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서해 연안지질 위험요소 연구 |
---|---|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연구책임자 | 김경오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7 |
과제시작년도 | 2016 |
주관부처 |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등록번호 | TRKO201800002372 |
과제고유번호 | 1525005430 |
사업명 | 해양과학조사및예보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8-03-24 |
키워드 | 서해.연안지질.위험요소.지진.단층.West Sea.Coastal Geology.Geohazard Factor.Earthquake.Fault.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2372 |
- 해양영토의 효율적인 관리는 국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
- 대규모 국책사업이 연안지역에 계획 및 진행 중
- 우리나라를 지질학적으로 안전지대로 오인하여 대규모 국책사업의 안정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연안의 지질 위험...
- 해양영토의 효율적인 관리는 국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
- 대규모 국책사업이 연안지역에 계획 및 진행 중
- 우리나라를 지질학적으로 안전지대로 오인하여 대규모 국책사업의 안정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연안의 지질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6년 경주 지진 등으로 지질 위험요소에 대한 경각심 부각
- 서해 연안을 6개의 권역(부안, 영광, 목포, 보령, 태안, 덕적도)으로 나누어 2011년에서 2017년까지 서해의 잠재적 연안 지질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 수행
- 육상 지질, 지진, 해상 지질 및 지구물리의 통합 연구를 통해 천부에서 심부까지의 모든 연안 지질 위험요소 파악 및 원인 규명
- 국내 최초로 연안지질 위험요소 관련 도면집 (항적도, 수심도, 특이해저지형분포도, 해저면음향상분포도, 지하구조도, 중력이상도, 자력이상도, 지진분포도)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Purpose & Contents
- Establishing basic science data of potential geohazard factors in and around western coastal area for effi...
Purpose & Contents
- Establishing basic science data of potential geohazard factors in and around western coastal area for efficient usage of maritime territory, planning long-term policy of disaster and making management system.
- Study of coastal geohazard factor in six area of western coast by land geology, earthquake,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ata.
- Structure analysis of younger fault/lineament in land area
- Analysis of earthquake and characterization of earthquake source.
- Study of seafloor.
- Study of shallow/deep geologic structure.
Results
- Coastal geohazard map. (track chart, bathymetry map, abnormal seafloor distribution map, seafloor acoustic phase map, subsurface structure map, gravity anomaly map, magnetic anomaly map, earthquake distribution map).
- Database of coastal geohazard.
Expected Contribution
- Providing basic science data for efficient usage of maritime territory, planning long-term policy of disaster and making management system.
- Providing data and results for large-scale national project
- Providing data and results for national earthquake hazard map.
- Providing data and results to cooperative organization (Navy, KHOA, related industry).
- Contributing various academic studies (reduce geohazard, tectonic of Korean peninsula, paleoclimate).
- Enhancing national image by establishing national basic data.
(출처 : SUMMARY 5p)
참여 연구원 |
---|
서해 연안지질 위험요소 연구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책임연구자 :
김경오
발행년월 : 2017-07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