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여성건강통계 산출 및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
---|---|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
연구책임자 | 김남순 |
참여연구자 | 박은자, 이수형, 전진아, 김명희, 김유미, 송현종, 이희영, 윤창환, 박진주, 김원석, 장선미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0 |
과제시작년도 | 2015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800038018 |
과제고유번호 | 1465019492 |
사업명 | 여성건강융복합기반기술개발연구 |
DB 구축일자 | 2018-09-15 |
키워드 | 여성건강.성.젠더.건강지표.Women health.Sex.Gender.Health Indicator.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8018 |
· 연구목적: 여성건강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는 '2015 한국여성건강통계' 산출,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성건강콘텐츠(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제작, 여성건강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 분석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
· 연구목적: 여성건강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는 '2015 한국여성건강통계' 산출,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여성건강콘텐츠(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제작, 여성건강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 분석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여성건강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함.
· 연구방법: 기존 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종합하여 주요 여성건강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영역별 내용을 조정하였음. 대표성 있는 자료원(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보험청구자료, 통계청 사망자료, 인구총조사, 아동종합실태조사,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등)을 선택하고 표준화된 분석방법(연령표준화 등)을 사용함. 영역별 핵심 지표를 선정하여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을 작성하고 디자인함. 또한 여성의 신체활동, 피임실천, 심장질환, 골다공증 등을 주요이슈로 선정하여 양적조사와 질적 면담,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한 결과연구 등을 수행함.
· 연구결과
- 한국여성건강통계: ①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건강문제와 다양한 건강영역을 포괄하였음. 성인지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난 10년 간의 건강 추이를 파악하였음. ② 2013 한국여성건강통계보다 건강영역과 지표를 확장하였음. 특히 아동건강에 대한 지표를 추가로 산출함에 따라 성인과 아동/청소년을 구분해서 통계 산출함. ③ 젠더격차지수를 제안하였음.
-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일반 국민용 여성건강콘텐츠로 사회경제적 현황, 전반적 건강수준 및 만성질환, 건강행태, 성건강 및 폭력, 재생산건강, 정신건강, 의료이용 등 7개 영역에서 주요 여성건강지표를 포함하였고, 현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주제를 '여성건강스토리'로 구성하여 별도로 제시함. 여성 노인의 빈곤, 골다공증 치료과 골절예방, 심장질환, 비만과 다이어트, 여성대상 범죄의 확산, 피임 실패로 인한 인공유산, 우울과 삶의 질, 대장암 검진 등이 '여성건강스토리'의 주제로 선정됨.
- 심충분석: ① 신체활동: 여성은 전반적으로 신체활동을 적게 하며 생애주기별로 운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에 차이가 있었음. 질적면담 결과 여성이 운동(신체활동)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학교체육 강하, 모녀운동교실 운영, (만성질환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 제공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었음. ② 젊은 여성의 피임실천: 성문화는 개방적으로 변하고 있지만 20대 여성의 항상피임실천율은 46.7%에 불과하며 여자 청소년은 더욱 낮은 수준임. 현재의 성교육이 항상 피임실천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③ 심장질환: 여성의 심장질환 위험은 폐경 전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 45-65세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 폐경 이후 높아지지는 양상을 보임. 급성심근경색증이 발생한 여성 환자의 단기 사망률은 남성보다 높고,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및 응급실 이용률은 낮은 수준임. ④ 골다공증: 여성은 골다공증 유병률이 높으며, 골다골증으로 인한 골절 경험률의 경우 남성보다 3.3배 높은 수준임. 여성 골다공증 환자 중 의약품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약 1/3 수준에 불과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⑤ 결론: 여성의 수명은 길지만 여성 인구집단 간 건강격차가 크고, 활동제한율이 높은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함. 중·노년기 여성의 만성질환, 젊은 여성의 건강행태 및 성건강 문제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 청소년과 젊은 여성을 대상을 한 효과적 피임실천 교육프로그램, 여성의 신체활동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초중고 체육활동, 생애주기별 운동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함. 여성의 심혈관질환,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예방은 물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
(출처 : 최종보고서 요약문 7p)
• Purpose: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provide educational health contents for general w...
• Purpose: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port on Korean women's health status, to provide educational health contents for general women, to conduct profound analysis on four major women health issues and to suggest evidence based women health policy
• Methods: We selected women health indica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opinion and conduct gender based analysis by using standardized method such as adjusting age-specific rates with using 2005 Projection Population with nationwide data. We did survey, qualitative interview, systematic review and outcome study with administrative data for the 4 major issues.
• Results
-Women health statistics: ① Women health statistics cover diverse health areas along with life course and trend for 10 years. ② There is also gender gap index which include health indicators. ③ Women health statistics consists of two parts, one for adult women and the other for child and adolescent girls. ④ Korean women lived longer but less active throughout the entire life than men. There is gap of life expectancy among social classes in women. Old women have more chronic disease and young women' health behaviours are getting worse than before.
-Women Health throughout the figures: It is the contents for promoting general women's understanding on health. There are information on women's socioeconomic status, general health, chronic diseases, health behaviours, reproductive health, sexual health, mental health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There are also women health story about several issues(poverty of old women, gender paradox, obesity and diet of young wom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crimes against women, contraception, osteoporosis and screening of colon cancer).
-Profound Analysis on 4 major issues: ① Young women's contraception: The culture about sex is changing and sexual experience in increasing. But women in twenties are not always practicing contraception, the contraception rate was 46.7%. According to the survey. sexual education was not helpful to these young women. ② Physical activities: women do less exercise and there are several reasons according to lifetime. According to qualitative interview, we need to enhance school exercise program for child and adolescent girls, group exercise program such as mother and daughter. ③ Ischemic Heart disease: women has more risk for heart disease ater menopause. Women with ischemic heart disease visit less emergency department and general n hospital and tertiary hospitals. But Women's mortality within a month after heart attack is hinger than that of men. ④ Osteoporosis: Women have much more osteoporosis and fracture than men. However only one third of women with osteoporosis receive pharmaceutical therapy.
•Conclusion: South Korean women's life expectancy is high. But we need to reduce the gap among social classes and to improve the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e should develop coping strategy to chronic disease among middle age and old women. Also we should have plans to improve young women and adolescent girls' health behaviours and sexual health. We need to establish working education program for sexual health and effective contraception and school exercise program for active life of women. It is required to improve women's perception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and quality of health services.
(출처 : Summary 8p)
여성건강통계 산출 및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분석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책임연구자 :
김남순
발행년월 : 2016-10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