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건강기능식품의 미생물 기준규격 재평가 연구(1) |
---|---|
주관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곽효선 |
참여연구자 | 황혜신, 정경태, 김미경, 김순한, 한정아, 허은정, 김형일, 김연주, 조영래, 손경희, 김지은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2 |
과제시작년도 | 2016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등록번호 | TRKO201800038115 |
과제고유번호 | 1475009369 |
사업명 | 식품등안전관리 |
DB 구축일자 | 2018-12-01 |
키워드 | 위생.기준.규격.식중독균.건강기능식품.Hygiene.Standard.Specification.Pathogenic bacteria.functional health food.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8115 |
건강기능식품공전은 과거 2002년대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보호에 필요하다고 인정된 때에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준·규격과 원료·성분을 제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법률 제 6726호)에 따라 2004년 1월 31일...
건강기능식품공전은 과거 2002년대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보호에 필요하다고 인정된 때에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기준·규격과 원료·성분을 제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법률 제 6726호)에 따라 2004년 1월 31일,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이 제정되었다. 건강기능식품공전 상 미생물 기준규격은 모두 단일시료 채취 규격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식품공전 및 축산물공전에서는 위생지표세균 및 식중독균에 대하여 통계적 개념의 정량적 규격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통계적 개념이 도입된 과학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생물 기준․규격 개정을 위하여 건강기능식품공전에 수재된 영양소 및 기능성 원료에 대한 미생물 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적 개념이 도입된 미생물 기준․규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건강기능식품공전 중 미생물 규격 설정이 필요하거나 현재 규격이 설정된 28개의 영양소와 67개의 기능성 원료가 함유된 1,193품목(5,965건)에 대한 위생지표세균(세균수, 대장균, 대장균군 및 식중독균(살모넬라)에 대한 오염 실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오염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CMSF(국제식품미생물규격위원회)의 Nwesampleplan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위생지표세균의 n, c, m, M의 3군법 규격(안)을 마련하였으며, 뮤코다당 단백 제품의 살모넬라 규격에는 2군법의 규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미생물 기준·규격에 통계적 개념 도입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비용·편익 분석)를 통하여 규제의 적정성 및 실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 검사의 대표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해 통계적 개념의 미생물 규격 마련 외의 동등 이상의 대체법이 없으며, 식품 중 미생물의 과학적, 합리적 검사 관리로 대정부 신뢰도 제고되었다. 통계적 개념 도입에 따른 검사비용 증가 발생 및 식품의 안전성 및 위생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소비자 안전 등의 사회적 편익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과제에서 마련된 통계적 개념의 미생물 기준․규격 개정(안)은 건강 기능식품 기준․규격 개정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결과와 함께 정책부서인 건강기능 식품정책과 및 건강기능식품 분야의 관련 전문가 자문 등을 거처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반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출처 : 요약문 3p)
Sinc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has first introduced in 2004,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the microbial food safety had bee...
Sinc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has first introduced in 2004,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the microbial food safety had been current version without changes. The health functional food safety regulation and standard could be varying from country to country and could cause issues in trading unless the regulation is grounded by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a survey to determine actual levels of microbial contaminations in various health functional food categories by using scientifically proven techniques including statistical analysis. Our ultimate goal is building an entirely new standard to provide more controlled environment for safe health functional food consumption. As result of the study, we monitored total 95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vitamins, minerals, ginseng, and so on) for total aerobic cell, Escherichia coli(E. coli), coliforms and Salmonella(only mucoprotein products) and proposed new standard(n, c, m, M) for total aerobic count in liquid types of all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ing ginseng and red ginseng products and for coliforms in 95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using Newsampleplans program provided by ICMSF.
The proposed standards here will be considered for addition in Health Functional Food Code with evaluation result of social and economical impact as well as professional advisory committee discussion.
(출처 : Summary 4p)
건강기능식품의 미생물 기준․규격 재평가 연구
주관연구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책임연구자 :
곽효선
발행년월 : 2017-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