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산부산물의 생물전환 조건 설정 및 소재화를 위한 생산공정 표준화 2. 생산공정 Scale-up 최적화 및 Validation 3. Poilot 규모에서의 시제품 생산 및 제품화 연구 4. 미강 유래 개발소재의 ...
1. 농산부산물의 생물전환 조건 설정 및 소재화를 위한 생산공정 표준화 2. 생산공정 Scale-up 최적화 및 Validation 3. Poilot 규모에서의 시제품 생산 및 제품화 연구 4. 미강 유래 개발소재의 개별인정형 등록 소재로서의 신청을 위한 준비 및 사업화 5. 개발소재의 지표성분 설정 및 공정별 변화 관찰 6. 개발소재의 피부건강 관련 in vitro 및 in vivo 효능 평가 7. 개발소재의 면역 관련 in vitro 및 in vivo 효능 평가 9. 개발제품에 대한 시장 진입전략 수립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Abstract ▼
Purpose&Contents ○ Standardization of product process for establishment of bioconversion conditions for agricultural by-product...
Purpose&Contents ○ Standardization of product process for establishment of bioconversion conditions for agricultural by-product(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of analytical marker for bioconversion materials of agricultural by-product ○ Evaluation of efficacy and mechanism of immune modulation, bone health, atopy in preclinical study using in vitro and in vivo models
○ Establishment of effective intake of immunity promotion material, bone health material, skin health material (atopy, etc.) based on the analytical marker
○ Toxicity test [Safety evaluation] and human research test [Effectiveness evaluation] of immunopotentiating material ○ Manufacturing and commercialization of prototype for each development material
Results ○ Establishment of bioconversion conditions of agricultural by-product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 process ○ Product process scale-up and validation ○ Establishment of mass production process ○ Single toxicity assessment of standardized rice bran material by bioconversion ○ Assessment of 13-week repeated dose toxicity of standardized rice bran material by bioconversion ○ Human research of standardized rice bran material by bioconversion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of analytical marker for bioconversion materials of agricultural by-product (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 Changes of analytical marker for prototype of 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 Changes of analytical marker of 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by process ○ Evaluation of in vitro efficacy for skin health of 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 Assessment of skin health related activity using skin cell models ○ Assessment of skin health activity in vivo models ○ Evaluation of in vitro and in vivo efficacy of immune modulation of rice bran, soybean cake, sesame seeds cake
Expected Contribution ○ Commercialization Plan -Circulation conditions of bioconversion materials of agricultural by-product suitable for corporate circulation conditions -Establish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product mass production process by participating companies
○ Benefit -Provide the foundation for promoting the marketability of related industries from various agricultural by-products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high functional materials based on agricultural by-products -Establish direct partnership with farmers and contribute to farm income for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with skim milk producers for management of agricultural by-products
(출처 : SUMMARY 5p)
표지 ... 1
제 출 문 ... 2
보고서 요약서 ... 3
국문 요약문 ... 4
SUMMARY ... 5
영문목차 ... 6
목차 ... 7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8
1절 연구개발 목적 ... 8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8
1-3. 연구개발 범위 ... 29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0
1절 농산부산물(미강, 대두박, 참깨박) 관련 특허 동향 ... 30
2절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및 제품 현황 ... 32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42
1절. 생산공정 및 Bioassay 실험법 설명 ... 58
1. 농산부산물화 탈지공정 설명 ... 58
2. 생물전환공정 설명 ... 59
3. Bioassay 실험법 설명 ... 64
2절. 미강의 고기능성/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 70
1. 생산공정 표준화를 위한 면역활성 평가 ... 70
2. 미강(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설정 및 분석법 개발 ... 75
3. 미강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분석 최적조건 확립 ... 109
4.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표준화 ... 111
5.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validation ... 117
6. 2ton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scale-up 확립 ... 118
7. Pilot 규모에서의 시제품 생산 : 표준화된 개발소재의 시제품 생산 ... 119
3절. 대두의 고기능성/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 120
1. 생산공정 표준화를 위한 면역활성 평가 ... 120
2. 대두(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설정 및 분석법 개발 ... 128
3. 대두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분석 최적조건 확립 ... 150
4.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표준화 ... 152
5.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validation ... 158
6. 50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scale-up 확립 ... 159
4절. 참깨의 고기능성/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 160
1. 생산공정 표준화를 위한 면역활성 평가 ... 160
2. 참깨(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설정 및 분석법 개발 ... 168
3. 참깨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지표성분 분석 최적조건 확립 ... 189
4.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표준화 ... 191
5. 5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validation ... 196
6. 500L 규모에서의 생산공정 scale-up 확립 ... 197
5절. 국내 발생 탈지농산부산물에 대한 식품원료 적합성 검토 및 생물전환공정 재설계 ... 198
1. 국내 발생 탈지농산부산물에 대한 식품원료 적합성 기준 설정 ... 198
2. 국내 발생 탈지농산부산물로부터 생산된 (생물전환)산물에 대한 평가 ... 199
3. 국내 발생 탈지농산부산물에 적용 가능한 생물전환공정 재설계 ... 203
4. 50L 규모에서의 생산된 국내 발생 생참깨박의 (생물전환)산물의 면역활성 조사 ... 207
6절. 개발소재의 면역활성 특성 조사 ... 208
1. 미강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cytokine 분비능 평가 ... 208
2. 대두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cytokine 분비능 평가 ... 211
3. 참깨 원물 및 (생물전환)산물의 cytokine 분비능 평가 ... 219
7절. 개발소재로부터 정제된 면역활성 다당체(유효성분)의 특성 조사 ... 227
1. 미강(생물전환)산물의 면역활성 다당체(유효성분) ... 227
2. 대두(생물전환)산물의 면역활성 다당체(유효성분) ... 242
3. 참깨(생물전환)산물의 면역활성 다당체(유효성분) ... 257
8절. 3개 개발소재의 LPS antagonist 입증을 위한 in vivo 효능 평가 ... 271
1. 호중구 유도능 측정을 위한 실험 조건 확립 ... 271
2. 3개 개발소재의 호중구 유도능 측정 및 LPS antagonist 확인 ... 272
3. 3개 개발소재의 LPS antagonist 입증을 위한 in vivo 효능 평가에 대한 실험적 의의 ... 273
9절. LPS 유도 패혈증 마우스모델에서의 생체 안전성 평가 ... 274
1. 정상 마우스에서 장기 무게 측정 및 cytokine profiling을 통한 생체안정성 평가 ... 274
2. 아치사량의 LPS와 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패혈증 마우스모델에서 염증성 cytokine 생성 억제 및 간/신장 독성 억제능 평가 ...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