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주관연구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5-11 |
주관부처 | 여성가족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
등록번호 | TRKO201600013336 |
DB 구축일자 | 2016-12-17 |
◦ 대상별 접근 방안 모색 등 보다 세분화된 정책 추진 필요
-저학력층,고연령층,기능/조립종사자 및 전업주부 등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대상에 대한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감수성 교육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음
-‘일...
◦ 대상별 접근 방안 모색 등 보다 세분화된 정책 추진 필요
-저학력층,고연령층,기능/조립종사자 및 전업주부 등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대상에 대한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감수성 교육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음
-‘일방적 동화기대’나 ‘이중적 평가’요소 등,변화에 저항이 큰 구성요소들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심화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음
◦ 다문화이해교육 대상자 확대 및 지속적 교육 실시
-국민 대다수가 다문화 교육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하고 있으므로,일반인 대상의 다문화 교육 확대 및 사회교육 또는 평생교육의 제도적 틀을 활용하는 방안 모색필요
-이번 조사 결과,1,2회 다문화 교육을 받은 사람보다 3회 이상 교육을 받은 사람의 수용성이 매우 높고,‘지각된 위협인식’,‘다문화 지향성’등에서 일관된 차이를 보였음.따라서 다문화 교육 횟수를 늘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이주민과 내국인 교류 지원 프로그램 확산
-이주민과 내국인 간의 접촉·교류가 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이주민 다수 종사 업종과 이주민 집중 거주지역 등에서 상호 간 공동 참여·교류를 촉진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공교육 기능 강화
-학교 내는 물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이해교육 및 다문화 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함.학교 내의 경우,교과과정,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을 통해서 다문화 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청소년 수련관,청소년을 위한 공간 등을 이용한 학교 밖에서의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다변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임
-다문화수용성 구성요소들 가운데 ‘일방적 동화기대’,‘이중적 평가’요소에서의 수용성 향상은 내면화 수준의 질적 변화가 요구되므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제공, 이에 따른 교육 효과성 제고 등이 통합적,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acceptability level of Koreans about foreigners and foreign immigrants targeting the adult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acceptability level of Koreans about foreigners and foreign immigrants targeting the adults and the youth. This study utilized KMCI(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 for Adults) and KMCI-A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 for Adolescents) to grasp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people. Also,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contact experiences with foreigners and foreign immigrants, participating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ther participating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related activities were analyzed.
참여 연구원 |
---|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연구
주관연구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발행년월 : 2015-11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