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2 |
과제시작년도 | 2016 |
주관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등록번호 | TRKO201700000969 |
과제고유번호 | 1711045651 |
DB 구축일자 | 2017-09-20 |
키워드 | 달 탐사.월면토.로버 휠.우주.Lunar mission.Lunar simulant.Rover.Cosmos / Space.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0969 |
최근 우주개발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주요 우주 개발국들은 달 토양과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인공월면토(lunar simulant)를 개발하여 각종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달 토양은 지구 토양과 생성 매커니즘과 지반공학...
최근 우주개발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주요 우주 개발국들은 달 토양과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인공월면토(lunar simulant)를 개발하여 각종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달 토양은 지구 토양과 생성 매커니즘과 지반공학적거동이 다르기 때문에 완벽하게 모사하는 것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기존 인공월면토 중 국제적으로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제작한 JSC-1A이며, 우리나라는 아직 국제적으로 공인된 인공월면토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반재료를 이용한 한국형 인공월면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그 시제품으로 KLS-1(Korea lunar simulant - type 1)을 제시하였다. KLS-1은 기존 국외 인공월 면토들과 비교하여 유사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향후 국내 우주개발 사업뿐만 아니라 각종 국제연구에 폭 넓게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달 탐사를 위한 로버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로버 휠 성능평가 장비 제작, 원심모형시험기를 이용한 우주 건설 환경 모사 시험시설 설계, 로버의 주행성 검토용 DEM 시뮬레이터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향후 로버 휠의 최적 형상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출처 : 서지자료 초록 )
For the success of future missions to the Moon and other similar cosmic environments,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lunar r...
For the success of future missions to the Moon and other similar cosmic environments,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lunar regolith has become essential. However, due to the scarcity and unaffordability of real lunar regolith on Earth, a number of lunar regolith simulants (e.g., JSC-1; NASA) have been developed for experimental purposes. However, Korea does not have its own lunar regolith, even though the country is planning to actively pursue lunar and space missions in the 2020s. Thu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a Korean lunar simulant prototype via basic feasibility attempts (e.g., raw material selection, particle size and chemical composition simulation). Finally, the first prototype of Korea’s own lunar simulant has been obtained, and denominated as KLS-1. Additional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e performance test for lunar exploration rover, the design of lunar test facility using geo-centrifuge, and the development of DEM simulator for studying the rover performance.
( 출처 :Bibliographic Data Abstracts )
참여 연구원 |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발행년월 : 2016-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한진태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5 ~ 2016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355,070,196원 |
키워드(keyword) : | 월면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연구목표(Goal) :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
연구내용(Abstract) :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달 환경) 조성기술 개발, 월면표토(Lunar regolith) 분석 및 대량확보 방안 마련, 온도조건(달의 남극)에 따른 월면표토 특성 분석 및 달탐사 로버의 주행성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 설계 및 제작, 달 환경(극저온)을 재현할 수 있는 실증실험... |
기대효과(Effect) : | 달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