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한 정책 개선과 발굴

Improvement and discovery of policy through utilization of Gender Big data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문유경
참여연구자 전기택 , 배호중 , 김근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800022445
과제고유번호 1105012749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8-06-16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2445

초록

Ⅰ. 서론
1. 연구목적
□ 빅데이터에 대한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여성정책과 관련하여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음. 여성정책의 수립과 시행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은 새로운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 현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빅데이터를 국민여론 수렴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함.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기술 기반 지능형 정부, 금융산업에서 빅데이터 핀테크 등 혁신적 금융서비스의 개발 등 효율적인 정책수행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

Abstract

Policies regarding big data are in full swing. However, the full discussion on how it could be utilized from the female policy point of view could not be carried out.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women's policies is expected to have new consequence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8
  • 목차 ... 36
  • 표목차 ... 40
  • 그림목차 ... 42
  • Ⅰ. 서 론 ... 46
  • 1. 연구필요성과 목적 ... 48
  • 2. 연구내용 및 방법 ... 50
  • 가. 연구내용 ... 50
  • 나. 연구방법 ... 53
  • Ⅱ.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연구 배경 ... 58
  • 1.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개념과 범주 ... 60
  • 2. 한국의 빅데이터 정책과 여성정책 관련성 ... 64
  • 가.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내 빅데이터 활용 계획 ... 64
  • 나. 주요부처의 빅데이터 활용 계획 ... 66
  • 다. 빅데이터 정책의 여성가족 관련성 ... 74
  • 3.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사례 ... 75
  • 가. 국제 오픈 데이터 로드맵의 제2차 국제협력 실천 계획 ... 75
  • 나. 빅데이터 활용에서의 잠재적 차별 행위 예방 ... 76
  • 다. 빅데이터 가이드라인 ... 77
  • 라. 여성 건강 관련 빅데이터 분석 사례 ... 78
  • 마. 여성 빅데이터 인재 포럼 ... 82
  • Ⅲ. 여성가족 정책 공공데이터의 활용가능성과 시범분석 ... 84
  • 1. 연구배경 및 목적 ... 86
  • 2. 여성가족 공공데이터 현황분석 ... 87
  • 가. 여성가족부 조사통계 현황 ... 87
  • 나. 여성가족부 정보시스템 및 행정통계 현황 ... 88
  • 3. 여성가족 공공데이터의 빅데이터 활용 가능성 분석 ... 94
  • 가. 빅데이터 활용 주제도출을 위한 여성가족 정책 이슈 ... 94
  • 나. 여성 안전 빅데이터 활용방안 분석 ... 96
  • 다. 경력단절여성 빅데이터 활용방안 ... 101
  • 라. 아이돌봄 빅데이터 활용방안 ... 106
  • 4. 여성가족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시범 분석: 보육 및 돌봄 수요 및 공급분석 ... 111
  • Ⅳ. 데이터 사이언스를 활용한 출산정책 관련 여론 분석 ... 118
  • 1. 연구배경 및 목적 ... 120
  • 가. 연구필요성과 목적 ... 120
  • 나. 연구내용 및 방법 ... 121
  • 2.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 129
  • 가. 온라인 데이터 수집 결과 ... 129
  • 나. 전체 의미망 분석 ... 133
  • 다. 어린이집 관련 상세 의미망 분석 ... 136
  • 라. 출산 관련 상세 의미망 분석 ... 139
  • 마. 정책 관련 상세 의미망 분석 ... 141
  • 3. 정책당사자 FGI분석 ... 143
  • 가. 전업맘 인터뷰 결과 ... 143
  • 나. 워킹맘 인터뷰 결과 ... 145
  • 다. 예비맘 인터뷰 결과 ... 147
  • 라. 대디 및 딩크족 인터뷰 결과 ... 150
  • 4. 19대 대통령선거 주요 후보 공약 분석 ... 151
  • 가. 주요 후보자 공약집 텍스트 분석 ... 151
  • 나. 주요 정책 비교 ... 152
  • 5. 소결 ... 155
  • 가. 종합분석 ... 155
  • 나. 정책제언 ... 162
  • Ⅴ.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성 자영업자 생존율 분석 ... 166
  • 1. 연구배경 및 목적 ... 168
  • 2. 분석 자료 ... 169
  • 가. 신한카드 빅데이터 구축 현황 ... 169
  • 나. 신한카드 빅데이터의 자영업 현황 분석 ... 171
  • 3. 분석결과 ... 175
  • 가. 연도별 창・폐업과 생존율 ... 175
  • 나. 업종별 창・폐업과 생존율 ... 180
  • 다. 연령별 창・폐업과 생존율 ... 191
  • 라. 지역별 창・폐업과 생존율 ... 198
  • 4. 소결 ... 205
  • Ⅵ. 행정 빅데이터를 이용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현황 분석 ... 210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12
  • 가. 한국 여성 경력단절 현황 ... 213
  • 나. 여성새로일하기센터 현황 ... 214
  • 2. 연구내용과 방법 ... 219
  • 가. 연구내용 ... 219
  • 나. 연구방법 ... 219
  • 3. 연구결과 ... 220
  • 가. 구인 데이터 분석 결과 ... 220
  • 나. 구직 데이터 분석 결과 ... 239
  • 4. 소결 ... 247
  • Ⅶ. 결론 및 정책제언 ... 252
  • 1.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결론 및 정책제언 ... 254
  • 가. 데이터 사이언스를 활용한 출산정책 관련 여론 분석 ... 254
  • 나. 여성 자영업자 생존율 분석 ... 259
  • 다. 행정 빅데이터를 이용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현황 분석 ... 264
  • 2. 빅데이터 활용과 생산에 대한 결론 및 정책제언 ... 267
  • 가. 여성가족 빅데이터의 활용 방안 ... 267
  • 나. 빅데이터의 성 인지적 생산 방안 ... 270
  • 참고문헌 ... 274
  • 부록 ... 284
  • 부록Ⅲ-1. 2013-2016년 여성가족관련 조사통계(미승인통계) 현황 ... 286
  • 부록Ⅲ-2. 여성가족부 정보시스템 현황 ... 321
  • 부록Ⅲ-3. 여성가족부 소관 기본계획의 여성가족 분야 성과지표 ... 332
  • Abstract ... 350
  • 끝페이지 ... 352

표/그림 (88)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