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8-11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1600013533 |
DB 구축일자 | 2016-12-17 |
키워드 | 동물실험시설.표준건축모델.설계지침.3D 디자인.experimental animal facility.facility model.3D design. |
본 과제를 위해 설치류에서 영장류까지 실험동물시설 건축경험 (3시설,7,986㎡)과 국내·외 35개 시설의 자문실적 및 실험동물시설책임자들로 구성된 전문가그릅을 구성함. 또한 국내 실험동물 관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일본의 실험동물시...
본 과제를 위해 설치류에서 영장류까지 실험동물시설 건축경험 (3시설,7,986㎡)과 국내·외 35개 시설의 자문실적 및 실험동물시설책임자들로 구성된 전문가그릅을 구성함. 또한 국내 실험동물 관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일본의 실험동물시설 방문조사를 통해 국내외 실험동물의 현황을 파악함. 이를 바탕으로 IVC (Individually Ventilated Cage) system, Animal Sutie Unit 등에 중점을 둔 표준건축모델을 개발함.
1. 동물실험시설의 표준건축 실무모델 및 설계지침의 개발
국제적 경향을 반영한 동물실험시설의 표준건축 매뉴얼을 제작하고, 규모별, 실험동물종별, 표준건축모델(기본도면) 및 설계지침을 개발함. 특히, 유전자재조합동물등의 급증, 소규모시설의 remodeling, biosafety 등의 실험동물시설별 특징을 감안한 표준건축 실무모델과 설계지침을 개발함.
2. 국내외 실험동물시설의 건축사례 조사분석
IVC system, 시설 remodeling, 에너지 효율화 등에 중점을 두고 국내 실험동물시설의 특징과 건축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일본 현지방문시설과 캐나다 등의 실험동물시설의 건축사례를 조사분석함.
3. 국내외 실험동물시설의 설계기준자료 조사 및 분석
실험동물시설의 건축 및 설계에서 필수적인 각종 요소와 환경인자들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실험동물시설의 설계기준자료를 제시함.
4. 3D 디자인 전문업체와 공동으로 오송 실험동물시설의 입체설계 제작
다양한 기기 및 시설의 3D 입체디자인 경험을 가진 전문업체와 공동으로 국립독성연구원 오송 실험동물시설의 입체설계 및 시험연구장비 등의 3D 입체배치도면을 제작함
For the current project, the organization of a specialist group was based on the experience in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animal...
For the current project, the organization of a specialist group was based on the experience in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from rodents to primates, consulting results for 35 facilitie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a person in charge of the animal facility. In addition, the present state of experimental animal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as investigated by circulating a questionnaire to domestic experimental animal specialists and by visiting to experimental animal facilities in Japan. Based on the these information, the IVC (Individual Ventilated Cage) system and Animal Sutie Unit were used as important criteria for development of standard construction model.
1. Development of actual standard construction model and the guideline for design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Preparation of standard construction manual was based on a international trend, including its scale, specific animal species, standard construction model (basic blueprint), and design standard. In particular, actual standard construction model and design standard were prepared in view of both the increased demand for genetically-engineered animals and the peculiarities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such as remodeling and biosafety of small-scaled animal facility.
2. Case analysis of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 characters and case of construction was investigated by focusing on IVC system, facility remodeling, and energy efficiency enhancement and also by benchmarking the case of construction in Japan and Canada.
3.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data on the design standard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Data on construction standard for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was presented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or environmental parameters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design of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4. Construction of 3D-design of Osong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by co-operation with 3D-design-specialized compan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blueprint of Osong experimental animal facility and experimental research devices under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y Research was prepared by co-operation with a company which is specially-experienced in 3D-design for a variety of facilities and devices.
참여 연구원 |
---|
동물실험시설의 표준건축모델 및 설계지침 개발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발행년월 : 2008-11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