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해양심층수 기반 화장품 원료용 미세조류 배양기술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주)에이이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08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등록번호 | TRKO201800044277 |
과제고유번호 | 1525007214 |
사업명 | 미래해양자원기술개발 |
DB 구축일자 | 2019-06-01 |
키워드 | 해양심층수.미세조류.스피루리나.배양.화장품.Deep sea water.Microalgae.Spirulina.Culture.Cosmetic. |
유용 미세조류 중 스피루리나를 대상으로 해양심층수를 활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생산된 스피루리나의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기능성 확보 여부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함.
세부적인 연구개발내용은 다음과 같음.
성과목표 ...
유용 미세조류 중 스피루리나를 대상으로 해양심층수를 활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생산된 스피루리나의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기능성 확보 여부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함.
세부적인 연구개발내용은 다음과 같음.
성과목표 : 항목 : 결과
스피루리나 고효율 생산 : 바이오매스 농도 -2.7g/L
스피루리나 경제성 확보 : 전용배지 금액 - 6.13원
스피루리나 성능 평가 : 플랜트 용량 - 2.17톤
스피루리나 안전성 확보 : 불순물 함유 - N.D.
화장품 원료 기능성 확보 : 보습력 향상 - 52.72%
(출처 : 요약서 3p)
■ Purpose & Contents
1. Purpose
1) A Study of growth characteristics on the microalgae(Spirulina) influence factor
2) Ded...
■ Purpose & Contents
1. Purpose
1) A Study of growth characteristics on the microalgae(Spirulina) influence factor
2) Deduction of the optimum culture system operation conditions for microalgae mass production
3)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microalgae culture system operation conditions through empirical plant monitoring
4) Development of microalgae culture technique for cosmetic materials based on deep sea water
2. Contents
1) Deduction of optimum microalgae culture composition using deep sea water
2) Procuration of culture system design/manufacturing, engineering technique for microalgae mass production
3) Deduction of microalgae culture system field operation technique through empirical plant monitoring
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icroalgae culture technique for cosmetic materials based on deep sea water
■ Results
1) Effect of industrial manpower employment extension with vitalization of ocean bio-industry
2) Inducement of enhancement and high-tech of ocean bio-industry
3) Enhancement of national economy competitiveness with vitaliza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ocean bio-industry related industry
■ Expected Contribution
1) The creative economy contribu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vitalization through ocean bio-industry technical development
2) The World Class at a major field of ocean biotechnology and Procuration of technology-based for Blue Ocean product development
(출처 : SUMMARY 5p)
참여 연구원 |
---|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해양심층수 기반 화장품 원료용 미세조류 배양기술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이성재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6 ~ 2017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203,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해양심층수,미세조류,스피루리나,배양,화장품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주)에이이 |
연구목표(Goal) : | 1. 해양심층수 활용 미세조류 스피루리나 영향인자에 따른 성장특성 검토2. 해양심층수 활용 미세조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시스템 최적 운영조건 도출3. 플랜트 운영을 통한 미세조류 생산시스템 최적운전조건 확립4. 해양심층수 기반 화장품 원료용 미세조류 배양기술 개발 |
연구내용(Abstract) : | 1. 미세조류 스피루리나 해양심층수 활용 최적배지성분 도출2. 미세조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시스템 설계/제작 및 엔지니어기술 확보3. 플랜트 운영을 통한 미세조류 생산시스템 현장운영 및 유지관리기술 도출4. 해양심층수 기반 화장품 원료용 미세조류 배양기술 개발 및 이의 활용 |
기대효과(Effect) : | 1. 해양바이오 산업의 활성화로 산업인력 고용확대 효과2. 해양바이오 산업기술의 고도화 및 첨단화 유도3. 해양바이오 관련 산업체의 활성화 확산 및 기술개발로 국가경제 경쟁력강화4. 해양바이오 기술개발로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창조경제에 기여5. 해양바이오 분야의 세계일류화 및 Blue Ocean 상품개발 기술기반 확보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