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석유자원 전략지역 유망성 분석 및 정보화
Analysis and Information of Petrleum Prospectivity of Future Strategic Regio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연구책임자 손병국
참여연구자 황인걸 , 이영주 , 장성형 , 이원석 , 신영재 , 김학주 , 홍성경 , 최지영 , 이경북 , 안연수 , 홍시찬 , 이슬아 , 유인창 , Adichat Surinkum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700000418
과제고유번호 1711041342
사업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DB 구축일자 2017-09-20
키워드 아시아 셰일가스.모잠비크 함유분지 석유정보.서해지역 통합층서.서한만 석유시스템.석유자원탐사.데이터베이스.석유자원정보시스템.Shale gas in Asia.Petroliferous basins in Mozambique.Yellow Sea.West Korean Bay Basin.Integrated stratigraphy.Petroleum System.Petroleum exploration.Database.Petroleum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0418

초록

개발결과 요약

최종(연차) 목표
미래의 석유자원 유망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의 비재래 셰일에너지 자원 평가, 프론티어 지역인 동아프리카의 석유가스자원 정보분석 및 북한을 포함한 서해지역의 석유자원 유망성 평가를 수행하고, 수집 및 해석된 자료를 PetroDB 시스템에 업로드하여 정보화 사업을 완성

개발내용 및 결과
아시아 지역의 비재래 셰일에너지자원 평가를 위해 CCOP-KIGAM 셰일 에너지 자원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14개 CCOP 회원국은 자국의 셰일자원 중점 탐사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informa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to analyse petroleum potential of 1) shale resource in Asian countries, 2) East African petroliferous sedimentary basins, and 3) Yellow Sea sedimentary basins including North Korea. The information and data, gathered from

목차 Contents

  • 표지 ... 1제 출 문 ... 2최종(연차)보고서 요약서 ... 4요 약 문 ... 6SUMMARY ... 10CONTENTS ... 12목차 ... 14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6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16 제2절 연구개발 범위 ... 18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0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22 제1절 아시아 지역 셰일가스자원 정보수집 및 광역지질 평가 ... 22 1-1. 아시아 주요 퇴적분지 근원암의 셰일가스 포텐셜 분석 및 통합 GIS지도 작성 ... 22 1-2. CCOP – KIGAM 비재래 셰일에너지자원 프로젝트 ... 32 1-3. 인도네시아 빈투니분지의 석유시스템 ... 50 1-4. 말레이시아 사라와크 분지의 석유시스템 ... 56 1-5. 태국 피사눌록 분지의 석유시스템 ... 64 1-6 셰일자원 평가기법 연구 ... 76 제2절 모잠비크 루부마 분지의 석유지질 및 석유시스템 분석 ... 108 제3절 서한만-보하이만 분지의 층서·퇴적 비교연구 ... 140 제4절 PetroDB 시스템 개선 ... 196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26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28제6장 참고문헌 ... 230끝페이지 ... 244

표/그림 (15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