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기반 채소류 수급 유통 고도화 사업단
Research Group for Price Stabilization of Major Vegetable Products Using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연구책임자 김동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8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등록번호 TRKO201800009799
과제고유번호 1545012312
사업명 농생명산업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8-05-26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09799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총괄과제는 국내 수급안정정책을 분석하고, 생산자 설문조사 및 계량모델을 사용하여 정책 효과를 평가하였다. 해외 유사사례와 비교, 검토하고 핵심 수급안정사업인 생산안정제사업(계약재배사업)의 중장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생산안정제 사업과 연관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증1과제는 산지유통조직의 업무분석을 통해 형태를 4가지(직송형, 저장형, 복합1형, 복합2형)로 생산유통정보시스템을 표준화하여 개발하고 커스터마이징을 거쳐 개별조직 7개소, 연합조직 2개소에 개발된 시스템을 보급하

Abstract

Ⅳ. Results
The empirical research project 1 developed the production-marketing information system with four types (direct delivery type, storage type, complex type 1, and complex type 2)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usiness activities of distribution organizations such as agricultural cooperativ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요 약 문 ... 3
  • SUMMARY ... 6
  • CONTENTS ... 9
  • 목차 ... 12
  • 제1장 사업단의 개요 및 성과목표 ... 15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5
  • 1. 연구의 배경 ... 15
  • 2. 연구의 필요성 ... 16
  • 제2절 연구 목표 ... 16
  •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17
  • 1. 연구 범위 및 방법 ... 17
  • 가. 채소류 수급안정정책 ... 17
  • 나. 산지유통조직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 17
  • 다. 빅데이터 기반 채소류 수급예측시스템 ... 17
  • 라. 채소류 저장 및 가공 기술 ... 18
  • 마. 생산자 산업분석 및 생산자 조직화 ... 18
  • 2. 연구 추진 체계 ... 18
  • 3. 연차별 연구 추진 연혁 ... 20
  • 가. 1차년도 ... 20
  • 나. 2차년도 ... 21
  • 다. 3차년도 ... 21
  • 제4절 연구 내용 ... 22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3
  • 제1절 생산유통정보시스템 ... 23
  • 1. 정보기술 환경분석 ... 23
  • 가. 정보기술 동향분석 ... 23
  • (1) 정보기술의 전반적 동향 ... 23
  • (2) Gartner -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 24
  • (3) IDC – 2015년 IT 시장 10대 전망 ... 24
  • (4) NIA – 2015년 전자정부 선정 IT 기술 ... 25
  • 나. 대상 정보기술 ... 25
  • (1) 범정부 기술참조모델 ... 25
  • (2) TRM 영역별 정보기술 분석대상 ... 26
  • (3) 본 연구와의 연관성 ... 26
  • 다. 정보기술 기본분석 ... 27
  • (1) Ubiquitous Computing ... 27
  • (2) 빅데이터(Big Data) ... 27
  • (3) OLAP ... 28
  • (4) EAI ... 29
  • (5) 웹서비스 ... 30
  • (6) 정보보호 ... 31
  • (7) 스마트워크 ... 31
  • 2. 정보기술 세부분석 ... 32
  • 가. 모바일 기기 ... 32
  • (1) 스마트폰 ... 33
  • (2) 스마트패드 ... 34
  • (3) 적용사례 ... 36
  • 나. ERP ... 38
  • (1) 개요 ... 38
  • (2) ERP 역사 ... 38
  • (3) 확장형 ERP ... 39
  • (4) 국내 ERP 현황 ... 39
  • (5) 적용사례 ... 40
  • 다. 클라우드 컴퓨팅 ... 43
  • (1) 개념 ... 43
  • (2) 유형 ... 43
  • (3) 특징 ... 44
  • (4) 시장 구도 ... 44
  • (5) 주요 상품 비교 ... 45
  • (6) 도입 사례 ... 45
  • 제2절 빅데이터 ... 47
  • 1. 빅데이터 활용 사례 ... 47
  • 가. 구글 검색어 분석을 통한 독감예보 서비스 제공 ... 47
  • 나.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 최적화 빅데이터 ... 47
  • 다. 농심발암물질 사건 이후 소비심리 회복 분석 ... 47
  • 라. 일본 방사능 오염사건으로 인한 국내 돼지고기 소비패턴 변화분석 ... 48
  • 마. 빅데이터 기반 기상과 식품구매패턴의 변화(심근섭 & 이혜림, 농진청) ... 48
  • 바. 비정형데이터 활용 예측 사례 ... 49
  • 2. 농업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 50
  • 가. The Climate Corporation ... 50
  • (1) Total Weather Insurance ... 50
  • (2) Climate Basic & Climate Pro ... 50
  • 나. WSN(Wireless Sensor Network)을 통한 정밀농업 (precision farming) ... 50
  • 다. Seige System ... 51
  • 라. Lofar Agro 프로젝트 ... 52
  • 마.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경로 예측시스템 ... 53
  • 바. 농촌진흥청 농업기상정보 서비스 ... 54
  • 사. 영주사과작황정보서비스 ... 54
  • 아. 영상 처리에 의한 잎 질병 조기탐지 ... 54
  • 자. 스마트폰을 이용한 식물병탐지(SmartDDS) ... 55
  • 차.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물공장 일정관리 소프트웨어 ... 56
  • 카. PigWise 프로젝트: 사물인터넷 기반의 양돈개체 모니터링 ... 56
  • 타. 농업용 드론 활용 ... 57
  • 파. 적시 출하를 위한 채소생산예측 애플리케이션 ... 57
  • 하. 모바일․웹을 통한 농림기상 의사결정 시스템 ... 58
  • 3. 빅데이터 활용 사례 소결 ... 60
  • 제3절 농업과 ICT의 융합 ... 61
  • 1.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 ... 61
  • 가. 4차 산업혁명 ... 61
  • 나. 스마트팜의 부상 ... 61
  • 다. 스마트팜 시장의 현재와 미래 ... 61
  • (1) 국내 스마트팜 시장 동향 ... 62
  • (2)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동향 ... 63
  • 2. 국내 및 주요국의 스마트팜 관련 정책 동향 ... 63
  • 가. 국내 스마트팜 관련 추진정책 동향 ... 63
  • 나. 해외 스마트팜 기술도입 선도 기업 및 정책추진 동향 ... 65
  • 3. 시사점 ... 66
  • 제4절 비정형데이터 분석 ... 67
  • 1. 비정형데이터 ... 67
  • 2. 텍스트마이닝 ... 67
  • 3. 웹마이닝 ... 69
  • 4. 중심성 & 구조적 등위성 ... 69
  • 5. 오피니언 마이닝 ... 71
  • 6. 데이터 시각화 ... 72
  • 7. 통계그래픽 ... 73
  • 8. 워드클라우드 ... 74
  • 9. 데이터 시각화 도구 ... 75
  • 제5절 채소류 저장 및 가공 기술 개발 ... 76
  • 1. 배추 저장 관련 기술 사례 ... 76
  • 2. 배추의 전처리 기술 ... 78
  • 가. 살균기술 ... 78
  • 나. 예냉기술 ... 78
  • 다. 배추의 저장 기술 ... 79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80
  • 제1절 채소류 수급안정정책 평가 및 개선 방안 ... 80
  • 1. 채소류 수급안정정책 현황과 문제점 ... 80
  • 가. 개요 ... 80
  • 나. 채소류 수급안정사업 ... 81
  • (1) 사업목적 및 내용 ... 81
  • (2) 사업추진 절차 ... 82
  • (3) 사업대상자 및 요건 ... 83
  • (4) 자금조성 및 지원 ... 84
  • (5) 사업추진 실적 ... 84
  • (6) 품목별 계약재배 실적 ... 85
  • (7) 정산 ... 87
  • (8) 성과 및 문제점 ... 87
  • 다. 생산출하안정제 ... 88
  • (1) 수급안정사업 개편 배경 ... 88
  • (2) 생산안정제 ... 89
  • (가) 사업개요 ... 89
  • (나) 사업추진 절차 ... 89
  • ① 사업계획 수립 및 사업승인 ... 89
  • ② 물량배정, 계약 및 관리 ... 89
  • ③ 자율적 수급안정 대책 추진 ... 90
  • ④ 수급안정기금 적립 및 사업정산 ... 90
  • (3) 출하안정제 ... 90
  • (가) 사업개요 ... 90
  • (나) 사업추진 절차 ... 90
  • ① 계획수립 및 승안 ... 90
  • ② 자금지원 ... 91
  • ③ 판매 및 수급조절 ... 91
  • ④ 평가 및 정산 ... 91
  • (4)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기대효과 ... 91
  • (5) 비축사업 ... 92
  • (가) 사업개요 ... 92
  • (나) 사업규모 및 실적 ... 92
  • (다) 수입비축 관리현황 ... 93
  • (라) 비축농산물 판매 ... 94
  • (6) 농업관측사업 ... 95
  • (가) 연혁 ... 95
  • (나) 사업내용 ... 95
  • ① 단기관측 ... 96
  • ② 중기관측 ... 96
  • ③ 장기전망 ... 97
  • (다) 성과 ... 97
  • (라) 문제점 ... 97
  • ① 정보제공의 신속성 필요 ... 97
  • ② 수요 분석의 부재 ... 97
  • ③ 부분균형모델 도입 필요 ... 97
  • ④ 가격의 대표성 문제 ... 98
  • ⑤ 주산지 시군 정보 미흡 ... 98
  • ⑥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의 객관성 미흡 ... 98
  • ⑦ 수요자의 실질적 이용도 미흡 ... 98
  • ⑧ 중기선행관측의 구체성 부족 ... 98
  • ⑨ 가격 안정화 효과 미흡 ... 99
  • 2. 해외 채소류 수급현황 및 정책 ... 100
  • 가. 중국의 채소류 수급 현황 및 정책 ... 100
  • (1) 수급동향 ... 100
  • (2) 정책 방향 ... 100
  • (가) 채람자 공정 ... 100
  • (나) 녹색통로 ... 100
  • (다) 전국채소산업발전계획 2011~2020 ... 101
  • (라) 농민전업합작사와 슈퍼의 연결(農超對接) ... 101
  • (마) 시사점 ... 101
  • (3) 채소류 수급안정 조절 동향 ... 102
  • 나. 일본의 채소수급안정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104
  • (1) 개요 ... 104
  • (2) 채소의 관리 ... 104
  • (가) 채소의 계획적 생산·출하 추진 ... 104
  • (나) 지정채소와 특정채소 ... 105
  • (다) 채소지정산지 ... 106
  • (라) 출하단체 및 생산자의 등록 ... 106
  • (마) 긴급수급조정대책 ... 107
  • (바) 지정채소 가격안정대책 ... 108
  • ① 대상채소 ... 108
  • ② 대상시장군(對象市場群) ... 108
  • ③ 대상출하기간 ... 108
  • ④ 보증기준금액 ... 108
  • ⑤ 최저기준금액 ... 108
  • ⑥ 평균판매가격 ... 109
  • (사) 계약채소 안정공급사업 ... 110
  • ① 도입경과 ... 110
  • ② 대상 등록단체 및 생산자 ... 110
  • ③ 부담비율 ... 110
  • ④ 사업형태 ... 110
  • (3) 채소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 112
  • 3. 일본의 농업정책 개설 ... 113
  • 가. 머리말 ... 113
  • 나. 농업정책의 단계별 전개과정 ... 113
  • (1) 농업정책의 단계 구분 ... 113
  • (2) 21세기 농업정책의 형성 ... 113
  • (가) 신정책의 추진 ... 114
  • (나) 새로운 기본법 제정 ... 114
  • ① 4대 이념의 설정 ... 114
  • ② 농정추진방식 전환 ... 115
  • (다) 농업의 성장산업화 ... 115
  • ① 일본재흥전략 수립 ... 115
  • ② 농림수산업·지역활력창조플랜의 주요 내용 ... 115
  • 다. 주요정책의 횡단적추진 ... 116
  • (1) 가격·소득정책 ... 116
  • (가) 개요 ... 116
  • (나) 가격정책의 경제이론 ... 116
  • ① 소득재분배의 필요성 ... 116
  • ② 소득재분배정책의 근거 ... 117
  • ③ 가격정책의 평가 ... 117
  • ④ 소득지지의 대안 ... 118
  • (2) 농산물유통정책 ... 118
  • (가) 개요 ... 118
  • (나) 유통의 국민경제적 기능 ... 118
  • ①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 118
  • ② 유통의 기능과 영역 ... 119
  • ③ 유통과정의 기본적 성격 ... 120
  • (3) 농업구조정책 ... 120
  • (가) 개요 ... 120
  • (나) 농업구조문제의 소재와 배경 ... 120
  • ① 농업구조의 정의 ... 120
  • ② 구조문제 발생의 배경과 요인 ... 121
  • (다) 농업구조변동을 규정하는 요인 ... 121
  • ① 구조정책이 등장하는 배경 ... 121
  • ② 농업구조의 변동 ... 121
  • (라) 농업구조정책의 목표와 위치설정 ... 122
  • ① 구조정책의 목표 ... 122
  • ② 구조정책의 특질 ... 122
  • ③ 구조정책의 정책수단 ... 122
  • (마) 농업구조정책의 경제이론적 기초 ... 123
  • (바) 농업구조정책의 특징 ... 123
  • 라. 정책 결정방식의 전환 ... 123
  • (1) 자민당의 정책결정방식 ... 123
  • (2) 민주당의 정책결정방식:‘관료주도’에서 ‘정치주도’로 ... 124
  • (3) 아베정부의 정책결정방식 ... 125
  • 마. 정책평가제도의 도입 ... 126
  • (1) 개요 ... 126
  • (2) 도입 목적과 제도 체계 ... 126
  • (가) 목적 ... 126
  • (나) 제도 체계 ... 127
  • ① 해당 부처의 평가 ... 127
  • ② 총무성의 평가 ... 127
  • ③ 제3자 평가기관 설치 및 평가결과의 공표 ... 127
  • (3) 농림수산성의 정책평가 ... 128
  • (가) 정책평가의 목적 ... 128
  • (나) 제도도입의 배경 ... 128
  • (다) 정책평가의 실시 ... 129
  • ① 평가방법 ... 129
  • ② 평가결과 ... 130
  • (4) 정책평가의 효과 ... 130
  • 바. 시사점 ... 131
  • (1) 농업구조정책의 강화 ... 131
  • (2) 21세기 농업의 성장산업화 ... 131
  • (3) 농업경영안정의 강화 ... 131
  • (4) 다원적 기능의 확산과 새로운 농업보호 ... 132
  • (5) 6차산업화로 농업성장 견인 ... 132
  • (6) 정책평가제도의 도입과 의의 ... 132
  • 4. 미국 농업정책 ... 134
  • 가. 미국 농정의 역사적 변천과정 ... 134
  • (1) 1933년 농업법 제정 이전 농정 ... 134
  • (2) 1933년 농업법 제정 이후 농정 변화 ... 135
  • 나. 농산물 가격 및 농가소득 지원제도 ... 135
  • (1) 기존 농업법의 가격지지 및 농가소득 지원제도 ... 135
  • (2) 2014년 농업법의 가격지지 및 농가소득지원 제도 ... 135
  • (가) 유통지원융자제도(ML) ... 136
  • (나) 가격손실보상제도(PLC) ... 137
  • (다) 수입손실보상제도(ARC) ... 137
  • 다. 작물보험(Crop Insurance)과 긴급농업재해지원제도 ... 138
  • (1) 작물보험제도 ... 138
  • (가) 기존 농업법의 작물보험제도 ... 138
  • (나) 2014년 농업법의 작물보험제도 ... 139
  • (2) 긴급농업재해지원제도 ... 141
  • 라. 환경보전정책(Conservation) ... 142
  • (1) 기존 농업법의 환경보전정책 ... 142
  • (2) 미국의 농업자원 및 환경보전정책의 특징 ... 144
  • (가) 포트폴리오 접근(Portfolio Approach)에 따른 보전정책의 강화 ... 144
  • (나) 경작농지보전(working-land conservation)에 대한 정책 강화 ... 144
  • (다) 환경보전 의무준수와 연계한 농업정책의 시행 ... 144
  • (3) 2014년 농업법의 환경보전 정책의 주요변화 ... 145
  • (가) 환경보전 관련 재정 지출 축소 ... 145
  • (나) 주요 환경보전 프로그램의 재승인 ... 145
  • (다) 환경보전 프로그램의 통합 ... 145
  • (라) 작물보험 수혜를 위한 보전의무 준수 규정 도입 ... 145
  • 마. 요약 및 시사점 ... 146
  • 5. EU 농업정책 개요 ... 148
  • 가. 서 론 ... 148
  • 나. EU 공동농업정책의 형성 과정 ... 148
  • (1) 유럽 공동농업정책(CAP)의 설립 ... 148
  • (2) 공동농업정책(CAP)의 목적 ... 148
  • (3) 공동농업정책(CAP)의 이념 ... 149
  • 다. CAP의 개혁과정과 정책이념의 변화 ... 149
  • (1) 1968년도 맨숄트 개혁과 효율성 농정 ... 149
  • (가) 1985년 농업구조정책의 개혁과 다원적 기능의 도입 ... 150
  • ① Green Paper의 CAP 개혁 제안 ... 150
  • ② 농업구조정책의 개혁 ... 150
  • (2) 1988년 개혁과 지역주의 농정이념의 도입 ... 151
  • (가) 지역정책의 구조기금 개혁에 의한 농촌개발 정책 도입 ... 151
  • (3) 1992년 CAP 개혁과 직접지불제도의 도입 ... 152
  • (가) 개요 ... 152
  • (나) 1992년 CAP 개혁의 배경과 농정기조 ... 152
  • (4) Agenda 2000 개혁과 지속가능발전 목표의 설정 ... 152
  • (5) 2003년 CAP 중간평가 개혁 ... 152
  • (6) 2013년 CAP 개혁과 환경주의 이념의 설정 ... 153
  • (가) 개요 ... 153
  • (나) 2013년 CAP 개혁의 농정이념 ... 154
  • 라. CAP의 가격 및 소득안정 프로그램 ... 154
  • (1) 시장가격지지 제도 ... 154
  • (가) 시장가격지지정책의 기본 구조 ... 154
  • (2) CAP 직접지불제도 ... 155
  • (가) 1992년 개혁에서의 직접지불제 ... 155
  • (나) 2000년 개혁에서의 직접지불제 개편 주요 내용 ... 155
  • (다) 2003년 중간평가개혁(Mid-term Review)의 직접지불제 개편 주요 내용 ... 156
  • (라) 2013년 개혁에서의 직접직불제 ... 157
  • (3) 농촌개발 정책 ... 158
  • (가) 2000년 CAP 농촌개발정책 도입 ... 158
  • (나) 2007년 CAP 농촌개발정책 개혁 ... 158
  • (다) 2013년 CAP 농촌개발정책의 개혁 내용 ... 159
  • (4) 생산자 조직 육성 정책 ... 160
  • (가) 1972년의 생산자 조직 지원 정책 ... 160
  • (나) 1996년 생산자 조직의 중요성 강조 ... 160
  • (다) 2000년 이후 개혁의 생산자 조직 지원 내용 ... 161
  • 마. EU 농업정책의 시사점 ... 161
  • 6. 수급안정사업 평가 ... 163
  • 가. 가격변동요인 분석과 시사점 ... 163
  • (1) 개념적 틀 ... 163
  • (가) 가격 결정 모형 ... 163
  • (나) 가격변동성 분해 모형 ... 164
  • (2) 분석자료 및 분석 모형 ... 165
  • (가) 분석자료 ... 165
  • (나) 가격결정 실증분석 모형 ... 166
  • (3) 가격변동성 분해결과 및 함의 ... 167
  • 나. 수급안정사업 설문평가 ... 168
  • (1) 설문조사 ... 168
  • (가) 생산 현황 ... 168
  • (나) 수급안정사업 평가 ... 169
  • (다) 종합평가 ... 171
  • (2) 설문조사 결과 ... 172
  • (3) 채소류 재배면적 결정요인 분석 ... 172
  • (가) 재배면적 결정 요인 ... 172
  • (나) 분석모형 ... 175
  • (다) 분석결과 ... 177
  • (4) 소결 ... 179
  • 다. 수급안정사업 평가 ... 180
  • (1) 수급안정화 사업이 시장에 미치는 효과 ... 180
  • (가) 계약재배 ... 180
  • (나) 수매비축 및 산지폐기 ... 181
  • (다) 계약재배 및 수매비축과 산지폐기 사업이 시장에 미친 효과 분석 모형 ... 182
  • (2) 수급안정사업이 시장에 미친효과 분석 결과 ... 184
  • (가) 분석에 사용한 파라미터 값 ... 184
  • (나) 분석결과 ... 185
  • (3) 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수급안정사업의 정책과제 ... 187
  • 7. 생산출하안정제 중장기 전망 ... 189
  • 가. 서론 ... 189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89
  • (2) 연구방법 ... 189
  • 나.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 190
  • (1)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주요 내용 ... 190
  • (가)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추진배경 및 경과 ... 190
  • (나) 2015년 생산안정제 시범사업 평가 ... 190
  • ① 고랭지배추 ... 190
  • ② 겨울배추 ... 191
  • ③ 사업 한계 및 개선사항 ... 192
  • (다) 2016년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기본방향 ... 192
  • (라) 생산・출하안정제 추진계획 ... 193
  • ① 생산안정제 내실화 방안 및 향후계획 ... 193
  • ② 출하안정제 추진계획 ... 194
  • (2)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효과 이론적 논의 ... 196
  • (가) 생산・출하안정제 사업의 경영안정 효과 ... 196
  • (나) 생산・출하안정제 사업의 수급안정 효과 ... 197
  • 다. 생산안정제 사업 효과 분석모형 ... 198
  • (1) 생산안정제 사업 효과 분석모형 개발 ... 198
  • (가) 기본가정 ... 198
  • (나) 모형구조 ... 199
  • (다) 이론적 원리 ... 199
  • ① 농업의 특수성 반영 ... 199
  • ② 시장청산 균형가격 ... 199
  • ③ 공급반응함수 ... 200
  • ④ 수요함수 ... 200
  • ⑤ 경영비와 기대생산량함수 ... 201
  • ⑥ 연산년도/마케팅연도 적용 ... 201
  • (2)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효과 분석 시나리오 ... 201
  • (3) 생산안정제 사업 효과 분석 결과 ... 202
  • (가) 베이스라인 ... 202
  • (나) 시나리오 분석결과 ... 205
  • ① 생산・출하안정제 사업 시행 ... 205
  • ② 기상 호조(시나리오 1-1) ... 206
  • ③ 산지폐기(시나리오 1-2) ... 208
  • ④ 기상 악화(시나리오 2-1) ... 210
  • ⑤ 출하조절(시나리오 2-2) ... 212
  • 라. 결론 ... 214
  • 8. 수급안정사업 시사점 및 개선 방안 ... 216
  • 가. 수급안정사업 평가 및 시사점 ... 216
  • 나. 수급안정사업 개선방안 ... 216
  • (1)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 216
  • 다. 생산안정제 개선 방안 ... 218
  • (1) 생산안정제 정부 예산의 기금화 ... 218
  • (2) 수급조절 기여에 따른 차등 보전 ... 218
  • (3) 농작물 관련 보험 확대로 위험관리시스템 구축 ... 218
  • (4) IC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농업관측 사업의 개선 ... 218
  • (5) 채소류 가격 지수의 산출 ... 219
  • (6) 도매시장 가격 안정화 장치 도입 ... 219
  • 제2절 산지유통조직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 220
  • 1. 개요 ... 220
  • 가. 연구배경 및 목적 ... 220
  • 나. 연구범위 ... 220
  • 다. 조직별 구축 프로세스 ... 221
  • 2. 본 연구에 적용된 생산·유통 정보시스템 유형 ... 221
  • 가. 현장조사 결과 ... 221
  • 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유형정의 ... 222
  • 다. 적용 모델 ... 225
  • 라. 연구의 차별성 ... 225
  • 3. 생산·유통 정보시스템 구축 ... 226
  • 가. 생산유통정보시스템 9개소 구축 완료 ... 226
  • (1) 구축 조직 및 품목 ... 226
  • (2) 조직별 구축 업무목록 비교 ... 226
  • (가) 조직별 업무특성에 맞는 정보시스템 개발 추진 ... 226
  • (나) 합천유통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업무목록 ... 227
  • (다) 서남부채소농협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업무목록 ... 227
  • (라) 대관령원예농협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업무목록 ... 228
  • (마) 해남 화원농협 ... 228
  • (바) 신미네유통사업단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업무목록 ... 229
  • (사) 대정농협 ... 229
  • (아) 괴산군조합공동사업법인 ... 230
  • (자) 연합조직 생산·유통정보시스템 - 농협경제지주 제주/전남지역본부 ... 230
  • 나. 개별조직 생산·유통 정보시스템 ... 231
  • (1) 구축조직 ... 231
  • (2) 구축내용 ... 231
  • (3) 주요화면 예시 ... 231
  • 다. 연합조직 생산·유통 정보시스템 ... 237
  • (1) 구축내용 ... 237
  • (가) 농협경제지주 제주지역본부, 전남지역본부 ... 237
  • 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 239
  • (1) 모바일 전자계약 어플리케이션 ... 239
  • (2) 모바일 작황조사 어플리케이션 ... 239
  • 4. 물동량 예측 및 사업 확산 방향 ... 240
  • 가. 물동량 예측모형 설계 ... 240
  • (1) 물동량 예측 모듈 입출력 설계 ... 240
  • (2) 물동량 예측 모델 고도화 ... 241
  • (가) 물동량 예측 시스템 발전 단계별 고도화 계획 ... 241
  • (3) 시험적용(대관령원예농협, 신미네유통사업단 적용) ... 241
  • (가) 대관령, 신미네 2013~2015년 출하량 데이터 검토 ... 241
  • ① 분석결과OLS) ... 241
  • ② 분석결과[SVM(G = 2, C = 16, kernel = “Radial”)] ... 242
  • ③ 실제 반입량 및 모델 예측치 비교(신미네는 제외, 모형 3 적용) ... 242
  • (4) 예측모델의 한계 및 개선방향 ... 242
  • (가) 대관령원예농협 사례 결과(고랭지배추) ... 242
  • (나) 신미네유통사업단 사례 결과(양파) ... 242
  • (다) 양파 관련 수급 예측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한 전제조건 ... 242
  • (라) 기타 ... 243
  • 나. 사업 확산 ... 244
  • (1) 양파, 배추(고랭지) 품목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보급 확산 수준 ... 244
  • (2) 사례 : 농림부 A 정보시스템 운영 사례 ... 244
  • (3) 사례 : 농림부 가축방역 시스템 ... 245
  • (4) 운영방식 ... 245
  • (가) 운영주체별 장단점 비교 ... 245
  • (나) 운영 이슈 및 모델 ... 245
  • (5) 운영예산(년차별 예산 투입 수준) ... 246
  • (6) 빅데이터 포털과의 연계 ... 246
  • 5. 생산·유통 정보시스템 구축조직 성과분석 ... 247
  • 가. 분석개요 ... 247
  • (1) 배경 및 목적 ... 247
  • (가) 조사 및 분석 방법 ... 247
  • (나) 주체별 현황자료, 설문조사,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 ... 247
  • 나. 분석결과 ... 248
  • (1) 정략적, 정성적 분석결과 ... 248
  • (가) (분석 프레임워크)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정량적 효과분석 ... 248
  • (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정량적 효과 분석결과 ... 249
  • (다)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정성적 효과 ... 249
  • (라)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성공요인 ... 250
  • (마)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의향 및 지불의사 ... 250
  • (바)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른 투자수익률 (ROI) ... 251
  • 제3절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채소류 수급예측시스템 구축 ... 253
  • 1. 빅데이터 ... 253
  • 가. 개요 ... 253
  • (1) 빅데이터의 정의 ... 253
  • (2) 빅데이터의 구성요소 ... 253
  • (3) 빅데이터의 파급효과 ... 254
  • (4) 빅데이터 현황 ... 254
  • (가) 빅데이터 시장 동향 ... 254
  • ① 2016년,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17% 전망 ... 254
  • ② 2020년, 글로벌 텍스트 분석 시장 65억 달러 예상 ... 255
  • ③ 빅데이터 활용 핵심 분야는 ‘고객 관리’ 분야 ... 256
  • (나) 빅데이터 기술 동향 ... 257
  • ① 빅데이터 처리 ... 257
  • ② 빅데이터 분석 기술력 격차 ... 258
  • (다) 빅데이터 활용 동향 ... 259
  • ① 공공부문 활용 동향 ... 259
  • ② 민간부문 활용 동향 ... 259
  • ③ 학계·연구계 활용 동향 ... 259
  • 나. 데이터 마이닝과 데이터 사이언스 ... 260
  • (1) 데이터 마이닝의 의미 ... 260
  • (2) 데이터 마이닝의 과정 ... 261
  • 2. 농산물 수급관련 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 263
  • 가. 관측정보 제공 사이트 현황 ... 264
  • (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현황 ... 264
  •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통계시스템(OASIS) ... 266
  • (3)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KAMIS ... 267
  • 나. 생산·유통 정보 사이트 현황 ... 268
  • (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KAMIS ... 268
  • (2)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도매시장통합홈페이지 ... 269
  • (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271
  • 다. 설문조사 결과 ... 273
  • (1)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 273
  • (2) 농업인 대상 설문조사 ... 274
  • (3)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 275
  • 3. 농산물 수급 관련 데이터 특성 및 활용방안 ... 276
  • 가. 농산물 관려 데이터 ... 278
  • (1) 농산물 유통 데이터 ... 278
  • (2) 농산물 소비 데이터 ... 279
  • (3) 농산물 생산 데이터 ... 280
  • 나.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데이터 확충 중장기 계획 ... 283
  • (1) GIS-공간정보 ... 284
  • (2) ICT융복합 ... 285
  • (3) 인공지능 ... 285
  • (4) 클라우드 소싱 ... 286
  • 다. 농업경영체DB를 활용한 농작물 재배면적 조사 정확도 제고방안 ... 287
  • (1) 통계청에서 수집되는 농업면적조사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87
  • (2) 농업경영체DB에 입력된 농작물 재배면적 현황 및 문제점 ... 287
  • (3) 농업경영체DB 정확도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및 GIS활용방안 ... 287
  • 라.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보급효과 및 운영방안 ... 289
  • (1)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289
  • (2)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수요자 별 정보제공 방안 ... 289
  • (3)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운영방안 ... 290
  • (4) 농산물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 보급 기대 효과 ... 290
  • 4. 수급예측시스템 개발 ... 292
  • 가. 수급관련 사이트 현황분석 및 전략 도출 ... 292
  • 나. 정량적 자료수집 및 분석 ... 296
  • (1) 자료수집 프레임워크 ... 296
  • (2) POS자료수집 분석을 통한 시스템 설계 ... 297
  • (가) 농협 하나로 유통 POS자료 수집 분석 ... 297
  • (나) 농협 하나로 유통 자료 분석 및 수급예측시스템 반영 설계 ... 298
  • ① 농협 하나로마트 POS - 이벤트 수집 ... 298
  • ② 농협 하나로마트 POS - 매장별 주간 판매 실적 자료 수집 ... 298
  • (다) 대한 상공회의소 김치류 POS자료 수집 분석 ... 299
  • (3) 농협계약재배 자료 수집 및 분석 ... 301
  • (4) 해외 동향 자료수집 ... 304
  • (5) 기타자료 수집 ... 307
  • (가) 기상정보 자료 연동 및 설계 (에피넷) ... 307
  • (나) 산지 생산유통정보시스템 연계 (이지팜) ... 307
  • (다) 비정형 데이터 연계 (더아이엠씨) ... 308
  • (라) 가격예측 알고리즘 연계 (서울대/충북대) ... 308
  • (마) 경매사 시황정보 정보수집 및 입력 ... 309
  • (바) Open-API를 이용한 자료 수집 ... 309
  • 다. 수급예측시스템 설계 ... 310
  • (1) 시스템 설계 ... 310
  • 라. 수급예측시스템 구축 ... 313
  • (1) 수급예측시스템 메뉴 구성 ... 313
  • (2) 수급예측시스템 접속방법 ... 313
  • (3) 수급예측시스템 메인화면 ... 314
  • (4) 수급예측시스템 메뉴 설명 ... 315
  • (가) 채소류 유통정보 ... 315
  • (나) 빅데이터 정보분석 ... 316
  • (다) 비정형 빅데이터 예측시스템 ... 317
  • (라) 생산동향 관리 ... 318
  • (마) 빅데이터 커뮤니티 ... 319
  • (바) 시스템 관리 ... 320
  • (사) 수급예측시스템 주요 기능 및 특징 ... 321
  • ① 빅데이터 실시간 정보수집 프레임워크 구현 ... 321
  • ② 맞춤정보 서비스 및 웹진을 통한 수급상황 공유 ... 321
  • ③ 모바일 앱 및 커뮤니티를 통한 수급상황 소통 ... 322
  • ④ 수요자 레벨 서비스와 데이터 갱신 관리의 편이성 제공 ... 323
  • ⑤ 인공신경망 결합개발 ... 323
  • (아) 수급예측시스템 데이터 검증 ... 324
  • (자) 수급예측시스템 확산 홍보를 위한 행사 참여 ... 326
  • 5. 농업기상정보 활용기술 개발 ... 327
  • 가. 농업기상정보 DB구축 ... 327
  • (1) 농업기상관측과 기상예보 ... 327
  • (가) 농업기상관측 ... 327
  • (나) 농업기상관측의 현황 ... 327
  • (다) 기상예보 ... 327
  • ① 동네예보 ... 327
  • ② 중기예보 ... 328
  • ③ 장기예보 ... 329
  • (라) 평년기후 ... 330
  • (2) 채소 주산지 농업기상관측자료 DB 구축 ... 331
  • (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기상관측정보서비스 연계 ... 331
  • ① 농업기상관측지점정보 입수 및 등록 ... 331
  • (나) 주산지 농업기상관측자료 DB 구축 ... 333
  • ① 지점별 농업기상정보 처리 및 저장 ... 333
  • ② 주산지(시군) 단위 농업기상관측자료 집계 ... 333
  • (다) 기상청 예보자료 연계 ... 334
  • (라) 주산지 기상예보 DB 구축 ... 334
  • (마) 기상청 전망자료 연계 ... 335
  • (바) 기상청 전망자료 DB 구축 ... 336
  • (3) 농업기상정보 활용을 위한 DB 설계 ... 336
  • 나. 농업기상정보를 활용한 채소류 기상위험 예측 ... 337
  • (1) 농업기상정보 활용정보 분류 ... 337
  • (가) 1차 정보(관측 및 예보자료) ... 337
  • (나) 2차 정보(기상기후지수) ... 338
  • (다) 3차 정보(작목 공통 기상위험) ... 339
  • (라) 4차 정보(작목별 생육시기별 영향을 미치는 기상위험) ... 339
  • (2) 채소류 기상위험 예측 기술 개발 ... 340
  • (가) 채소별 기상위험 기준 설정 ... 340
  • (나) 작목 공통 기상위험 생산 프로그램 ... 343
  • (다) 농업기상활용정보 생성을 위한 구동 시스템 구현 ... 348
  • (3) 농업기상활용 DB의 설계 ... 349
  • (4) 농업기상활용정보 제공 ... 359
  • (가) 정보 제공 시스템 ... 359
  • ① 관측자료 ... 359
  • ② 예보자료 ... 359
  • ③ 장기전망 ... 360
  • ④ 기상기후지수 ... 360
  • ⑤ 기상위험 ... 360
  • ⑥ 기상위험 GIS 분석 ... 360
  • 다. BIGFOS 시스템과의 통합 ... 361
  • 6. 정형데이터 활용 수급예측 모형 개발 ... 362
  • 가. 머신러닝을 이용한 수급예측 모형 ... 362
  • (1) 양파수급 예측을 위한 데이터 ... 362
  • (가) 도·소매시장 데이터 ... 362
  • ① 전국 양파 도·소매가격 추이 ... 362
  • ② 전국 양파 도·소매가격 및 단수 추이 ... 362
  • (나) 관측 데이터 ... 363
  • ① 양파 생산량 ... 363
  • ② 양파 재배량 ... 365
  • ③ 농가 총 소득 및 총 수입 ... 367
  • ④ 양파 생산량 및 농가소득 ... 368
  • ⑤ 양파 재배면적 및 농가경영비 ... 369
  • (다) 기상 데이터 ... 370
  • ① 평균기온 ... 370
  • ② 평균지면온도 ... 372
  • ③ 강수량 ... 374
  • ④ 일조량 ... 375
  • (라) 기타 자료 ... 377
  • ① 양파와 마늘 ... 377
  • ② 기타 대체 작물 ... 377
  • (2) 측정방법에 따른 수요예측 모형 분석 ... 378
  • (가) 시계열 모형 분석 ... 378
  • ① ARIMA 모형 ... 378
  • ② X-12 ARIMA 모형 ... 380
  • ③ ARDL(Autoregressive and Distributed lags) 모형 ... 381
  • (나) 인공신경망 분석 ... 389
  • ①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양파 단수 추정 ... 389
  • ② 전국 단수 추정 함수 ... 392
  • (다) 분석예측 모형의 비교 ... 393
  • ① 2015년산 양파 생산량 추정 ... 393
  • ② 양파 6월, 7월 도매시장 가격 분석결과 ... 394
  • ③ 양파 도매가격 12개월 표본외 예측결과 ... 394
  • ④ 배추 도매가격 12개월 표본외 예측결과 ... 398
  • 나. 계량경제 모형을 이용한 수급예측 모형 ... 401
  • (1) 모형 구축 ... 401
  • (가) 기상변인 빅데이터 ... 401
  • (나) 베이지언 구조 시계열 모형(Baysian Structual Time Serial Model; BSTS) ... 402
  • (다) 기상변인을 고려한 벡터 자기회귀 모형 (Vector Auto Regression Model: VAR) ... 404
  • (2) 분석자료 ... 406
  • (가) 품목별 가격 및 수량자료 ... 406
  • (나) 기상변인 자료 ... 407
  • (3) 양파 가격 예측 ... 411
  • (가) BSTS 모형을 활용한 양파 예측 가격 ... 411
  • (나) 기상변인 포함 VAR 모형을 활용한 양파 가격 예측 ... 415
  • (4) 배추 가격 예측 ... 417
  • 다. ARIMA 시계열 분석방법을 이용한 수급예측 모형 ... 419
  • (1) 농산물의 거래량을 이용한 가격 시계열 예측 분석 ... 419
  • (가) 농산물 거래량 및 빅데이터 ... 419
  • (나) ARIMA 방법을 이용한 단일농작물 예측 ... 422
  • (다) ARIMA 모델을 이용한 초기 가격예측분석 ... 430
  • (라) 초기 가격결정모델의 정확도 ... 434
  • (마) 통합 농작물 가격예측 시스템 구축 제안 ... 437
  • (2) 날씨데이터 반영 분석 ... 437
  • (가) 날씨데이터 반영 분석 ... 437
  • (나) 날씨데이터와 경매가 사이 상관분석 ... 442
  • (3) 연관 분류 기법을 이용한 양파 경매가격 예측 방법 ... 446
  • (가) 연관 분류 기법(Associative Classification) 적용 ... 446
  • (나) 연관 분류기법 적용을 위한 변수 설정 ... 447
  • (다) 연관 분류기법 적용 결과 ... 448
  • 7. 비정형데이터 활용 수급예측 모형 개발 ... 451
  • 가. 데이터 수집 및 정제 ... 451
  • (1) 데이터 개요 ... 451
  • (2) 데이터 수집 결과 ... 452
  • (가) 양파 ... 452
  • (나) 배추 ... 452
  • (다) 무 ... 453
  • (라) 고추 ... 453
  • (마) 마늘 ... 453
  • (3) 데이터 정제 ... 454
  • (가) 데이터 구분 ... 454
  • (나) 데이터 가정제 ... 454
  • (4) 단어 빈도 결과 ... 455
  • (가) 양파 ... 455
  • (나) 배추 ... 456
  • (다) 무 ... 457
  • (라) 고추 ... 458
  • (마) 마늘 ... 459
  • 나. 품목별 관심지수 산출 ... 460
  • (1) 빈도기반 핵심어 산출 ... 460
  • (가) 상위 빈도 핵심어 산출 ... 460
  • (나) 공출현 기반 핵심어 산출 ... 466
  • (다) CONCOR 분석 기반 핵심어 산출 ... 471
  • (2) 관심지수 산출 ... 481
  • (가) 핵심어 연결정도성 산출 ... 481
  • (나) 빈출단어 비정규성 기반 관심지수 산출 ... 481
  • (다) TF-IDF 기반 관심지수 산출 ... 481
  • 다. 품목별 관심지수의 적정성 검토 ... 481
  • (1) 품목별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1
  • (가) 양파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1
  • (나) 배추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3
  • (다) 무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4
  • (라) 고추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5
  • (마) 마늘 관심지수와 구매량 비교 ... 487
  • 라. 관심지수 표준화 ... 489
  • (1) 표준화 방법 ... 489
  • (2) 품목별 표준화 결과 ... 489
  • 마. 관심지수 고도화 및 활용 ... 491
  • (1) 관심지수 점검 ... 491
  • (2) 관심지수 고도화 ... 492
  • (가) 고추 관심지수 단어 리스트 ... 492
  • (나) 마늘 관심지수 단어 리스트 ... 492
  • (다) 무 관심지수 단어 리스트 ... 493
  • (라) 배추 관심지수 단어 리스트 ... 493
  • (마) 양파 관심지수 단어 리스트 ... 494
  • (3) 기존지수와 신규지수의 비교 ... 495
  • (4) 관심지수를 활용한 구매량 예측모형 비교 ... 495
  • (5) 관심지수를 활용한 소비량 추정 ... 496
  • 바. 비정형 농업기상요인 활용 가능성 검토 ... 498
  • (1) 농업기상요인 추출 ... 498
  • (가) 농업기상 데이터 ... 498
  • (나) 선행 기상키워드 추출 ... 499
  • (다) 전년대비 도매가격 변동성 추정 ... 501
  • (2) 도매가격 예측 모델링 ... 502
  • (가) 배추 선행 농업기상 선별 ... 502
  • (나) 배추 도매가격 예측 ... 502
  • (3) 단수 예측 모델링 ... 502
  • (가) 카인즈 농업기상 데이터 ... 502
  • (나) 마늘, 양파 단수 예측 ... 502
  • 사. 소비 트렌드 분석 ... 503
  • (1) 트렌드 분석 과정 ... 503
  • (가) 분석 방법 ... 503
  • (나) 분석 과정 ... 503
  • (2) 농식품 소비 트렌드 분석 ... 503
  • (가) 데이터 개요 ... 503
  • (나) 농식품 트렌드 분석 결과 ... 504
  • (3) 작목별 세부 소비 트렌드 분석 ... 505
  • (가) 데이터 개요 ... 505
  • (나) 연도별 세부 트렌드 분석 결과 ... 505
  • (다) 월별 세부 트렌드 분석 결과 ... 505
  • 아. 모형 구축 ... 507
  • (1) 베이지언 구조 시계열 모형(Bayesian Structural Time Series Model; BSTS) ... 507
  • (2) 벡터 자기회귀 모형(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 510
  • (3) 품목별 가격 및 수량자료 ... 512
  • (4) 기상변인 자료 ... 513
  • (5) 예측력 기준 ... 520
  • (6) 배추 가격 예측 ... 520
  • (7) 양파 가격 예측 ... 521
  • (8) 마늘 가격 예측 ... 522
  • (9) 무 가격 예측 ... 523
  • (10) 건고추 가격 예측 ... 524
  • (11) 결론 및 제언 ... 524
  • 8. 정형/비정형데이터 결합 수급예측 모형 개발 ... 526
  • 가. 5대 채소 예측 모형 설계 ... 526
  • (1) 기본 개요 ... 526
  • (가) 과업 목적 및 기대효과 ... 526
  • ① 5대 채소(양파, 배추, 무, 마늘, 건고추) 단수 추정모델 개발 ... 526
  • ② 5대 채소 월별 도매시장 가격예측 모델 개발 ... 526
  • (나) 인공신경망 ... 526
  • (다) 모델 개요 ... 528
  • (라) 활용 데이터 ... 529
  • (2) 단수예측모델 ... 529
  • (가) 모델 개요 ... 529
  • (나) 생육 시기 및 주산지 선정 ... 529
  • (3) 가격예측모델 ... 537
  • (가) 모델 개요 ... 537
  • (나) 예측변수 ... 537
  • (다) 가격예측모델 성능 결과 ... 538
  • 나. 요약/시사점 및 발전방향 ... 541
  • (1) 단수예측모델 ... 541
  • (가) 요약 ... 541
  • (나) 시사점 ... 541
  • (2) 가격예측모델 ... 541
  • (가) 요약 ... 541
  • (나) 시사점 ... 541
  • (3) 발전방향 ... 541
  • (가) 기상요인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작황예측 모델 개발 ... 541
  • (나) 산지 유통 조직 등 추가 데이터 확보 및 실시간 수집 체계 고도화 ... 541
  • (다)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 모델 고도화 ... 542
  • 제4절 채소류 저장 및 가공의 현장적용 기술 개발 ... 543
  • 1. 배추 현장 적용 기술 및 운영 매뉴얼 개발 ... 543
  • 가. 배추 저장기술의 현황과 현장 적용성 검토 ... 543
  • (1) 배추 현장 저장시설 및 저장기술 조사 ... 543
  • (2) 배추 저장기술 선행연구 조사 ... 544
  • 나. 배추 저장요건별 저장기술 고도화를 위한 기술 개발 ... 545
  • (1) 현장 저장시설을 이용한 실증실험 (1~2차년도) ... 545
  • (가) 1차, 2차, 3차 실증실험 개요 ... 546
  • (나) 배추 저장 중 품질특성 분석 방법 ... 547
  • (다) 연구결과 ... 547
  • ① 저장고의 온·습도 변화 ... 547
  • ② 저장 전처리에 따른 품온 강하 및 외피 수분 제거 ... 548
  • ③ 봄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1차 실험 ... 548
  • ④ 봄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2차 실험 ... 553
  • ⑤ 봄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3차 실험 ... 556
  • (2) 현장 저장시설을 이용한 실증실험(2~3차년도) ... 557
  • (가) 1, 2, 3차 실증실험 실험개요 ... 557
  • (나) 배추 저장 중 품질특성 분석 방법 ... 560
  • (다) 연구결과 ... 560
  • ① 저장고의 온·습도 변화 ... 560
  • ② 필름처리별 온·습도 변화 ... 561
  • ③ 저장 전처리에 따른 품온 강하 ... 561
  • ④ 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1차 실험 ... 562
  • ⑤ 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2차 실험 ... 566
  • ⑥ 배추의 저장 중 품질변화 3차 실험(2017년 2월 7일 수확 월동배추) ... 571
  • (3) 저장시설의 냉각방식에 따른 저장성 연구 ... 573
  • (가) 재료 및 방법 ... 573
  • (나) 연구결과 ... 573
  • 다. 배추 저장시설의 시설설계, 운영매뉴얼 제작 ... 575
  • 라. 과잉 출하배추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가공제품 개발(즉석 동결배추국) ... 578
  • (1) 동결배추국 제조를 위한 적정 블랜칭 처리 조건 설정 ... 578
  • (가) 재료 및 방법 ... 578
  • ① 재료 ... 578
  • ② 시료의 전처리 및 동결 배추 제조 ... 578
  • ③ 색도 ... 578
  • ④ 경도 ... 578
  • ⑤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 측정 ... 578
  • ⑥ 관능검사 ... 578
  • ⑦ 통계처리 ... 579
  • (나) 결과 및 고찰 ... 579
  • ① 색도 ... 579
  • ② 경도 ... 580
  • ③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 측정 ... 581
  • ④ 관능검사 ... 582
  • (2) 봄배추를 활용한 가공제품의 개발 ... 583
  • (가) 재료 및 방법 ... 583
  • (나) 연구결과 및 고찰 ... 585
  • (3) 급속동결가공저장 시설 설계 및 시공 기준 개발 ... 587
  • (가) 급속동결가공저장 시설 표준설계도(안) 작성 ... 587
  • (나) 제조 공정 :처리용량 5톤/일(8시간기준) 제품기준 ... 590
  • 마. 융합ICT 융합 배추 저장시설의 스마트 저장환경 관리 기술 개발 ... 591
  • (1) 스마트 저장고 관리를 위한 센싱 및 네트워크 기반 기술 개발 ... 591
  • (2) 모바일 저장고 관리 시스템 개발 ... 592
  • 바. 배추의 효율적인 저장을 위한 정부 정책 연계 방안 제시 ... 593
  • (1) 예냉 및 저장시설의 현대화 ... 593
  • (2) 수확전 관리 시설 지원 필요 ... 593
  • (3) 장기적인 후속 연구 촉진으로 배추 생산과 저장에 대한 Big-data 구축 필요 ... 593
  • (4) IoT를 이용한 실시간 배추 수급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 593
  • (5) 정부정책 지원 제안 ... 593
  • 2. 배추 생산관리, 품종 및 배추 저장환경별 저장성 개선과 병해방지 기술 개발 ... 594
  • 가. 배추의 재배환경에 따른 생육 및 병해충 발생 조사 ... 594
  • 나. 배추의 저장 요건별 저장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기술 개발 ... 595
  • (1) 수확후처리(현장 적용)에 따른 저장성 평가 ... 595
  • (2) 연구결과 ... 595
  • 다. 저장 병해 방지를 위한 수확전후 처리 기술 개발 ... 596
  • (1) 질소시비량에 따른 배추 2품종의 상품성 비교 ... 596
  • (2) 연구결과 ... 597
  • 3. 저장배추의 김치 가공적성 및 저장성 연구 ... 605
  • 가. 봄배추의 수확시기가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605
  • (1) 연구내용 및 방법 ... 605
  • (2) 결과 및 고찰 ... 605
  • (가) 품질특성 ... 605
  • (나) 관능평가 ... 607
  • 나. 저장조건을 달리한 봄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숙성 중 품질 변화 ... 608
  • (1) 연구내용 및 방법 ... 608
  • (2) 결과 및 고찰 ... 608
  • (가) 품질특성 ... 608
  • (나) 관능평가 ... 611
  • 다. 봄배추의 전처리 및 저장조건이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613
  • (1) 연구내용 및 방법 ... 613
  • (2) 결과 및 고찰 ... 613
  • (가) 품질특성 ... 613
  • (나) 관능평가 ... 615
  • 라. 저장조건 및 저장기간에 따른 봄배추 김치의 품질특성 ... 616
  • (1) 연구내용 및 방법 ... 616
  • (2) 결과 및 고찰 ... 616
  • (가) 품질특성 ... 616
  • (나) 관능평가 ... 619
  • 4. 배추 저장기술별 경제성 분석 ... 621
  • 가. 배추 저장방법별 경제성 비교의 필요성 ... 621
  • 나. 배추저장 업체의 이윤최대화 모형 ... 623
  • (1) 모형의 수립 ... 623
  • (2) 비용추정 ... 627
  • (가) 대관령 원예농업협동조합 저장시설 개요 ... 627
  • (나) 저장시설 관련비용 ... 627
  • ① 운영노무비 ... 627
  • ② 시설운영비 ... 628
  • ③ 전력요금 ... 628
  • (다) 저장배추 출하가격 ... 628
  • (라) 농촌노임 ... 630
  • (마) 저장단계별 비용 ... 630
  • ① 저장전단계 처리비용 ... 630
  • ② 저장단계 ... 633
  • 다. 경제성분석 결과 ... 635
  • (1) 저장방법별 시나리오 ... 635
  • (2) 분석결과 ... 636
  • (가) 12주 저장-다기간 출하 모형 ... 636
  • ① ’12년~’16년 5개년 평균가격 기준 ... 636
  • ② ’16년 가격 기준 ... 639
  • ③ ’15년 가격 기준 ... 641
  • (나) 저장후 일괄 출하 모형 ... 644
  • ① 12주 저장 일괄 출하모형 ... 644
  • ② 8주 및 4주 저장 일괄 출하모형 ... 645
  • 5. 배추 저장 및 저장김치(묵은지)의 경제성 분석 ... 647
  • 가. 묵은지 소비실태 조사 분석 ... 647
  • (1) 소비자 및 외식업체 설문 조사개요 ... 647
  • (2)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 650
  • (가) 김치 소비 현황 ... 650
  • (나) 묵은지 소비 현황 ... 654
  • (다) 외식 묵은지 소비 현황 ... 661
  • (3) 외식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 663
  • (가) 김치 소비 현황 ... 663
  • (나) 묵은지 소비 현황 ... 668
  • 나. 묵은지 경제성 분석 ... 671
  • (1) 김치 및 묵은지 시장 소비 규모 추산 ... 671
  • (가) 2014년 가구단위 김치 및 묵은지 소비 규모 추정 ... 671
  • (나) 2014년 가구에서 소비하는 시판 묵은지 소비 규모 추정 ... 675
  • (다) 2014년 외식업체단위 김치 및 묵은지 소비 규모 추정 ... 676
  • (2) 배추 산지폐기비용과 비교한 경제성 평가 ... 678
  • (가) 배추 산지폐기 비용 추정 ... 678
  • (나) 묵은지 저장비용 추정 ... 679
  • (다) 묵은지 저장사업의 경제성 평가 ... 685
  • 제5절 채소류 산업분석 및 생산자 조직화 ... 688
  • 1. 배추 자원화 사업의 경제성 평가와 시사점 ... 688
  • 가. 서론 ... 688
  • (1) 배경 및 필요성 ... 688
  • 나. 배추 사료화 사업의 경제성 ... 690
  • (1) 배추 사료화사업의 이해 ... 690
  • (가) 개요 ... 690
  • (나) 배추 사료화 사업의 전제조건 ... 691
  • (다) 사료화 사업규모 ... 692
  • (2) 경제성 분석 대상 및 방법 ... 692
  • (가) 분석 대상 ... 692
  • (나) 분석 방법 ... 692
  • (3) 배합사료 미래시장 규모 ... 693
  • (4) 시나리오 설정 ... 693
  • (5) 편익(Benefit) 추정 ... 694
  • (가) 편익산정을 위한 배추사료 물량과 가격 ... 694
  • (나) 시장격리 배추 10만톤 물량의 사료화 편익 ... 694
  • (다) 시장격리 배추 10만톤과 배추 폐기물 5만톤의 사료화 편익 ... 694
  • (라) 시장격리 10만톤과 배추 폐기물 10만톤의 편익 ... 694
  • (6) 비용(Cost) 추정 ... 695
  • (가) 시장격리 10만톤 물량의 사료화 비용 ... 695
  • (나) 시장격리 10만톤과 배추폐기물 5만톤의 사료화 비용 ... 696
  • (다) 시장격리 10만톤과 배추폐기물 10만톤의 사료화 비용 ... 696
  • (7) 경제성 평가 ... 696
  • (가) 편익/비용비율(BC ratio) ... 696
  • (나)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 697
  • (8) 민감도 분석 ... 698
  • (가) 배추 사료가격 상승 ... 698
  • (나) 시설투자비용을 정부가 지원 ... 698
  • (다) 사료가격 상승과 시설투자비용 정부 지원 ... 698
  • 다. 시사점 ... 699
  • 2. 주요 채소류의 적정재배면적 추정 ... 701
  • 가. 서 론 ... 701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701
  • (2) 연구내용 및 방법 ... 702
  • (가) 연구내용 ... 703
  • (나) 연구방법 ... 703
  • (3)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방안 ... 703
  • (4) 선행연구 검토 ... 703
  • 나. 주요 채소류 수급동향과 시사점 ... 705
  • (1) 주요 채소류 공급 및 수요 ... 705
  • (가) 배추 수급동향 ... 705
  • ① 배추 생산 ... 705
  • ② 배추 공급 ... 705
  • ③ 배추가격 및 1인당 수요 ... 706
  • (나) 무 수급동향 ... 707
  • ① 무 생산 ... 707
  • ② 무 공급 ... 708
  • ③ 무 가격 및 1인당 수요 ... 708
  • (다) 건고추, 마늘, 양파 수급동향 ... 709
  • ① 생산 ... 709
  • ② 공급 ... 709
  • ③ 건고추, 마늘, 양파 가격 및 1인당 수요 ... 710
  • (2) 시사점 ... 711
  • 다. 채소류 적정 재배면적 모형과 실증분석 ... 712
  • (1) 적정 재배면적(생산량)의 개념과 의의 ... 712
  • (가) 적정 재배면적에 대한 논의 ... 712
  • ① 적정 재배면적은 적정의 개념을 어떤식으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 712
  • (나) 적정 재배면적의 개념과 의의 ... 713
  • ① 농업이익을 고려한 시장균형 수준의 적정 재배면적 ... 713
  • (2) 주요 채소류 적정 재배면적 모형 ... 714
  • (가) 모형의 기본가정 ... 714
  • (나) 모형의 구조 ... 714
  • ① 목적함수 ... 714
  • ② 제약조건 ... 715
  • (3) 실증분석 ... 716
  • (가) 실증분석 대상품목 ... 716
  • (나) 분석 자료(data) ... 716
  • (다) 분석 결과 ... 717
  • (라) 시나리오 ... 717
  • (마)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 718
  • ① 일정면적 유지 ... 718
  • ② 단수 5% 증가 ... 718
  • ③ 수요량 2% 증가 ... 718
  • (바) 분석결과 종합 ... 718
  • 라. 정책적 시사점 ... 720
  • 3. 채소류 수급안정을 위한 생산자 조직화 전략 ... 722
  • 가. 현행 채소류 조직의 문제점 분석 및 조직화 개념 정립 ... 722
  • (1) 채소류 생산자조직의 조직화 원리 및 문제점 분석 ... 722
  • (가) 생산자 조직화 현황 : 계약재배 ... 722
  • (나) 생산자 조직화 현황 : 수급안정사업 ... 722
  • (다) 생산자 조직화 현황 : 채소류 공동계산 실적 ... 723
  • (라) 품목별 생산자조직 특징 ... 723
  • (마) 생산자 조직화 문제점 및 한계 ... 724
  • (바) 생산자 조직화 원리 ... 725
  • (사) 생산자 조직화 원리 : 공동계산제 ... 725
  • (아) 생산자 조직화 원리 : 계약재배 ... 726
  • (2) 국내외 산지조직화 우수 사례 정리 ... 728
  • (가) 생산자조직화 사례 분석(국내) ... 728
  • ① 대관령원예농협 고랭지배추 ... 728
  • ② 강릉농협 고랭지배추 ... 728
  • ③ 선진농협 겨울배추 ... 729
  • (나) 해남군연합사업단 배추 ... 729
  • (다) 변산농협 양파 ... 729
  • (라) 전남서남부채소농협 양파 ... 730
  • (마) 소결 ... 730
  • (3) 해외의 생산자조직화 및 수급정책 사례 ... 731
  • (가) 선키스트 ... 731
  • (나) 코엑스팔(COEXPHAL) ... 731
  • (다) 세라펠(CERAFEL) ... 732
  • (라) 멜린다협동조합연합회 ... 732
  • (마) 미국 정책사례(2014년 농업법(Farm Bill. ’14~18) 내용) ... 733
  • (바) 일본 정책사례 ... 734
  • (사) EU 정책사례(생산자조직(POs)육성 정책) ... 734
  • (아) 소결 ... 735
  • (4) 생산자 조직화 Needs 분석 ... 736
  • (가) 현장 애로사항 및 조직화 수요 ... 736
  • (나) 유통주체의 조직화 유인 구조 ... 736
  • 나. 채소류 생산자 조직화 모델 개발 ... 737
  • (1) 생산자조직화 방안 ... 737
  • (가) 기본 방향 ... 737
  • (2) 품목별 생산자조직화 모델 ... 738
  • (가) 배추 ... 738
  • (나) 양파 ... 739
  • (3) 마케팅보드 구축 방안 ... 740
  • (가) 광역 마케팅보드 사례 : 강원도 ... 740
  • (나) 산지유통인의 수급사업 참여의향 ... 743
  • (다) 품목별 마케팅보드 육성 방안 : 기본방향 ... 744
  • (라) 품목별 마케팅보드 육성 방안 : 수급품목 연합조직 육성 ... 744
  • (마) 품목별 마케팅보드 육성 방안 : 산지유통인 제도화 방안 ... 745
  • 다. 생산자조직화와 정책 연계 방안 제시 ... 746
  • (1) 사업자 인센티브 확대 ... 746
  • (가) 기본방향 : 사업자에 대한 농가조직화 및 사업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구조 마련 ... 746
  • (2) 정책간 연계 강화 ... 746
  • (가) 과제1 : 산지유통활성화사업,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사업과의 연계 강화 ... 746
  • (나) 과제2 : 수급품목에 대한 (지역)자조금 도입 및 내실화 계획 수립 ... 747
  • (3) 도매시장 가격 신뢰성 강화 ... 747
  • (가) 기본방향 : 도매시장 대표가격 산출기준 명확화 및 신뢰성 강화 ... 747
  • (4) 생산자조직의 정보화를 위한 수급정보 확보 방안 ... 748
  • (가) 도매시장 정보체계 및 문제점 ... 748
  • ① 정보의 수집 및 활용 체계의 이원화 ... 748
  • ② 정보생산 단계 ... 748
  • ③ 정보수집 단계 ... 749
  • (나) 정보관리 일원화 체계 구축 ... 749
  • 4. 품목조직의 수급조절 기능강화 방안 ... 751
  • 가. 연구 개요 ... 751
  • (1) 연구의 배경 ... 751
  • (2) 품목조직의 정의 ... 751
  • (3) 선행연구 검토 ... 754
  • 나. 품목조직화 추진 현황 ... 755
  • (1) 추진 경과 ... 755
  • (2) 세부 사업 현황 ... 758
  • (가) 품목별 전국협의회 ... 758
  • (나) 품목대표조직 ... 758
  • (다) 과수산업발전계획 ... 760
  • (라) 자조금 ... 761
  • 다. 품목조직의 수급조절을 위한 법적 근거 ... 761
  • 라. 품목조직의 수급조절 사례 ... 764
  • (1) 연합조직의 사례 ... 764
  • (2) 개별조직의 사례 ... 765
  • (3) 공적기관의 사례 ... 765
  • 마. 품목조직의 수급조절 장애요인 ... 766
  • (1) 생산조정에 대한 법적 제동 ... 766
  • (2) 장기 수급조절의 어려움(UPGI 사례) ... 767
  • 바. 품목조직의 수급조절 기능 강화 방안 ... 769
  • (1) 품목조직의 수급조절 기능 강화 방안 ... 769
  • (2) 정책 제언 ... 770
  • 5. 산지조직화 결정 요인 분석 ... 772
  • 가. 산지조직화의 개념과 효과 ... 772
  • (1) 산지조직화 정의 ... 772
  • (가) 산지의 개념 ... 772
  • 나. 조직화의 개념 및 정책 변화 ... 773
  • 다. 농업경영체 조직화에 따른 판매 양태 ... 775
  • 라. 농업경영체의 판매 조직(산지유통조직)의 현황 ... 777
  • (1) 농업경영체의 판매조직(산지조직화) 결성 동기 및 경제적 효과 ... 779
  • (가) 판매조직의 결성 동기에 관한 이론적 검토 ... 779
  • (나) 산지조직화의 경제적 효과: 판매조직을 중심으로 ... 780
  • (2) 농산물 판매조직화 수준 결정 요인 ... 782
  • (가) 선행연구 검토 ... 782
  • (나) 분석 조사 결과 ... 786
  • ① 조사 지역 ... 786
  • ② 성별과 결혼 여부 ... 786
  • ③ 연령과 영농경력 ... 786
  • ④ 농지 위치 및 농업소득 ... 787
  • ⑤ 농가 부채(負債) 현황 ... 787
  • ⑥ 조사 농가의 학력 및 영농 교육 횟수 분포 ... 787
  • ⑦ 농사에 종사하는 가족 수 ... 788
  • ⑧ 농가 조직 참여 여부 ... 788
  • ⑨ 농가조직에 참여 하는 이유 / 참여 하지 않는 이유 ... 789
  • ⑩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의 만족 여부 ... 791
  • ⑪ 향후 이웃농가들 간의 새로운 판매조직 참여 의향 및 적절한 구성원 ... 792
  • (다) Heckman Probit 모형을 이용한 공동판매조직 가입 후 매출액 증가 및 조직 만족도 결정 요인 분석 ... 793
  • ① 연구 방법 ... 793
  • ② 분석 결과 ... 796
  • (라) 더블허들 모형을 이용한 농가 조직의 공동 판매비율 결정요인 분석 ... 797
  • ① 연구 방법 ... 797
  • ② 분석 결과 ... 799
  • 6. 협동조합 판매사업 참여 결정요인 분석 ... 801
  • 가. 협동조합의 정의 ... 801
  • (1) 협동조합의 개념 ... 801
  • (가) 협동조합의 정의와 특징 ... 801
  • (나) 협동조합의 역할 ... 802
  • (2) 한국 농업협동조합의 특징 ... 803
  • 나. 농업협동조합의 조직화 동기 ... 803
  • (1) 농업협동조합의 결성 동기에 관한 이론적 검토 ... 803
  • (가) 농업협동조합의 결성동기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제 ... 803
  • (나) 산지 및 협동조합 조직화 관련 국내 선행연구 검토 ... 806
  • (다) 산지 및 협동조합 조직화 관련 외국의 조직관련 선행연구 검토 ... 808
  • (라) 본 연구의 차별성(협동조합의 조직화 실증분석) ... 810
  • 다. 조직화 결정요인 실증분석 ... 810
  • (1) 농업협동조합 조직화 결정요인 분석 ... 810
  • (가) 선행연구검토 ... 810
  • (나) 연구방법 ... 812
  • (2) 자료 및 실증분석 ... 813
  • (가) 자료 및 변수 측정 ... 813
  • (나) 가설설정 ... 814
  • (다) 상관관계 분석 ... 814
  • (라) 회귀분석 결과 ... 815
  • 라. 요약 및 결론 ... 816
  • (1) 연구결과 요약 ... 816
  • (2) 추후연구과제 ... 817
  • 7. 월동무배추 수급안정을 위한 조직화 방안 ... 818
  • 가. 연구 목적 ... 818
  • (1) 무배추 수급안정을 주도하는 유통조직모델 개발 ... 818
  • (2) 지속 가능한 무배추산업 발전 ... 818
  • (3) 소비자 생필품으로서 무배추의 가격안정을 위한 수급구조 운영 ... 818
  • 나. 월동무배추 산업 동향 ... 818
  • (1) 월동배추 산업동향 ... 818
  • (가) 생산동향 ... 818
  • (나) 월동배추 유통동향 ... 819
  • (다) 월동배추 소비동향 ... 821
  • (2) 월동무 산업동향 ... 822
  • (가) 월동무 생산동향 ... 822
  • (나) 월동무 유통동향 ... 823
  • (다) 월동무 소비동향 ... 824
  • (3) 무배추 산업동향 시사점과 연구필요성 ... 824
  • 다.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825
  • (1) 선행연구 현황 ... 825
  • (가) 황의식 외(2008) - 농업부문 조직화 실태와 활성화 방안 ... 825
  • (나) 전창곤 외(2011) - 농협의 노지채소 계약재배 실태화 확대방안 ... 825
  • (다) 김동환 외(2014) - 농산물 유통 및 수급정책 혁신방안 ... 825
  • (라) 본연구와 관계성(본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시사점) ... 826
  • ① 황의식 외(2008) 연구 시사점 ... 826
  • ② 전창곤 외(2011) 연구 시사점 ... 826
  • ③ 김동환 외(2014) 연구 시사점 ... 826
  • (마) 본연구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826
  • 라.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826
  • (1) 연구방법 ... 826
  • (가) 문헌조사 ... 826
  • (나) 주산지 현장조사 ... 826
  • (다) 연구초안 현장토론회 ... 827
  • (라) 실증적 연구결과물 완성노력 ... 827
  • (2) 연구내용 ... 827
  • (가) 수급안정 및 조직화 개념화 ... 827
  • ① 수급안정 과제와 조직화 연구방향 ... 827
  • ② 수급안정개념화 ... 828
  • ③ 조직화 형태개념화 ... 829
  • (나) 월동배추 조직화 방안 ... 831
  • ① 수급안정조직화 조건 관점 월동배추조직의 문제제기 ... 831
  • ② 월동배추 수급안정 조직 결성 ... 833
  • (다) 광역법인조직 사업 ... 834
  • ① 광역법인 조직 기본구조 ... 834
  • ② 광역법인 세부사업 ... 834
  • ③ 광역법인 전체 사업활동 가치사슬 요약 ... 838
  • (라) 광역법인 역량강화 대책 ... 838
  • ① 규모화 확대 대책 ... 838
  • ② 조직통제력 강화 대책 ... 839
  • (마) 월동무 조직화 방안 ... 840
  • ① 수급안정조직화 조건 관점 월동무조직의 문제제기 ... 840
  • ② 월동무 수급안정 조직 결성 ... 843
  • ③ 월동무사업단 사업내용 ... 844
  • ④ 월동무사업단 수급안정역량강화 대책 ... 846
  • (3) 현장의견 조사 결과 ... 846
  • (가) 현장의견 조사 개요 ... 846
  • (나) 연구자 의견 ... 847
  • ① 수급안정 가능 조직화 형태 ... 847
  • ② 광역법인(유통조직) 가능성 ... 847
  • ③ 광역법인 경영 ... 847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 849
  • 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 854
  • 제1절 연구개발 성과 ... 854
  • 1. 연구성과 총괄 ... 854
  • 가. 사업단 연구성과 목표 대비 실적 ... 854
  • 나. 사업단 주요 연구 성과 ... 854
  • 2. 산지유통조직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개발 ... 854
  • 가. 산지조직 모바일 지원시스템 개발 ... 854
  • (1) 산지 포전에서 농가와 계약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계약시스템 개발 ... 854
  • (2) 계약재배 포전의 모바일 작황조사시스템 개발 ... 854
  • 나. 빅데이터 포털(BIGFOS)과 연계 정보시스템 구축 ... 855
  • 다. 생산유통정보시스템과 연계한 전국 물동량 예측모델 개발 ... 855
  • (1)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및 도매시장 데이터 연계 시장 물동량 예측모델 마련 ... 855
  • 라.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도입 성과분석 ... 855
  • 3. 빅데이터 기반 채소류 수급예측시스템 구축 ... 855
  • 가. 정량적 성과 ... 855
  • (1) 5대 채소류 빅데이터 수급예측시스템(BIGFOS) 개발 ... 855
  • (가) 공공데이터 통합 시스템 인프라 구축 ... 855
  • (나) 민간기관의 정보자원을 활용한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 ... 856
  • 나. 정성적 성과 ... 856
  • (1) 농업기상정보 활용기술 개발 ... 856
  • (2) 비정형지수 개발 ... 856
  • 4. 채소류 저장 및 가공 기술 개발 ... 857
  • 가. 세부 프로젝트별 성과 ... 857
  • 나. 세부 프로젝트별 연구 목표 대비 성과 ... 857
  • 제2절 연구성과 활용 계획 ... 858
  • 1. 산지유통조직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 858
  • 가. 대상조직별 시스템 구축 내용 ... 858
  • 나. 현장 적용 및 활용 ... 858
  • (1) 대시보드 홈페이지 운영 ... 858
  • (2) 조직별 품목 입‧출 저장 데이터 – 신미네 사례 ... 859
  • (3) 연합 생산유통정보시스템 - 작황데이터를 사용하여 출하시기 및 출하물량 파악 ... 859
  • (4) 작황조사 결과 활용 실제 ... 860
  • 다. 한계 및 대응방향 ... 864
  • (1) 구축조직별 시스템 활용도 차이 ... 864
  • (2) 농협 경제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동문제 ... 864
  • (3) 생산·유통정보시스템과 부분적인 정보연계 운영 필요 ... 866
  • (4) 정책배려. 농림사업과 연계 추진 필요 ... 866
  • (5) 정책지원사업과 연동한 SW 구축사업 매우 절실 ... 866
  • (6) 통합마케팅 조직, 수급대응조직과의 연동 ... 866
  • (가) 통합마케팅 조직 및 수급조직과 연동하여 사업추진 ... 866
  • (나) 조직, 시스템별 역할관계 설정을 통한 수급대응 필요 ... 866
  • (7) 실데이터 구축시 지자체와 수급조직의 협업 및 예산 확보 필요 ... 867
  • (가) 시도, 시도단위 재배의향조사 별개 추진 중 ... 867
  • (나) 조사 시 지자체와 산지유통조직, 통합마케팅 조직과 역할분담 필요 ... 867
  • (8) 지속적인 시스템 사용을 위한 예산 유지보수 지원 문제 ... 867
  • 2.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수급예측시스템 개발 ... 868
  • 가. 지적재산권 활용계획 ... 868
  • 나. BIGFOS 활용계획 ... 869
  • (1) 수급정보 활용도 극대화 ... 869
  • (2) 예측 정확도 증가 ... 869
  • (3) 정보 이용시간 단축 ... 869
  • 3. 채소류 저장 및 가공의 현장 적용기술 개발 ... 870
  • 4. 채소류 산업분석 및 생산자 조직화 ... 870
  • 5. 연구 성과 활용계획 요약 ... 871
  • 가. 연구 성과의 정책적 중요도 ... 871
  • 나. 연구성과 활용을 위한 정책사업과의 연계 ... 871
  • 다. 개발된 모델의 정책연계 향후 계획 ... 872
  • 라. 연구성과 단기 활용 계획 ... 873
  • (1) 산지유통조직의 생산유통정보시스템 보급 확산 ... 873
  • (2) BIGFOS 시스템의 수급조절위원회 이관 및 고도화 ... 873
  • (3) 배추 저장연장 기술 매뉴얼 보급 및 지도 ... 873
  • (4) 월동무·배추 광역 조직화 시범사업 ... 873
  • 제6장 참고문헌 ... 874
  • 제7장 부록 ... 890
  • 제1절 연구진 ... 890
  • 1. 총괄과제 ... 890
  • 2. 실증1과제 ... 890
  • 3. 실증2과제 ... 890
  • 4. 실증3과제 ... 891
  • 5. 실증4과제 ... 891
  • 제2절 연구성과 ... 893
  • 1. 총괄과제 ... 893
  • 가. 연구개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893
  • 나. 논문게재 및 학술회의 발표 ... 893
  • (1) 논문게재 ... 893
  • (2)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 893
  • (3) 정책활용 내역 ... 894
  • 다. 홍보/전시 ... 895
  • (1) 홍보실적 ... 895
  • (2) 전시회 등 참여 ... 896
  • (3) 기타 활용 및 홍보실적 ... 897
  • 2. 실증1과제 ... 898
  • 가. 연구개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898
  • 나. 지식재산권 ... 898
  • 다. 논문게재 및 학술회의 발표 ... 898
  • (1) 논문게재 ... 898
  • (2)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 899
  • (3) 교육 및 지도활용 내역 ... 899
  • 3. 실증2과제 ... 900
  • 가. 연구개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900
  • 나. 지식재산권 ... 900
  • 다. 논문게재 및 학술회의 발표 ... 900
  • (1) 논문게재 ... 900
  • (2)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 901
  • 라. 기술거래 및 기술료 ... 901
  • 마. 교육 및 지도활용 내역 ... 902
  • 바. 홍보/전시 ... 902
  • (1) 전시회 등 참여 ... 902
  • (2) 기타 활용 및 홍보실적 ... 902
  • 4. 실증3과제 ... 903
  • 가. 연구개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903
  • 나. 논문게재 및 학술회의 발표 ... 903
  • (1) 논문게재 ... 903
  • (2)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 904
  • 다. 기술거래 및 기술료 ... 905
  • 라. 교육 및 지도활용 내역 ... 905
  • 마. 인력활용/양성 ... 905
  • 바. 홍보/전시 ... 905
  • (1) 홍보실적 ... 905
  • (2) 기타 활용 및 홍보실적 ... 906
  • 사. 기타 ... 906
  • (1) 포상 및 수상 실적 ... 906
  • 5. 실증4과제 ... 907
  • 가. 연구개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907
  • 나. 논문게재 및 학술회의 발표 ... 907
  • (1) 논문게재 ... 907
  • (2) 국내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 907
  • 끝페이지 ... 908

표/그림 (30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