ② 청소년 독서문화 기반 조성 분야, ③ 청소년 독서생활화 지원 분야, ④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정책 추진기반 구축 분야로 구분 - 주요 12대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함
표지 ... 1
제 출 문 ... 3
연구결과요약 ... 4
목차 ... 9
표목차 ... 11
그림목차 ... 11
I. 서 론 ... 13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9
1) 연구의 내용 ... 19
2) 연구의 방법 ... 19
Ⅱ. 청소년의 독서활동의 의미와 실태 ... 23
1. 청소년의 독서활동의 의미 ... 25
1) 역사적으로 본 우리나라의 독서환경 ... 25
2) 청소년의 인지발달과 독서활동 ... 28
2. 청소년의 독서활동 실태와 시사점 ... 48
1) 청소년 독서 현황 ... 50
2) 청소년 독서실태의 문제점과 시사점 ... 64
3) 청소년 독서환경 개선책 ... 68
Ⅲ.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정책 현황과 개선방향 ... 71
1.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 73
1) 독서 관련 법제 및 행정 체계 ... 73
2) 독서문화 진흥정책 현황 ... 77
3) 독서문화정책의 개선 방향 ... 95
2. 청소년 독서교육 정책의 문제와 개선방향 ... 101
1) 들어가는 말 ... 101
2) 지식 기반 사회와 독서교육 정책 ... 102
3) 독서교육 정책 발표와 학교 현장의 변화 ... 103
4) 독서교육정책의 첫 시행-서울시교육청의 교과별 독서지도 매뉴얼 ... 105
5) 독서교육정책에 대한 우려들 ... 107
6) 독서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 ... 111
3. 청소년 독서활동 정책의 문제와 개선방향 ... 119
1) 청소년 독서활동 정책의 개요 ... 119
2) 청소년 독서활동 주요 사업 ... 120
4. 외국의 청소년 독서문화 활성화 정책과 사업 ... 125
1) 영국 ... 125
2) 미국 ... 128
3) 프랑스 ... 136
4) 독일 ... 138
5) 일본 ... 139
6) 이스라엘 ... 141
7) 브라질 ... 141
8) 스웨덴 ... 142
9) 중국 ... 143
10) 국제독서협회(IRA :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