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PVC계 폐자원의 물질 및 화학재활용 친환경 기술개발 |
---|---|
주관연구기관 |
목원대학교 MokWon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05 |
과제시작년도 | 2015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등록번호 | TRKO201800023153 |
과제고유번호 | 1485013223 |
사업명 |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 |
DB 구축일자 | 2018-06-30 |
키워드 | 폐PVC스크랩.물질재활용.화학재활용.recycled PVC scrap.physical recycle.chemical recycle.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23153 |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폐 PVC 및 재활용 스크랩의 자원순환 증대를 위한 물질재활용(MR)기반 핵심요소 기술 개발
• 폐 PVC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상용제품군 개발
• 폐 PVC에 대한 화학적 재활용(CR) 기술개...
개발 목적 및 필요성
• 폐 PVC 및 재활용 스크랩의 자원순환 증대를 위한 물질재활용(MR)기반 핵심요소 기술 개발
• 폐 PVC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상용제품군 개발
• 폐 PVC에 대한 화학적 재활용(CR) 기술개발
• PVC 재활용 센터 설립을 위한 기반 구축 연구
연구개발결과
• 폐PVC 스크랩 물성향상 및 컴파운드 개발
- 제품 용도별 컴파운드/블렌드 개발 및 폐PVC 물성 향상 연구
- 발생 원인별 분쇄 공정 및 라인 개발
• 폐PVC를 활용한 제품개발
- 1차년 개발 제품 : 저소음 파이프 이음관, 환경수로관 유통구 마개,코어박스
- 2차년 : 스페이서, 철근/철선캡, 강선 인입구, 헤드앵커 캡, 위생관 캡
• 기술 이전 : 1차년도 개발 제품(저소음 이음관, 코어박스, 환경수로관 캡)이상 3건
• 화학적 재활용을 위한 한국형 CR의 Lab 규모 기반 요소
성능사양 및 기술개발 수준
1. 저소음파이프 이음관: 2040LT 적용(호칭 35-125 적용)
2. 환경수로관 유통구 마개: 140, 160 Φ
3. 스페이서 : D13~16 mm 철근 용
4. 철근/철선 캡 : D 10~25(6종)
5. 위생관 임시마개
활용계획
- 폐 PVC 전처리 기술의 기업 이전에 의한 부가가치 창출
- 폐 PVC를 활용한 제품 생산 공정 개발 후 참여 기업으로의 기술 이전
- 폐 PVC를 이용한 제품의 지적재산권 확보, 생산 기술 이전 및 상업용 생산
( 출처 : 요약서 4p )
Ⅳ. Results
Physical Recycle
- Establishing manufacturing process for a product from waste PVC scrap(Civil usage and construc...
Ⅳ. Results
Physical Recycle
- Establishing manufacturing process for a product from waste PVC scrap(Civil usage and construction usage)
- Total sales of physical recycle product[Domestic: 8 billion₩, Export: 300 million₩]
- Enhance the purity and selectivity of PVC pellet from waste scrap(over 90%), Manufacturing tech, transfer(4 ea), Product manufacturing(2 ea)
- Design a commercial plant for waste PVC scrap[collection/separation/crushing] Capacity : 50 ton/day
Chemical Recycle
- Develop the basic principles for Korean CR model
- Develop high value monomer recovery technique from waste PVC scrap
· Study the solvent-metal catalyst system
· Conversion>60 %, Selectivity>40%, HCl elimination ratio>60%
( 출처 : SUMMARY 13p )
참여 연구원 |
---|
PVC계 폐자원의 물질 및 화학재활용 친환경 기술개발
주관연구기관 : 목원대학교
MokWon University
발행년월 : 2016-05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PVC계 폐자원의 물질 및 화학재활용 친환경 기술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계형산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5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550,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폐PVC 스크랩, 물질재활용, 화학재활용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목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폐 PVC 및 재활용 스크랩의 물질 재활용에 의한 용도 개발-폐 PVC 맞춤형 전처리 및 선별 실용화 Plant 구축 연구-선정된 Chemical Recycle 반응 기술 최적화 연구-한국형 CR을 위한 기반 요소기술 확립 |
연구내용(Abstract) : | 물질재활용-폐 PVC 물질흐름 통계 및 폐PVC 스크랩 회수물류 체계 구축 방안 연구-폐PVC를 이용한 상용 제품 및 가공 공정 개발, 기술이전, 지적재산권 확보-폐 PVC 맞춤형 전처리 및 선별 실용화 Plant 구축 연구화학재활용-화학원료회수를 위한 5,000년/톤 실증 파일롯 구축 및 최적화-회수원료적용물성평가 및 상용화체계구축물질재활용-폐PVC 분쇄... |
기대효과(Effect) : | -폐자원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감소 및 신규 부가가치 창출-폐PVC 스크랩의 물질재활용 기술 구축에 따른 관련 기업에서의 응용 가능 공용 기술/제품으로써의 기반 구축과 이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화학재활용에 의한 환경오염 감소 및 전반적인 재활용 순환생태계 완성-폐자원 재활용을 위한 회수물류체계 구축, 신산업 구조 구축에 따른 일자리 창출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