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 핵심 해석기술 개발 |
---|---|
주관연구기관 |
대전대학교 Daejeon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05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등록번호 | TRKO201900004673 |
과제고유번호 | 1615009778 |
사업명 |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R&D) |
DB 구축일자 | 2019-08-10 |
키워드 | 초장대교량.부유식교량.현수교.사장교.엔지니어링.Long-span bridge.Floating bridge.Suspended bridge.Cable-stayed bridge.Engineering. |
·본 연구는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의 핵심 해석기술개발을 목표로 함
·세부 개발기술로는, 부유식 케이블지지교량의 초기형상해석기술, 유체동역학이론기반의 전체계해석기술, 극한해석기술, 케이블 및 계류계 단선해석기술, 계류계 ...
·본 연구는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의 핵심 해석기술개발을 목표로 함
·세부 개발기술로는, 부유식 케이블지지교량의 초기형상해석기술, 유체동역학이론기반의 전체계해석기술, 극한해석기술, 케이블 및 계류계 단선해석기술, 계류계 피로해석기술로 구성됨
·개발기술을 통해 부유식 케이블지지교량의 주요한 정·동적 구조거동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유식 교량의 합리적 설계방안을 제시함
·2.0km 길이를 갖는 초장대 부유식 케이블지지교량의 구조안전성, 사용성, 피로성능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분석함
(출처 : 요약서 3p)
□ Purpose & Contents
1. Purpose
Development of fundamental analysis technologies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and inves...
□ Purpose & Contents
1. Purpose
Development of fundamental analysis technologies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and investigation of feasibility of the 2.0km long-span grand bridge with floating towers
2. Contents
◎ Development of fundamental analysis methodologies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 Initial shape analysis of the floating cable-stayed bridges
▪ Global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hydrodynamics
▪ Motion and structural safety analysis of very large floating towers
▪ Ultimate analysis of the floating cable-stayed bridges
▪ Cable failure analysis
▪ Mooring failure analysis ▪ Mooring fatigue analysis
◎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oating long-span bridges
▪ Investigation of the static behavior of the structure with various cabe-arrangement and initial tension distribution
▪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global performance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safety and stability of the floating towers
▪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sudden cable failure on the change of the structural states and behaviors
▪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sudden mooring failure on the change of the structural states and behaviors
▪ Evaluation of the global performance of the 2.0km long-span bridges with floating towers
□ Results
◎ Method and developed program for fundamental analysis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 Investigation of significant structur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long-span bridges
◎ Feasibility study result of the 2.0km long-span cable-stayed / suspended bridges with floating towers
□ Expected Contribution
▪ Technology point of view
- Developing very fundamental and significant analysis techniques of floating long-span bridges
- Increasing the basic engineering abilities for analyzing and designing the 2.0km long floating grand bridges
▪ Economic/Industrial point of view
- Leading the world long-span bridge market by development of the core technologies of analysis and design for floating long-span bridges, the new-type future bridge systems
-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industrial groups by enhancing the fundamental engineering abilities in construction industry
▪ Social point of view
- Developing the new-type long-span bridges which can be constructed at any environmental, geographical, and design conditions
- Contributing to evolution of theory and technology of mega structure construction industry
(출처 : SUMMARY 6p)
참여 연구원 |
---|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 핵심 해석기술 개발
주관연구기관 : 대전대학교
Daejeon University
발행년월 : 2019-05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 핵심 해석기술 개발 |
---|---|
연구책임자(Manager) : | 김승준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7 ~ 2018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150,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초장대교량,부유식교량,사장교,현수교,엔지니어링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 부유식 초장대 케이블지지교량 핵심 해석기술 개발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의 초기형상해석기법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의 전체계 유체-구조동역학 해석기법 부유식 초대형 주탑의 안정성 및 운동성능 해석기법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 극한해석기법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 케이블 단선 해석기법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 계류계 단선 해석기법 계... |
연구내용(Abstract) : | 최종 연구 목표 : 부유식 주탑을 갖는 초장대교량의 핵심 설계기술 개발, 2.0km 이상 부유식 초장대교량의 주요 구조거동 분석 및 실효성 평가연구 세부 목표 : ◎ 부유식 초장대 케이블지지교량 핵심 해석기술 개발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의 초기형상해석기법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의 전체계 유체-구조동역학 해석기법 부유식 초대형 주탑의 안정성 및 ... |
기대효과(Effect) : | -대상해역의 지리적 제약을 받지 않는 부유식 초장대케이블지지교량의 핵심적인 설계 및 해석기술 개발-2.0 km 이상의 지간장을 갖는 초장대교량 핵심기술확보 및 엔지니어링역량 강화-구조공학, 지반공학, 유체구조공학 및 교통공학 등 건설분야 핵심이론의 융복합을 통한 신학문 창출-원천적인 이론 및 이론의 이행기술의 개발을 통해 유사 구조물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여...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