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 |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Yonsei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유미 |
참여연구자 | 조희영, 이은, 이후연, 유은경, 박수경, 배은경, 백혜진, 이수진, 박보영, 서다혜, 권정아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0 |
과제시작년도 | 2015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700004996 |
과제고유번호 | 1465019491 |
사업명 | 여성건강융복합기반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7-09-20 |
키워드 | 여성.생애주기.건강이슈.포럼.정책.Women.Life-cycle.Health issues.Forum.Policies.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4996 |
여성건강은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생애주기별 건강문제와 사회에서 구조화된 젠더역할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문제가 있다. 그동안 생애주기별, 성 인지적 측면에서 여성건강에 대한 조망과 보건의료정책 개발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
여성건강은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생애주기별 건강문제와 사회에서 구조화된 젠더역할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문제가 있다. 그동안 생애주기별, 성 인지적 측면에서 여성건강에 대한 조망과 보건의료정책 개발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여성건강연구 -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 Related Issues (K-Stori)를 통해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 건강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하고 여성건강 관련 이슈를 발굴 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여성건강 관련 연구 및 조사의 설문문항을 비교 분석하였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근 한국 여성들의 건강 관심 주제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개 생애주기별 (청소녀기, 가임기, 임신출산기, 갱년기, 노년기) 건강인식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각 생애주기별로 3,000명씩 총 15,000명의 전국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여성들이 인식하는 건강문제는 생애주기별로 크게 달랐는데, 청소녀기의 경우에는 월경문제,왕따, 교통사고, 가임기 및 임신출산기는 암, 교통사고, 성폭력, 난임·불임, 정신건강문제, 갱년기 및 노년기는 골다공증, 암, 폐경, 관절염, 중풍으로 조사되었다. 전 주기에서 신체활동 부족과 젊은 여성에서의 고위험음주가 심각하였다. 왜곡된 체형 및 신체 이미지가 전 여성의 생애에 걸쳐 문제로 파악되었으며, 나이가 들면서 수면의 질 저하가 뚜렷하였다. 식습관에서 커피섭취가 유제품에 비해 매우 높았고 전체 56% 여성들이 식이보충제를 복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성역할인식이 노년기일수록 왜곡되어 있었으며, 가사, 육아 등은 생애주기 공통적으로 여성에게 치중되어 있었다. 건강정보는 거의 대부분 주위사람으로부터 얻고 있다고 응답하였고,노년기를 제외한 모든 생애주기에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정보습득이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발굴된 생애주기별 여성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및 과제 개발이 요구된다. 즉, 한국여성들이 전 생애주기를 건강하게 통과(PASS)할 수 있는 여성친화적(women-friendly)/ 성인지적(gender-sensitive) 보건의료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예방 서비스를 확대하고(Prevention), 접근성과 이용 만족도 (Accesibility, Satisfaction)를 증진시키며, 신뢰성과 안전성 (Security)이 보장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출처 : 요약문 )
Health issues differ greatly between male and female not only because their fundamental biological differences but also their cust...
Health issues differ greatly between male and female not only because their fundamental biological differences but also their customized gender role in the current society. There is still paucity of information regarding gender-sensitive women's health issues and related healthcare policies. We developed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 Related Issues (K-Stori) to explore life-cycle specific women’s health issues in Korea.
We reviewed both domestic and foreign health behavior related surveys, especially those developed for women. We also used big data to reflect current interests from the general women population in Korea. We have developed five life-cycle specific questionnaires covering broad health related areas including health risk perception. 3000 participants from each life cycle with total number of 15000 women were surveyed nationwide by random sampling.
The health risk perception for each life-cycle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ir life cycle; menstrual cycle related problems scored high during puberty, motor vehicle accidents during childbearing period, cancer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eriod,osteoporosis during menopause and osteoarthritis during elderly period. Majority of participants throughout the life-cycle agreed that lack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ies was most health-threatening behavior. It would be worthwhile to point out that more than one fifth of women during childbearing period were engaged in high risk drinking. Also distorted body image was s noted throughout life-cycle. The quality of sleep was very poor among elderly.
The coffee consumption was higher than diary products throughout the age without exception.
Also 56% of women reported taking some form of nutritional supplements. The elderly women were still found to have distorted perception of gender role. As expected, most of house chores and parenting was carried out by women throughout the life-cycle. It was also interesting to find out that majority of participants throughout the life-cycle reported that the source of health related information was in fact friends and neighbors. All women except elderly utilized their mobile phone to pursue health related information.
Life-cycle specific approach and policy is necessary to meet their health related needs 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It would be very important to provide healthcare service that is more focused on prevention, and easily accessible with satisfaction and security (PASS) so that all women can safely pass through each stage of their life cycle.
( 출처 : SUMMARY )
참여 연구원 | 조희영, 이은, 이후연, 유은경, 박수경, 배은경, 백혜진, 이수진, 박보영, 서다혜, 권정아, 서미라, 최귀선, 강민아, 김현수, 박소희, 조주희, 함명일, 서민아, 한민경, 최은지, 박진영, 최동우, 조하나, 박영란, 김수, 박경순, 박은주, 강수연, |
---|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Yonsei University
책임연구자 :
이유미
발행년월 : 2016-10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