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최윤정
|
참여연구자 |
정해숙
,
장희영
,
이현주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0 |
과제시작연도 |
2018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1900002439 |
과제고유번호 |
1105013943 |
사업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R&D) |
DB 구축일자 |
2019-06-29
|
초록
▼
I. 서 론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 여학생들의 학력이 나날이 높아지고, 학업성취도가 남학생을 능가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로선택에서의 성별 분리와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분업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OECD 국가 중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국가라는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에도 영향을 미침.
○지난 2015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여학생들의 수학성취가 남학 생들을 따돌리고 있음에도 여학생들의 공대 진학률이 여전히 18.4%에 머무르는 현실은 남녀학생의 진로선택이 개인의 적성과 자질이 아닌, 사회적
I. 서 론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 여학생들의 학력이 나날이 높아지고, 학업성취도가 남학생을 능가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로선택에서의 성별 분리와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분업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OECD 국가 중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국가라는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에도 영향을 미침.
○지난 2015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여학생들의 수학성취가 남학 생들을 따돌리고 있음에도 여학생들의 공대 진학률이 여전히 18.4%에 머무르는 현실은 남녀학생의 진로선택이 개인의 적성과 자질이 아닌, 사회적 편견과 성별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드러낼 분 아니라, 훌륭하고 똑똑한 여성들을 힘껏 육성하고도 매우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우리나라 인적자원 전략의 한계를 보여줌(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7).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15년 진로교육법 제정과 시행, 자유학기제의 전면 확대,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확대와 각 지자체의 예산 지원 등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급속하게 확대된 진로교육 영역에서 성 평등한 관점이 배제된 현실을 들여다보고, 남녀학생이 편견 없는 진로 선택을 하기 위해 필요한 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둠.
나. 연구내용
○ 이론적 배경과 현황 논의
- 성평등의식과 진로태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성평등한 진로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 남녀학생 진학 및 진로 현황과 선호
○ 성평등한 진로교육 실테 파악
- 학교 또는 진로체험지원센터에서의 성평등한 진로교육 실태 파악
- 성평등한 진로교육 운영의 애로사항 파악
- 성평등한 진로교육을 위한 지원 요구 파악
○ 성평등한 진로교육 우수사례 발굴
- 성평등한 진로프로그램 발굴 및 수집
- 성평등한 진로프로그램 분석 및 확산 방안 논의
○ 성평등한 진로교육 정책 방만
- 성평등한 진로교육 제도적 추진 방안 제시
- 성평등한 진로교육 확산 방안 및 질 제고 방안 제시
다. 연구방법
○ 문헌연구
- 관련 선행연구 분석
- 성평등한 진로교육 해외사례 발굴
○ 성평등한 진로교육 운영 실태조사
- 학교 진로교사 623명,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106명 대상
- 인터넷을 이용한 웹조사
○ 일선 교사 및 활동가 대상 간담회 (FGI)
- 진로전담교사, 진로활동가 등 현장전문가 14명
- 성평등한 진로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남녀 중학생 10명
○ 사례조사 및 현장연구
- 성평등한 진로교육 국내외 추진 사쾌 수집 및 분석
- 담당자라의 인터뷰 또는 기초자료 요청 및 활용
○ 전문가 자문회의
- 연구내용 및 방법 관련(1 회)
- 설문지 개발 관련(3회)
- 정책과제 개발 관련(1 회)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The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career education and developing alternatives required for students of both genders to choose careers without sex prejudice. Career education has rapidly develop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with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aree
The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career education and developing alternatives required for students of both genders to choose careers without sex prejudice. Career education has rapidly develop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with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Act in 2015,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expansion of regional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but is devoid of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Despite the present reality in which academic abilities of female students are growing each day and their performances at school are surpassing those of male students, gender segregation in career choice and gender division in the labor market are not improving; this problem is directly linked to women’s performance in the labor market, leading Korea to have the largest gender wage gap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ased on such critical aware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career teachers/instructors in 623 middle schools and 106 regional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nationwide on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lso held with career teachers, staff at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instructors, and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24 interviewees in total), to listen to and analyze the opinions of those directly involved in career education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good cases of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gain insights on viable policy meas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een that the present career education provides educational activities without resolving gender bias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thus is serving as a mechanism for strengthening conventional gender role stereotypes among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although some schools and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are attempting at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they fail to implement it or merely provide less than high-quality education due to lack of competence or awareness of teachers, limited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the absence of guideline and availible programs, lack of education to produce qualified instructors, lack of support based on relevant policies, etc.
In this regard, advanced foreign cases, in which companies, students and schools are systematically connected under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provided on the national level or
gender equality perspective is essentially incorporated in key education guidelines or career education guidelines in countries with much higher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freer career choices among students of both gender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We would like to explore and propose policy measures that will help facilitate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in the adverse educational conditions in Korea at present. First, standards for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the Career Education Act should be amended to specify the perspective of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We als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tentative title)」 on the standards and detail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Provision of active measures and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is needed by making manuals, workbooks, teaching materials, etc. available on the Ggoomgil webpage while developing and reflecting guidelines against gender discrimination, sexual harrassment and sexual viol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representative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It is strongly proposed to designate a special day for gender-equality career experienc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Korea, just like Girls’ Day and Boys’ Day in German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a「Ycmng Female Talent Academy (tentative title)」as a program for development of various career opportunities and vocational competence of female studen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Woman Leader Academy, the program will provide advanced female students with one-stop support from career choice to connection to the occupational world, women’s awareness as workers, leadership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networks.
Third, promotion of awareness and competence for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on various related staffs is needed. For this, first of all, prior education for mentors and parent career coaches should become mandatory. Then, as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competence for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of career teachers are vital for sufficient reflection of gender perspective in the scenes of career education,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should be obligated in the education of care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lso, it is necessary to train and provide qualified instructors by having 「the Kor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Promotion and Education」 train instructors specialized for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and building a relevant database, or establishing a database of specialized instructors for career education on the Ggoomgil webpage.
Fourth,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who have huge influence on the career choice of students, should be provided. Possible measures may include regular mailing of information leaflets as well as production of videos, etc. to enhance parents’ gender-equality career awareness and promotion through parent support centers and webpag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feedback system for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To maintain the policy intention for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it is considered ideal, in term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feedback,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o voluntarily choose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as a theme for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lso, content related to gender equality perspective should be added to the evaluation measures of the career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so that career experience providers can constantly check themselv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items on gender-equality career education in the「Survey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carried out each year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출처 : ABSTRACT 313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23
- 표목차 ... 26
- 그림목차 ... 30
- I 서론 ... 3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3
- 2. 연구내용 ... 38
- 3. 연구방법 ... 39
- 4. 용어의 정의와 연구범위 ... 44
- II 이론적 논의와 현황 검토 ... 47
- 1. 진로교육과 성평등 이슈 논의 ... 49
- 가. 성평등의식과 남녀학생의 진로 ... 49
- 나. 성평등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효과 ... 51
- 2. 남녀학생의 진학 및 진로 현황 ... 53
- 가. 남녀학생의 진학 현황 및 특성 ... 53
- 나. 남녀 취업 현황 및 특성 ... 62
- 다. 남녀학생의 교과 선호 ... 68
- III 성평등한 진로교육 실태(1) : 실태조사 분석 ... 73
- 1. 조사개요 ... 75
- 가. 조사목적 및 조사방법 ... 75
- 나. 응답자 특성 ... 76
- 다. 조사내용 ... 79
- 2. 중학교의 성평등한 진로교육 현황 ... 81
- 가. 성평등한 진로교육 운영 실태 ... 81
- 나. 진로체험활동에서의 성평등 운영 실태 ... 93
- 다. 진로교사의 젠더의식과 성평등한 진로교육 역량 ... 109
- 라. 성평등한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지원 요구 ... 122
- 3.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성평등한 진로교육 현황 ... 134
- 가. 성평등한 진로교육 운영 실태 ... 134
- 나. 진로체험활동에서의 성평등 운영 실태 ... 143
- 다.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의 젠더의식과 성평등한 진로교육 역량 ... 158
- 라. 성평등한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지원 요구 ... 171
- 4. 소결 및 시사점 ... 184
- IV 성평등한 진로교육 실태(2) : FGI 분석 ... 187
- 1. 조사개요 및 참여자 특성 ... 189
- 2. 진로교육 현장에 내재한 성역할 고정관념 ... 192
- 가. 학생들의 진로·직업에 대한 성 정형화된 인식 ... 192
- 나. 비전통적 분야의 진로활동에 대한 부정적 정서 ... 194
- 3. 성평등한 진로교육활동 경험 및 과제 ... 196
- 가. 성평등한 진로교육활동 경험 ... 196
- 나. 성평등한 진로교육활동의 교육적 가치 ... 202
- 다. 성평등한 진로교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지원 요구 ... 207
- 4. 소결 및 시사점 ... 215
- V 성평등한 진로교육의 국내외 사례 ... 217
- 1. 국내 사례 ... 219
- 가. 산업통산자원부: 케이-걸스데이 (K-Girls' Day) ... 219
- 나. 서대문구 진로체험지원센터: 양성평등 진로프로그램 ... 221
- 다. 양천구 진로체험지원센터: 학부모 진로코치단 대상 젠더교육 ... 225
- 2. 해외 사례 ... 226
- 가. 독일: 걸스데이 (Girls’ Day) ... 226
- 나. 영국: 정부 주도적 진로교육 ... 232
- 다. 프랑스: Avenir Course(장래 탐색 과정) ... 234
- 라. 오스트리아: IBOBB 진로교육 ... 235
- 마. 아일랜드: 진로교육 가이드라인 ... 237
- 바. 네덜란드: VHTO(이공계 여성 전문가 기관)와의 협력 ... 238
- 3. 소결 및 시사점 ... 240
- VI 결론 및 정책 방안 ... 243
- 1. 요약 및 결론 ... 245
- 가. 진로교육에 내재된 성차별과 성편견 ... 246
- 나. 성평등한 진로교육 운영 실태와 지원 요구 ... 248
- 2. 성평등한 진로교육 추진 방안 ... 251
- 가. 성평등한 진로교육을 위한 기준 마련 ... 252
- 나. 성평등한 진로교육의 대표 프로그램 개설과 시행 ... 260
- 다. 다양한 주체들의 성평등한 진로교육 의식 및 역량 제고 ... 266
- 라. 성평등한 진로교육의 환류체계 강화 ... 273
- 참고문헌 ... 279
- 부록 ... 285
- [부록 1] 성평등한 진로교육 추진을 위한 실태조사 : 진로교사용 ... 287
- [부록2] 성평등한 진로교육 추진을 위한 실태조사 :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용 ... 299
- Abstract ... 313
- 끝페이지 ... 32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