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폭염·한파로 인한 급·만성질병 및 사망률 예측 연구 |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8-11 |
과제시작년도 | 2018 |
주관부처 |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
등록번호 | TRKO201900018013 |
과제고유번호 | 1465027533 |
사업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R&D) |
DB 구축일자 | 2019-11-30 |
키워드 | 폭염.한파.예측.질병.사망.기후.Heat wave.wind chill.projection.diseases.mortality.climate. |
본 연구는 폭염/한파 등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취약그룹을 규명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1) 문헌연구를 통하여 온열질환, 한랭질환, 심혈관, 감염병, 신장질환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폭염/한파 등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취약그룹을 규명하는 목적을 두고 있다.
1) 문헌연구를 통하여 온열질환, 한랭질환, 심혈관, 감염병, 신장질환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2) 국내 가공 가능한 다양한 자료원을 통하여 기온이 변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질환을 규명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온열, 한랭, 감염병, 신장, 심뇌혈관 질환 외에도 정신질환, 신경과질환, 피부질환(대상포진) 등이 기온에 영향을 받음을 규명하였다.
3) 취약그룹은 소득수준이 가장 명확한 요인으로 밝혀진 반면, 기저질환 유무에 따른 온열/한랭질환 발생은 명확하지 않았다.
4) 질병지도를 통해서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을 가진 군이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악한 실내환경도 기온에 의한 영향을 가중시켰다.
5)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자를 전체 사망자로 확대하였을 때 2018년 폭염으로 인한 초과사망자수는 790명으로 나타났다. 이 초과사망자수는 각 사례별 인과성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우리나라 인구집단의 피해규모를 나타내며 직·간접적인 건강영향 규모를 전반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국내 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한 결과들은 향후 국내 기후변화 피해저감 대책의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폭염/한파 예보제의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출처 : 요약문 18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including heatwave / cold spell and to identify vul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including heatwave / cold spell and to identify vulnerable groups.
1) Through scientific review, we found that the heat-related, cold-related, cardiovascular, infectious, and kidney diseases were related with climate change.
2) Through a variety of domestic database, we have identified diseases that occur as temperature changes. In addition to the known the heat-related, cold-related, cardiovascular, infectious, and kidney diseases, we observed that mental, neurological, and skin disorders (herpes zoster) were affected by temperature.
3) Although the low income patients were the most clear vulnerable groups, those with co-morbidity or pre-existing diseases did not clearly show higher effects of temperature than corresponding groups.
4) Through the disease maps, the group with low socioeconomic level was found to be vulnerable to the hyperthermia, and the poor indoor environment also increased the influence by the temperature.
5) When extreme deaths from heat waves were extended to the total number of deaths, in 2018, 790 deaths were estimated as the excess deaths during heatwave episodes. Although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causality for individual deaths, we ascertained direct or indirect health impacts of heat wave in the population. Therefore, future studies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health impacts of heat wave are warranted.
In this study, results derived from domestic data can be used as evidence for mitigation measures of domestic climate change damage and can be used as input data of the heat / cold weather forecasting system.
(출처 : Summary 19p)
참여 연구원 |
---|
폭염·한파로 인한 급만성질병 및 사망률 예측 연구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발행년월 : 2018-11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폭염·한파로 인한 급·만성질병 및 사망률 예측 연구 |
---|---|
연구책임자(Manager) : | 홍윤철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7 ~ 2018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99,000,000원 |
키워드(keyword) : | 폭염, 한파, 기후변화, 건강영향, 예측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목표(Goal) : | 폭염·한파로 인한 질병 발생(악화)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정량적 기온변화에 따른 건강영향 보건지표를 산출함 |
연구내용(Abstract) : | 폭염(한파)가 질병 발생(악화)와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측정방법 개발 - 해외 사례 및 문헌고찰(SR: Systematic Review)을 통한 폭염(한파) 지표 비교 분석 - 극한기온 건강피해 질병별 측정방법 개발 - 폭염(한파)에 따른 질병과 사망률에 대한 정량적 평가 연도별, 지역별, 대상별(성별, 연령별, 취약대상별 등) 폭염(... |
기대효과(Effect) : | 폭염(한파) 대응 정책 수립 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예방활동이 가능하도록 함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