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교통사고 심층분석 및 목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강현 |
참여연구자 | 김오현, 김영환, 이희영, 성실, 강찬영, 공준석, 추연일, 강선민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1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1800022504 |
과제고유번호 | 1315000920 |
사업명 | 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
DB 구축일자 | 2018-06-02 |
키워드 | 경추손상.교통사고.실사고 조사.가짜환자.알고리즘 개발.Cervical Spine Injury.Motor Vehicle Accident.Real-World Investigation.Nylon Patient.Algorithm Development. |
○ 연구목표
○ 목 손상 환자의 교통사고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교통사고 차량 파손과 인체 상해의 실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정부 주도의 교통안전 선진화 정책이 개발되고 있으나 교통사고 손...
○ 연구목표
○ 목 손상 환자의 교통사고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교통사고 차량 파손과 인체 상해의 실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정부 주도의 교통안전 선진화 정책이 개발되고 있으나 교통사고 손상에 대한 심층 분석프로그램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아 세부 원인에 대한 분석은 미미한 실정임
- 범죄형 교통사고나 보험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하고 차량 파손과 인체 상해에 대한 정보를 웹기반으로 질 관리함으로써 공공기관 정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함
○ 목 손상 환자의 교통사고 차량 및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손상기전 분석
- 일반 국민에게 팽배해 있는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험 산업의 건전성과 우리사회의 도덕성 제고를 유도할 수 있는 근거기반의 자료 제시가 필요함
- 교통사고에 의한 자동차보험 의료비 통계에서는 환자의 96.5%가 경상자로 분류되며,경상자는 응급처치나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경미사고 시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경·요추부 상해발생률이 개인용 운전자 대비 2.5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는 등 뚜렷한 이유 없이 경추 상해 클레임이 높게 나타남
- 자동차보험사고 환자의 입원율은 동일한 상해를 입은 건강보험 환자에 비하여 평균 5.8배 높으며, 특히 목 부위 상해의 경우 그 차이는 33배에 이르는 실정임
○ 차량 파손과 목 손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 개발
- 목 손상 유무 환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목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을 만들고, 이것을 실제로 교통사고 발생한 목 손상 환자에게 적용하여 개발한 알고리즘을 평가함
○ 연구내용
1) 컨소시엄 구성 및 역할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목 손상 유무 알고리즘 적용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차량 파손 및 인체 상해 자료 수집
- 인체 상해 자료에 대한 심층 분석
- 목 손상 유무 알고리즘 개발
- 알고리즘 평가 및 보완
2) 선행연구 분석
○ 국내·외 연구동향
- 자원자 저속 추돌 시험을 통한 경부 충격량 연구 (홍성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2013)
- New classification of acute whiplash associated disorders (WAD)
- 캐나다 퀘벡주 SAAQ (Societe de I’assurance Automobile Quebec]
- 독일 Allianz사
- 미국 메사추세츠주 IFB (Insurance Fraud Bureaus]
3) 교통사고 관련 차량 파손 및 인체 상해 데이터 수집
○ 실사고 조사체계
- 참여기관 : 전국 4개 대학병원(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건국대 충주병원, 단국대 천안병원)
- 조사대상 : 해당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교통사고 환자
- 조사 제외대상
: 교통사고 환자들 중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경우(오토바이, 자전거, 경운기 등)
: 사고차량에 탑승한 동승자이지만 병원 응급실에 환자 접수를 하지 않은 경우
- 조사기간 : 2012년 08월 ~ 현재
- 자료 협조기관 : 관할경찰서, 소방서, 보험회사, 견인업체 등
- 실사고 조사를 진행하지 못 하는 경우
: 환자나 보호자가 실사고 조사에 대해 동의하지 않은 경우
: 유관기관이 자료 협조를 거부한 경우
: 사고차량의 신속한 폐차나 이관으로 인해 자료 추적 불가한 경우
- 2015년 데이터 수집 수 : 273 cases (2015년 10월 기준)
4) 차량 파손과 인체 상해 간의 상관관계 분석
○ 현재까지 수집한 실사고 조사 자료는 총 2,051명이고, 전체 탑승자의 평균 손상중증도(ISS)는 9.13±13.06점이었음
○ 차종, 탑승위치, 충돌횟수, 충돌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트럭 탑승자의 상해가 다른 차량보다 상해도가 높았으며 이는 트럭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하지손상의 발생 빈도와 상해 심도가 높았기 때문임
5) 경추손상환자 분석
○ 이 중, 경추손상환자는 총 641명(전체 환자의 31.3%)이고 평균 AIS는 1.00±0.72점, 평균 ISS는 8.0±10.45점이었음
○ 경추손상환자에 대해, 567명의 환자(전체의 88.5%)가 경추염좌(neck sprain)의 경증환자였고 나머지는 경추골절(cervical spine fracture), 경추탈골(cervical spine dislocation)등의 중증환자였음
○ 경추손상환자에 대해,
- 경증환자의 평균 손상중증도(ISS)는 6.00점이었고, 중증환자의 평균 손상중증도(ISS)는 18.00점이었음
○ 경추 손상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선형회귀분석을 진행하였음
- 회귀분석 상, 벨트착용 여부와 차량의 파손 정도에 영향을 받아 경추 손상의 중증도가 달리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2의 값이 낮아 설명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음
○ 연구성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포함)
○ 기술적 측면
- 한국형 교통사고 손상의도성 구분 알고리즘 개발
- 웹기반 자료수집 및 관리시스템 구축
○ 경제ㆍ산업적 측면
- 교통사고 예방 및 사망 감소에 활용
- 가짜환자 판별에 활용
- 교통사고 예방 및 사망 감소에 활용
○ 사회ㆍ문화적 측면
- 교통사고 환자 관리를 위한 연구 분석 선도
- 자동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 학계, 연구소, 보험협회 등의 협력체계 구축
- 국제 연구교류 활성화
○ 가짜 환자 판별에 활용
- 차량파손 정도에 따라서 탑승자의 목 손상정도를 자동 분석하여 가짜 환자 판별
○ 교통사고 예방 및 사망 감소에 활용
- 안전장비 유무에 따른 손상의 중증도 및 손상양상을 규명
- 국내 교통사고 예방에 필요한 안전도구 개발에 활용
- 중증 자동차 사고에서 교통사고 예방 요소의 하나인 자동차의 결함 등 차량요인의 자동차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는 손상조사 조사 체계 구축
○ 자동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중증도를 예측한 후 구급대원 현장처치 알고리즘을 활용한 빠른 출동체계 구축에 기여
( 출처 : 실적 요약문 95p )
교통사고 심층분석 및 목 손상 유무 판단 알고리즘 개발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책임연구자 :
이강현
발행년월 : 2017-11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