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10Ah 탑재 1500mAh/g급 비탄소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소재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EG |
연구책임자 | 강길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07 |
과제시작년도 | 2016 |
주관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등록번호 | TRKO201800040294 |
과제고유번호 | 1415146011 |
사업명 | 소재부품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8-09-22 |
키워드 | 리튬이온전지.음극재.비탄소.수명특성.방전용량. |
핵심기술
■ 탄소계 및 이종금속을 혼합한 Si계 복합화 음극재료 제조기술 개발
■ 대용량 고안정성을 가지는 Si계 복합화 음극재료 제조
최종목표
■ Si의 입도 제어, PC 코팅, CNF 성장 공정 최적화...
핵심기술
■ 탄소계 및 이종금속을 혼합한 Si계 복합화 음극재료 제조기술 개발
■ 대용량 고안정성을 가지는 Si계 복합화 음극재료 제조
최종목표
■ Si의 입도 제어, PC 코팅, CNF 성장 공정 최적화 기술 개발
■ 신규 음극소재용 전해액 최적화 기술 개발
■ 신규 음극과 전해액간 계면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및 반응메커니즘 정립
■ 최적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전재 개발
■ 평균 전위 0.16V 제어 기술 개발
■ 전지 설계 : 190 Wh/kg 이상 전지 설계
개발내용 및 결과
■ 최적화된 공정을 통해 Si계-C 및 Si계 -C-Metal 복합화 음극재료를 제조하여 목표특성을 확보한다.
■ 최적의 전해액 조성 조합과 더불어 전해액과의 부반웅 차단을 위해 신규 음극소재로의 이종 소재 첨가를 통하여, 신규 음극소재의 최종 목표 성능을 달성하도록 한다.
■ 음극첨가재 및 조합된 전해액에 의한 음극의 SEI 생성 메커니즘 정립에 관한 연구를 한다.
■ 도전재로는 CNT, CNF,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등을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변화 실험을 수행한다.
■ 리륨이온전지용 비탄소계 소재를 적용한 전극과 전지 설계
기술개발 배경
기존 소형 전지에는 주로 인조흑연이나, 천연흑연과 같은 음극활물질들이 안정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론 용량이 372mAh/g으로 낮은 단점이 있다. 디지털융합기기의 시장 진입에 기인하여 훨씬 큰 용량을 지닌 전지를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어서 음극활물질로 흑연보다 이론용량이 10배 이상 높은 Si나 Sn계의 금속을 사용하여 금속/흑연 복합계 음극활물질이 개발되고 있다.
핵심개발 기술의 의의
Si의 부피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CNF를 성장, 부피팽창에 대한 완중역할 및 전기전도 network을 형성한다. 또한, 집전체의 박리를 억제하고, cycle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적용 분야
전기자동차 중 2차전지를 사용하는 xEV는 동력 사용 형태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 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 에너지만을 사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로 나누어진다.
효율적인 전력 활용, 고품질의 전력 확보, 안정적인 전력 공급 측면에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출처 : 최종보고서 초록 4p)
참여 연구원 |
---|
10Ah 탑재 1500mAh/g급 비탄소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소재 개발 주관연구기관 : EG 책임연구자 : 강길구 발행년월 : 2017-07
닫기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