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연구목표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원내외 연구과제의 Pilot 장비 활용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원내외 연구과제 지원 건수 : 2건
2) 원내 연구과제 지원(PP/분석) : 10건/50건...
1. 연구목표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원내외 연구과제의 Pilot 장비 활용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원내외 연구과제 지원 건수 : 2건
2) 원내 연구과제 지원(PP/분석) : 10건/50건
3) 원외 중소기업 지원(PP/분석) : 5건/5건
4) Pilot 및 분석 장비 가동률 : 20%
5) Pilot 및 분석 장비 수익금 : 200,000천원 (각각 100,000천원)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의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5건
2) 원외 중소기업에 개발한 제품의 원활한 실증화 및 조기 양산체계 구축 지원 : 70건
3) 장비 가동율 : 50% 이상
4) 장비 수익금 : 180,000천원 이상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 관련 소재 물성 측정 및 분석지원
- 원내 화학분석 기술지원 : 11,000건
2) 원외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애로분석 지원
- 원외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지원 건수 : 1,200건
3) 분석장비 가동률 : 25% 이상
4) 분석장비 수익금 : 115,000천원 이상
2. 주요 연구내용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원내 수주과제 scale-up 및 분석 지원
- Pilot 장비를 활용 양산화 연구
- 과제 수행을 위한 기기분석 업무 지원
- 발효 생산 Scale-up 연구 지원
2) 원외 Pilot장비 및 분석기기 대여 및 연구 지원
- 바이오화학 관련 중소기업이 개발한 제품의 원활한 실증화 및 조기 양산체계 구축 지원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원내
- 원내 연구과제의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2) 원외(중소기업)
- 정밀화학 중소기업 개발제품의 실증화 및 조기 양산체계 구축
- 정밀화학 중소기업의 제품개발 및 생산기술 경쟁력 강화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원내
- 원내 연구과제 관련 소재 물성 측정 및 화학분석 기술 지원
- 분석장비 Open 운영 서비스 및 기기교육
2) 원외(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애로분석 지원 및 분석 자문
- 중소기업의 R&D, QC, 제품개발, 공정불량 원인규명 등의 분석지원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3. 주요 연구개발 결과 및 성과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원내외 연구과제 개발 지원 : 3건 (2017년 3건)
2) 원내 연구과제 지원(PP/분석) : 865건/2353건
3) 원외 중소기업 지원(PP/분석) : 26건/120건
4) 장비 가동율 : 25.2% (2017년 24.1%)
5) 장비 수익금 : 189,727천원 (2017년 104,614천원)
(PP/분석 : 77,896천원/111,831천원)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의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7건
2) 원외 중소기업의 실증화 및 양산화 지원 : 74건
3) 장비 가동율 : 50.5% (2017년 49.1%)
4) 장비 수익금 : 158,250천원 (*2018년 10월 말 기준)
- 2017년 10월 152,393천원 (2017년 전체 180,843천원)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 관련 소재 물성 측정 및 분석지원 : 12,217건
2) 원외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애로분석 지원 : 1,598건
3) 분석장비 Open 운영 서비스 15종 및 기기교육 143명
- 다양한 기법(2D NMR 등)의 NMR 교육 실시
4) 분석기술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원 교육 2건
5) 노후장비(DSC) 성능 업그레이드(노후장비 심의 통과, 설치 예정: 2019년)
6) 장비 가동율 : 25%
7) 장비 수익금 : 125,702천원 (*2018년 10월 말 기준)
- 2017년 10월 157,385천원 (2017년 전체 182,217천원)
4. 활용분야 및 계획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바이오 화학제품에 대한 실증화 및 양산화
2) 바이오화학 신물질 및 신소재 실증화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
3) 공정 문제점 해결을 통한 향후 연구개발 업무에 기여
4)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연구개발 제품의 효율적인 실증화
2) 중소기업에서 개발된 화학제품에 대한 실증화 및 양산화
3) 신물질 및 신소재 실증화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
4) 공정 문제점 해결을 통한 향후 연구개발 업무에 기여
5)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다양한 분석기법 및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원내·원외 연구지원
2) 효율적인 중소기업의 분석지원을 통한 제품개발 및 생산 기술경쟁력 강화
3) 신물질 및 신소재의 물성 기초자료로 활용
4)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및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
5) 정기적인 교육 참여를 통하여 새로운 분석법 습득 및 분석 트랜드 파악을 통한 분석 기술 전문역량 강화
5. 기대효과
1) 원내 연구과제의 scale-up 및 상업화 지원을 통한 원활한 과제수행
2) 조기 또는 적기에 실용화설비 지원을 통한 정밀화학 중소기업 개발기술의 조기 상용화
3) 정밀화학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및 생산기술 강화
4) 원내 연구과제의 정학한 물성 측정 및 분석을 통한 원활한 과제수행
5) 산, 학, 연 등의 기초 및 응용연구 활성화에 기여
6. 차년도 or 2단계 연구계획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원내외 연구과제의 Pilot 장비 활용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원내외 연구과제 지원 건수 : 2건
2) 원내 연구과제 지원(PP/분석) : 500건/3000건
3) 원외 중소기업 지원(PP/분석) : 50건/100건
4) 원내/원외 Pilot 장비 및 분석 기기 가동률 : 25%
5) Pilot 장비 및 분석장비 수익금
- PP/분석 : 100,000천원/100,000천원 (총 200,000천원)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의 scale-up 및 상업화 지원
- 원내 연구과제 지원 건수 : 5건
2) 원외 중소기업의 scale-up 및 실증화/양산화 지원
- 원외 중소기업 지원 건수 : 70건
3) 장비 가동율 : 50% 이상
4) 장비 수익금 : 180,000천원 이상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원내 연구과제 관련 소재 물성 측정 및 분석지원
- 원내 화학분석 기술지원 : 12,000건
2) 원외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애로분석 지원
- 원외 중소기업, 학교, 공공기관 지원 건수 : 1,500건
3) 분석장비 가동률 : 25% 이상
4) 분석장비 수익금 : 120,000천원 이상
7. 출구전략
[바이오화학연구센터]
1) 고성능 플라스틱 복합소재 개발 관련 정부과제 수주 및 연구 지원
2) Kneader 반응기를 이용한 고분자 중합과 관련해 민간수탁과제 수주 및 연구지원
3) 바이오화학인증센터 (170억원) 정부 수탁 과제 연계 수익 창출 및 협업
[화학산업고도화연구센터]
1) Scale-up, 공정개선 지원을 통한 원내 연구과제의 실증화 지원
2) Scale-up, 실증화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연구개발 제품의 원활한 양산화 및 양산체계 구축 지원
[그린정밀화학연구센터]
1) 다양한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원내 연구과제의 수행 지원
2) 중소기업 R&D, 제품개발, 공정불량 원인규명 등의 분석지원
(출처 : 요약서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