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가이드(체지방 감소 등 10종) 개선 연구(Ⅰ)(1) |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DanKook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2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등록번호 | TRKO201900003476 |
과제고유번호 | 1475010902 |
사업명 | 식품등안전관리(R&D) |
DB 구축일자 | 2019-07-13 |
키워드 | 기능성 원료.기능성.평가.functional ingredients.functionality.evaluation.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3476 |
○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개발 시 ‘기능성’ 자료의 경우 인체적용시험 및 동물시험자료 등 과학적 근거 입증 필요함. 현재 기능성별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으나 최신 기술을 반영한 평가 방법 개선이 필요함. 그러므로 본 연구는 10종...
○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개발 시 ‘기능성’ 자료의 경우 인체적용시험 및 동물시험자료 등 과학적 근거 입증 필요함. 현재 기능성별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으나 최신 기술을 반영한 평가 방법 개선이 필요함. 그러므로 본 연구는 10종의 기능성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였음.
* 10종 기능성: 체지방 감소, 혈당조절, 혈압조절,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혈중 중성지방 갱년기여성 건강, 갱년기남성 건강, 인지능력향상, 기억력 개선, 피부건강
□ 연구내용
1. 기능성별 자료조사 및 수집
- 국내・외 기능성별 평가 가이드(의약품, 화장품 포함), 국내외 학술논문 조사
2. 기능성별 바이오마커 등 조사・비교・분석
- 기전, 바이오마커, 인체적용시험 선정/제외기준, 안전성 지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
3.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기전, 바이오마커, 인체적용시험 선정/제외기준, 안전성 지표
4. 기능성별 자문단 구성 및 운영
□ 연구결과
1.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주요 내용
- 구성 업데이트 : 가이드라인의 구성 통일
- 내용 업데이트 : 기능성별 진단기준 업데이트, 기전 수정, 기존 바이오마커 삭제, 신규 바이오마커 추가, 바이오마커의 설명과 실험방법 일치, 인체적용시험 선정/제외기준 개선, 안전성지표 검토
2. 10종의 기능성에 대한 평가가이드 개선(안) 마련
- 인지능력과 기억력개선에 대한 평가가이드는 통합함(인지능력/기억력 개선)
(출처 : 요약문 11p)
This study is to update the 10 kinds of functiona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efficacy evaluation of functional foods (reducing ...
This study is to update the 10 kinds of functiona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efficacy evaluation of functional foods (reducing body fat, controlling blood sugar, controlling blood pressure, improving blood cholesterol, improving blood triglyceride, menopausal women's health, menopausal men's health, improving cognitive ability, memory improvement, skin health).
□ Research Method
Functionality evaluation guidelines, review materials as well a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 for each food ingredient functionall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n mechanisms, biomarkers, experimental method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analysed and summarized data, mechanism of action for each function, biomarkers for functional assessment according to the point of action by study type (such as in vitro, in vivo, or human study) were upda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and experimental methods of each new biomarker were updated. For this study, we composed advisory committee, selected from industry professionals, academics, and physician, and received form.
□ Result
The evaluation guidelines for 10 kinds of functionality were updated.
- Format update : unifying format of guidelines
- Contents update: diagnosis criteria, mechanism, biomarker (addition/deletion), descriptions of new biomarker and its experimental methods, selection/exclusion criteria for human clinical studies, review of safety markers
- Integrate guidelines for cognitive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cognitive ability / memory improvement)
(출처 : Summary 13p)
참여 연구원 |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가이드(체지방 감소등 10종) 개선연구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DanKook University
발행년월 : 2018-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가이드(체지방 감소 등 10종) 개선 연구(Ⅰ)(1) |
---|---|
연구책임자(Manager) : | 김우경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8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기능성원료, 기능성, 평가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개발 시 '기능성' 자료의 경우 인체적용시험 및 동물시험자료 등 과학적 근거 입증 필요○ 현재 기능성별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으나 최신 기술을 반영한 평가 방법 개선이 필요함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 개선(안) 마련(10종) * 체지방 감소, 혈당조절, 혈압조절,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혈중 중성지방, 갱년기여성 건... |
연구내용(Abstract) : | ○ 국내·외 기능성별 평가 가이드 조사○ 기능성별 바이오마커 등 조사·비교·분석 * 기 인정자료, 최신 국내외 관련 논문 및 평가 가이드 등을 통해 in vitro, in vivo 시험 및 인체적용시험의 바이오마커 비교·분석 * 의약품, 화장품 등의 평가지표 비교,분석○ 작용기전, 주요 바이오마커 선정, 시험방법 등 조사·비교·분석 * 기능성별 ... |
기대효과(Effect) : |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자의 이해도 증진○ 건강기능식품의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활성화○ 기능성 원료의 기능성 평가에 대한 투명성,일관성 제고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